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궁굼한게있습니다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낚시초보라서 잘몰라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수조찌맞춤을하고 현장가서 케미고무가보일정도로 낚시바늘빼고 맞춥니다 그러고 수심도 맞춰서 낚시를합니다 문제는 케미고무가보일정도로 맞췄으니 한목은더 나오게하고 낚시를해야지 바닥에봉돌과 바늘이닿는거자나요? 근데 저는 밤낚시를주로하다보니 케미가 물에반사대서 두개로보여서 보기가 불편합니다 케미만나오고 바닥에봉돌과바늘이닿게할수없나요? 또한 바닥에봉돌과바늘이 닿는지어떻게알수있나요?

현장맞춤시 캐미끝만보이게 맞추시고 사용하면 원하는데로 사용가능합니다
현장 찌맞춤 필요 없이 수조 찌맞춤으로 그냥 낚시하시면 됩니다.
수조맞춤은 현장사용시 풍덩체비가 될수있으니 현장에서 다시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올릴놈은 다올린다 하지만 조금차이가 조황이달라집니다
양어장 기준으로 찌 맞춤을 하신것 같네요^^;; 아주 예민하게...

케미가 물에 반사되에 두개로 보이는 불편을 겪으신다면

- 낚시 하실 때 두목 이상 내어 두고 낚시 하시면 덜 합니다 <대신 반마디 입질 보기는 힘듦>

- 수조 찌 맞추실 때 수면일치 하시고, 낚시 하실 때 케미 반 만 내어두고 낚시 하시면 덜합니다
케미 반만 내어두고 낚시 하시면 반마디 올려도 케미고무 부터는 어둡기에 확실히 보입니다.
>> 대신 다 분할 채비를 쓰시면 원래 쓰시는 것 처럼 예민하게 됩니다.





제가 그렇게 쓰거든요 ^^;;
조과는??

평균은 하는것 같습니다 ㅋ
찌맞춤...
1.(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하십시요.
2.(원줄)을 빼고 찌맞춤을 하십시요.
3.(봉돌)이 바닥으로 천천히 내려가서 (봉돌)이 바닥에 닿자마자 다시 천천히 (상승)하여 (케미꽂이) 상단이 수면하고 일치 하도록 하십시요.
4.이 찌맞춤이 (표준)찌맞춤 입니다.
5.(케미꽂이)만 수면위에 있을때...
6.(봉돌. 바늘)은 바닥에 (안착)되어 있습니다.
7.(케미컬라이트) 불빛이 다소 불편 할때는...
8.검은 (칠판)에 (점)하나 찍어 놓은듯...
9.(케미컬라이트)를 (수면)밖으로 약 5mm 만 나오게 하십시요.
10.아주 (예민)한 (입질)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1.찌를 편하게 주시할 수 있으며...
12.눈을 피로도 줄일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이 조과차이,마릿수낚시를 위한것이 아니라 케미노출부위 때문이라면 수면 일치를 말하시는 것인데, 나라님은 쿵채비라 하시고, 올릴 놈은 다 올린다 하시니...
나라님에 조력에 앞으로는 쿵 채비에 전 댓글 엄두를 못 내겠네요.;;;
ᆢ 별 뜻은없는데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채비를 어떤것을 사용하는지 모르겠지만,
극도로 예민한 사슬채비나, 스위벨 0.4g 이하등 바닥에 마지막에 닿는 봉돌이 0.5g이 안되는 채비라면,
그렇게 예민하게 찌맞춤을 케미고무 딸깍하고, 조금 더 내놓아서,

수면의 표면장력에 케미고무가 영향을 안미치도록, 찌탑을 내놓고 낚시하는게 도움이 되겠죠.

하지만 그게 아니고, 원봉돌이나 스위벨도 좀 무거운거 달았다면,
사용하는 전자캐미 수평 찌맞춤이나, 캐미 불빛만 아주 살짝 튀어나올정도의 찌맞춤 한다음
케미고무에 맞춰서 낚시하시면 됩니다.

그것도 충분히 예민한 채비가 됩니다.
찌 부력과 바늘크기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만

바늘 빼고 캐미고무가 나올 정도면
외바늘 달면 캐미 절반 이상이, 두바늘 달면 캐미 끝까지 잠길 것 같습니다.
거기에다 미끼 달면 캐미까지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됩니다.

캐미 불빛 반사되는 게 불편하시면
캐미를 수면 아래로 살짝 잠기게 해서 낚시하면
찌 보기도 편하고 찌가 솟는 것은 입질이 아니면 미끼가 다 풀린 것이니
챔질하거나 채비를 회수하면 됩니다.
저두 현장 찌맞춤 비추 입니다
그냥 수조 찌맞춤으로 하세요
조력으로보아...수조 찌맞춤이 젤 정확합니다
바늘빼고 깨미꽂고 캐미가 수면에 노출되게 찌마춤 해보세요...
저두 최대한 야간에는 캐미가 수면에 거의 일치하게 살짝만 올라오게 한점 으로 보일정도로 합니다..
목을 빼면 두점으로 보이니 좀 불편두 하고 약한입질은 잘 파악이 안되고 해서요.
바늘빼고 캐미 수면에 완전 노출 시키게 찌마춤 합니다..저같은 경우엔 그럼 바늘 호수에 상관없이 봉돌은 항시 바닥에 닿아있게 되지요..
예민한 마춤 이구요.. 봉돌이 누워있지 않고 바닥에 서있는 찌마춤 입니다...
처음 현장에와서 찌를 맞출때 ,,,,머리까지만 나오게하고 낚시해보세요,,,,미끼를 교체할때도 그자리만정확히 투척하면 머리까지만 나오지만 ,,,1cm 간격으로도 수심차가 있을수 있으니 ,,,찌를 조금 머리에서 들어 가겠금 맞추고 만약 찌머리가 들어가면 조금 당기면 머리까지 만 나오게 됩니다 ,,
목줄을 25센티정도로 하시고 봉돌을 조금띄우시는 낚시을하시면 됩니다
단 내림입질이 올수도 있지만 올림입질이 더 많습니다
그냥 현장에서 투척해서 찌가 슬슬 내려갈 정도면 됩니다

양어장이면 몰라도 노지에서는

정밀한 찌맞춤 궂이 필요 없어요

예민한 찌맞춤은 다양한 포인트의 노지에서

오히려 실이 많습니다
수돗물과 저수지의 부력이 달라요.
가장 기본만 말씀드릴께요.
일반 수돗물을 넣고 찌맞춤통에서 부력 테스트할때에 캐미꽂는 부위와 수면이 일치하게 합니다. 여기 까지는 쉽죠?
자. . . 이상태 그대로 저수지로 가서 부력을 맞춰보면. . . 잉~~영점 맞춤이 아니라 찌가 가라앉습니다. 무거운 찌맞춤으로 변해버렸네요!!!. 거의 모든 분들이 이런 찌맞춤을 선호 하십니다. 살짝 무겁게!!. 수조에선 3목 정도가 나와야지만 저수지에선 영점 맞춤이 됩니다. 수조에서 영점 맞춤은 저수지에선 찌가 3목이상 무겁게 가라 앉는다는 소리죠. 그러므로. . . 수조에서 영점 맞추시고. . 그채비 그대로 저수지와서 캐미와 수면이 수평이 되면. . . 당연 봉돌은 바닥에 100프로 닿아 있습니다.. . 예민한 채비하신분들은 현장채비를선호 하시는데. . . 전 게을러서... . . ㅎ
이해하셨는지. . . 이상태 그대로 캐미가 수면과 일치하면 끝. 쉽게 풀자면 . . . 수조통에서 영점 맞춤하세요. 그리고 저수지에서도 영점 맞추시면 봉돌은 바닥에 놓여있습니다.
'케미고무가 보일 정도로' 맞추셨다고 하시니 조금 애매합니다
1.케미고무 상단 끝이 살짝 보일정도로 맞추셨고 카본원줄을 쓰신다면
그상태에서 케미가 수면에 거의 일치되도록 수심을 맞추셔도 초저부력
찌가 아니라면 봉돌은 바닥에 닿아 있습니다
2. 케미고무가 전부 보이도록, 찌탑이 보이기 직전 상태로 찌맞춤을 하셨고
모노원줄이라면 케미만 수면에 보일정도로 수심을 맞추시면 바늘만
바닥에 닿습니다
이 경우 봉돌을 닿게 하는 방법은 O링을 추가하거나, 편납 조각을 추가하거나
채비나 봉돌 형태에 따라 조금씩 봉돌 무게를 늘리는 것입니다
니퍼로 깎는 원봉돌 채비라면 고무코팅 편납을 가늘게 잘라 원줄에 바로
감으셔도 됩니다
3. 봉돌이 닿아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찌맞춤 하시고 수심을 맞추신 후
편납을 봉돌에 묶을 수 있는 정도로 가늘고 길게 자르셔서 봉돌에 감고 묶거나
봉돌 고리에 감으시던지 하여 (물속에서 빠지지만 않으면 됩니다)
다시 던져 보시면 애초에 봉돌이 바닥에 닿았었다면 편납을 감았어도
찌의 높이는 그대로이고, 바늘만 닿았었다면 목줄 길이 만큼 찌높이가
낮아집니다 케미만 보이게 수심을 맞추셨다면 케미가 잠기게 되죠
애초에 봉돌이 바닥에 닿았었더라도 바닥이 고르지 못해 찌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니 여러번 투척하여 보셔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전 이해가안되는게 전솔직히 수조에서 봉돌만달고 수평찌맞추고 바로 노지나갑니다 양서장 100%안다니고요 수압에따라 달라서 현장찌맟춤을 하신다는분들께 물어보고싶어요 수압이라는건 수심 즉 물의양에따라 달라집니다 또 그수압은 물의양 기온 또 수온 에따라달라지고요 또한 기압에따라 수압은 달라집니다 그럼 매번 현장에갈때마다 찌를 다시 맞추시나요? 궁금해서그럽니다...
저는 아직까지 현장찌맞춤을 해본적은 없어요

질문자분의 의도대로 낚시를 하신다고 볼때 약간 무거운
찌맞춤을 해논다면 현장에서 충분히 원하는 찌높이로
맞출수 있습니다
또한 그렇게 무겁게 맞추지 않아도 찌를 살짝만 올려도
야간케미만 보이게 됩니다 대부분...
하지만 간과해서는 않될것은 너무 저부력 푼수의 찌라면
약간 무겁게 할 필요성은 있습니다 더욱이 모노 원줄이라면
더 그렇겠죠

찌맞춤통에 찌와 봉돌로 찌맞춤후에 사용하는 원줄을
잘라 바늘까지 단후 찌를 이동시켜 찌의 표현을 한번쯤
보신다면 현장에서 대처하기 훨씬 수월할듯 싶네요 ㅎㅎ
배방월척님의 이론이 평범한 진리입니다,,
현장 맞춤도 필요없고
수조에서 그렇게 맞추고 현장가서 쓰면 그냥 다 맞습니다..
너무 예민한 채비는 사람을 피곤하게 만들지요..
가장 정답이 현장에서 하는 기본 채비이구요 기본을 익힌담엔 응용이십니다..기본 찌맞춤은 고수분들이 많이 올려 놔으니 확인 바랍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