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사님들..^^
끝보기낚시 시도해볼려고 하는 초보 조사입니다.
제가 교하강(공릉천)이 집과 가까워서..퇴근길에 들러 짬낚시를 하곤 하는데요
문제는 그 곳 수문을 열면 유속이 심합니다. 찌 낚시를 하다가도 갑자기 수문 열면
찌가 흘러 버려 낚시하기 피곤해서..여기 저기 알아본 결과 중통채비와 끝보기 낚시라는걸
알게 되었는데요. 문제는 그냥 바닦낚시 하다 수문열려 유속이 생기면 중통낚시는 채비를 새로
해야하고..끝보기 낚시는 찌만 빼고 초릿대에 케미만 달고 할수 있는거 같은데..제가 제대로
이해한건가요?? 맞다면..제가 평소에는 스위벨채비를 쓰고 있는데요..이걸로도 끝보기낚시
해도 상관없는지요? 혹 봉돌이 너무 가볍운게 아닌지..보통 봉돌 몇호써야 하는지요?? 어차피
스위벨채비때문에 핀도래 껴서 봉돌은 바로 갈수있습니다. 그리고 목줄 길이도 궁금한데요..
끝보기 낚시는 목줄길이 몇cm가 평균적인가요? 제가 쓰는 낚시대가 드림대인데..드림대로
써도 둔하진 않겠죠??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처음 시도해볼려는거라.. 궁금한게 많네요..
가을 감기가 독하다고 합니다..일교차가 심한데..몸관리 잘하셔서 출조에 지장없으시길 바랍니다^^.
끝보기 낚시 질문 드립니다~^^
-
- Hit : 828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8
잔챙이한테 줘 터지고 왔슴돠..ㅡㅡ
스워벨 그데로써도 상관없구요..스위벨이랑 본봉돌 뒤집어 끼워써도 됍니다.
잔챙이한테 혼꾸녕 날겁니다~^^
작년에 낚시 처음 배우고 그곳에서 가을에 월척은 못해도 6~8치 정도는 어느정도
나와 줬는데..올해는 이상하게 다 손바닦보다 작은 잔챙이만 득실 거리네요..
그치만..파주는 대부분 낚시금지라..어디 마땅한곳도 없고..ㅠㅠ
그래서 보통 봉돌 하나를 많이 씁니다.. 봉돌에 바늘 달아서 채비부분 교채해서 쓰시면 될꺼 같습니다..
장소- 물쌀이 너무 쎄지 않은 곳.
낚시대- 어신 전달은 대물대 4칸대로도 해보았는데 잘 되는 편입니다.
파리 피라미 견지낚시 생각하시면 어느 정도 감이 오실 듯한데 낚시대 길이가 있으니 조금 감소하겠죠
다만 피라미보다 작은 송사리 싸이즈는 바늘을 못 삼킬 것도 같으며 아가미 걸려나온느 것은 못 보았고 몸통 걸려나오는 것은 보았습니다.
낚시줄- 원줄:1.2~1.7호정도의 모노 카본.
2호 이상이면 물살을 타서 봉돌이 투척자 쪽으로 너무 많이 굴러감((브로닌 생각남))
봉돌줄: 원줄 보호 목적이며 채비의 신속 교채를 위해 원줄보다 호수가 낮은 줄
목줄: 목줄이 떠있지 않고 바닦에 누워있으며 밤이고해서 합사 모노 가리지 않음.
봉돌- 투적이 용이한 정도의, 외봉돌 채비할 때에서의 무게...
스위벨봉돌 가격도 비싸며 2중봉돌하면, 같은 무게일 때 물살에 덜 밀리는 점이 있지만
어신 전달에 불리하고 장점보다 단점이 많은 것 같음.
목줄- 길이가 같은 쌍바늘(4~8cm), 길이가 다른 짝바늘(5~12cm)
바늘- ???????
채비- 어신 전달력에서 반유동봉돌채비인 중통 or 외통채비도 괴안으며
봉돌 고정채비도 반유동 채비과 비교했을 때
견지낚시에서 좁살봉돌 물린 채비를 물살에 태워 목표지역, 목표수심에 보내는데
또 위에 설명처럼 물살이 낚시줄, 봉돌에게 부상력을 주어 물살방향으로 봉돌이 굴러가게되는데
이는 낚시줄과 봉돌이 물살과 작용하여 물살 없을 때보다 더 작은 힘으로도 봉돌이 움직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차이는 크지 않았고 초리대 움직이는 것이 쪼매 다르며 또 아주아주 약간 외통채비가 유리한 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만 채비가 쪼매 복잡해지지요.
저같은 경우는
원줄--찌고무--핀도래(16~22호)/--중자쇠링--봉돌줄--고리봉돌의 고리통과or구멍봉돌 구멍통과--구멍비즈--중자쇠링/--바늘줄,바늘
원줄--찌고무--핀도래(16~22호)/--봉돌줄8자묶음----고리봉돌/--바늘줄,바늘
참고로 캐미 탈부착하기 쉬운 방법으로는
캐미꽂이에 초리대 부러진 것이나 이쑤시게 등을 2cm 정도로 잘라 찌톱이 들어가는 캐미꽂이 부분에 꽂은 다음 순접하시면되고
낚시하실 때는 찌고무 초리대 쪽으로 끝까지 밀어 올리시고 만든 것을 끼우시면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