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교다닐때 아버지를 따라서 많이 낚시를 다니고 좋아는 하지만..
그렇다할 지식을 가지고 한것도 아니구..
제가 얼마전에 다시끔 취미생활로 낚시를 해볼려구 ..낚싯대 셋트로 장만을 해서..
얼마전 야간 마치구 주말에 낚시를 갔어요..
예전에는 아무생각없이그냥 낚시대에 줄달고.. 찌고무 에 찌달고.. 일반 낚시점가면 그냥 바늘이랑 추랑 같이 한셋트 된거 사서 줄에 그거달고.
지렁이 달고 낚시를 즐겼는데..
이제취미를 가지고 자주 자주 해볼려니..그냥 막연히 이렇게 하는게 아닌거같아서요..
찌맞춤.. 이것도 해볼려구 이것저것 봤는데..찌를 어디에 달고 ..어디에 해야되는지도모르겠고 햐...ㅠ.ㅠ
봉돌.. 이게추인가요.?
그럼.. 원줄에 찌고무에 찌 달고..원줄 끝에.. 추를달고 그밑에 바늘을 다는건가요.ㅡ.ㅡ?;;
낚시라는게...쉬운거 같으면서도 어렵네요.ㅡ.ㅡ;;
낚시대 셋팅 방법... 완전 초초초 짜 입니다..
-
- Hit : 1253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1
다만,퇴근후 시간나시면 "군계일학" 사이트에 들어가서 이래저래 동영상을 참조하심이....
낚시도 과학입니다.다만 너무 빠져들면 안되요. 항상 현장에변수는 있고...
젤루 좋은 방법은 낚시좀할줄아는(쓰레기버리지않고 주변사람들피해안주는 매너있는...) 사람과 동반출조가 낫죠!
밤이면 추워요!보온에 신경써야 됩니다.(완전 한~여름빼고) 잡는재미도 좋지만 먹는재미도 솔솔하답니다.
같은 지역에서 같은 낚시를 하는 월척에 활동하는 선배조사님의 도움을 요청하셔서
동반출조를 하셔서 배우는것이 가장 빠릅니다...
연식은 좀 됏지만 ㅎㅎ
저도 한 6개월 고시공부했읍니다.사이트란 사이트 다 돌아다니면서..공부하고
책도 많이 사서 보고 ..
그래도 지금도 공부합니다..월님들의 의견도 듣고..경험담도 듣고..
처음시작하시면 배울꺼 많습니다. 한번에 배울생각 마시고 시간을 두고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그러면서 자기만의 채비법을 만들어 가야한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우선은 매너부터 배우셔야하고요.그래야 다른사람들한테 피해주는법 없고요,
월횐님이시니깐 그런건 잘 하시겟지만 ㅎㅎㅎ
일단 한가지씩 배우면고 사용해보고 의문점 있음 질문하고 그런식으로 배우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같은 초보 입장에서 한 말씀 드립니다.^^*
싸부 한분 모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이곳 싸이트에 고수님들 많습니다..
님 계시는곳 근처에 활동 하시는분 찾으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경산 압량이네요 그곳은 많은 고수님들이 계시는 동내 ~~
여건 안되는 경우가 많지요. 처음엔 배울게 많아서 열심히 공부하셔야합니다. 저도 초보라 공부중~~
책을 한권 사시는게 참 좋습니다. 시험보는 기분으로 정독,,, 도서관에도 관련책들이 많이 있구요.
인터넷 낚시 관련 사이트와 카페등에 증말 많은 자료들이 있습니다.
초록붕어, 입큰붕어, 붕어대물낚시카페, 행낚 등등 다 읽어보고 배우실려면 고시공부 수준? ;;
일단 기초적인거는 여기가서 쭉한번 훑어보세욤
http://www.greenfisher.com/ocb/ocb.htm
현장에서 채비가 터질때 복구를 해야되기 때문입니다...
글과 동영상을 보면서 한번쯤 실습해보면 금방 익힙니다..
낚시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으심을...
한번에 들어서 되지는 않을 거구요..
여러 눈팅과 아시는 분과의 출조등 노력이 있어야 될 줄 압니다.
상당히 채비는 오묘한 세계이거든요...
낚시대 초리대에 원줄묶고 낚시대 완전이 편상태보다 10-20cm 이상 길게 짜른다음
고정채비 세팅시 찌고무 끼우고 도래묶고 도래에 바늘걸고 부력잡은 봉돌 물리세요
유동채비 세팅시 찌멈춤 고무한개 끼우고 유동채비 찌고무 꼽고 찌멈춤 고무 한개 끼우고 남어지는 고정채비와 동일
흔히 고리봉돌을 원줄에 많이 묶는대 도래다는것은 채비 교체가용이하므로 바닥 떡밥낚시 사용시
많이 사용하지만 채비세팅은 본인의 취향이니 자신이 편하신것으로 선택하세요
고정보다 유동이 찌입수과정이 훨씬 보기가 졶아요
필요물품
1.낚시대
2.원줄
3.찌
4.찌고무,유동채비시 찌멈춤고무,유동찌고무
5.고리봉돌
6.낚시바늘(목줄과 바늘 묶여있는..)
낚시대 초릿대에 보시면 초릿대 실이 있습니다.
초릿대실에 낚시 원줄을 묶어 연결합니다.
방법은 원줄을 8자매듭을 해서 연결하는 방법인데
8자 매듭법을 검색하시면 나올겁니다.
길이는 낚시대의 길이와 개인의 취향마다 다릅니다.
보통 낚시대 손잡이대를 보시면 손에 잡히는 그립부분이 있습니다.
그립이 끝나는 부분에 표시된 선에서 원줄을 자르시면 무난하실듯 합니다.
초보자의 경우 앞치기가 수월하지 않기 때문에 원줄을 약간 짧게 매서 사용하시면
앞치기도 수월하고 고기의 제압도 쉬워 좋습니다.
원줄을 자른 후 원줄에 원하시는 찌고무를 연결합니다.
윗분 말씀처럼 고정식일 경우 찌고무를 원줄에 넣으시고
유동채비시 찌멈춤고무 두개를 연결(수심체크등 유용하게 쓰일때가 있습니다.)
유동 찌고무를 넣고 찌멈춤고무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그후 다시 원줄이 끝나는 부분에 8자 매듭을 하시고
고리봉돌을 달아줍니다.
고리봉돌 하단부에 낚시하늘..(목줄과 연결된 낚시바늘)을 목줄을
8자매듭으로 묶어 고리봉돌에 달아줍니다.
마지막으로 찌를 찌고무에 달아주시면 끝입니다.
그리고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찌맞춤은 역시 찌맞춤으로 검색하시면 나와있을 겁니다.
여기까지는 기본적으로 채비 손상시에 사용하셔야 하기때문에
알고 계셔야 하는 기본적인 채비 셋팅방법 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찌맞춤 입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찌맞춤법이 있고 많은 분들께서 경험을 통한
지식이 많이 있습니다.
본인께서 낚시보다는 찌맞춤을 배우겠다는 의지를 갖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해보시면 좋습니다.
부디 좋은취미생활 하시고 어복 충만하세요..
지금은 완전 빠저들어 장에 있어도 물가가 립고...
미X마냥 낚시를 안해도 물가에 가서 사람들과 이야기라도 해야 마음이 진정됩니다...ㅋㅋ
낚시 채비종류는 지구인구 만큼 많습니다.
사람마다 낚시의 이해도 습득력 주변여건등이 다틀리기 때문인것 같습니다.(개인적인생각)
유명인들도 대동소이하지만 다들 자기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변에 가르쳐줄 싸부가 없다면...
낚시유명인 분들이 싸이트나 동영상으로 재작 돼어있는것을 보시고 직접 실습하시는게 가장 빨리배우실겁니다.
저도 처음에 군x학x 동영상을 보고 실습해보고 이후 지나다보니 이정x식 찌맞춤도 이해가 가더군요....
인터넷을 뒤지시다보면 자기에 맞는 찌맞춤이나 채비 그리고 채비연결법등 많이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실전에서 실험해보는이 가장 빠른길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