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근교 경지도 지역의 수로에 자주 출조하고 있습니다만, 올라오는 붕어들중 가끔 아가미 주변에 혹이 나 있는 놈도 있고
척추가 휘어진 놈들도 가끔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중금속 중독입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수질오염에 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긴 하지만 나 한사람부터라도 환경오염에 신경쓰지 않으면 안되리라 봅니다
낚시터 쓰레기 문제부터 시작해서 수로 주변의 공장폐수와 생활폐수 등등 가정에서 설겆이 물까지도 신경쓰지 않으면 안될거라 생각됩니다.
환경오염문제! 더는 두고봐선 안됩니다.
내 아들 손자가 낚시하고 싶어서 출조했는데 지금보다 훨씬더 오염된 물에서 하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친환경봉돌이 가격이 사악하다고 합니다.
납보다는 훨씬 비싼 재료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니 가격이 올라가는것은 당연하리라 봅니다.
그 가격보다도 환경오염 수질오염이 훨씬 더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조구업체를 단속하는것이지
낚싯꾼들을 다속하는건 아닙니다
물론 우리 낚시하는 사람들 하나 하나가
환경에 신경써줘야 합니다
우리 후손들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라도~~~~!!
하지만 바다들 한번 보세요
1년에 수십 수백톤의 납추들이 버려진다고 합니다
동서남해에서 생업으로 고기잡는 어부들의
폐그물에서 버려지는 수많은 납추들은 어떻게
할것인지 그분들은 어떻게 단속을 할것인지
월척에 수많은 회원들은 단 한번이라도 생각해
보셨는지.........
저 혼자서라도 깊은 생각을 해봅니다~~!!!
위에 메기수염님 말씀이 가장 좋은방법같습니다
저도 전에 주석으로된 봉돌을 공구하여 월 회원님들과
같이 나눠쓰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글을 올린적이
있는데 방법은 중국현지에서 직접생산한것을 공구하는
형태로 보다 저렴한 방법을 모색코자 글을 올렷습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마시고 적절한방법을 모색해야 할때가
된것으로 생각됩니다 잊을만하면 납봉돌 얘기가 나오니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도 나면서 눈치보며 낚시할게 아니고
보기좋게 공구를하여 본때를 보여서 낚시인의힘을 보여줘야
앞으로도 유사한일이 재발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납추문제는
이런 낚시인의 자존심이 걸린문제에까지 이르렀다고 보입니다
반듯이 월 회원님들이 주도하에 주석봉돌을 공구하여 이일에
관여하여 이득을 취하려 했던자들에게 카운터펀치를 날려야합니다...
법이란 상식적인선에서 만들어져야 된다고봅니다
납추에 익숙해 있는 많은 조사님들께서는 새로운
재료의 봉돌에 적응을 하시기가 쉽지않을거로 보입니다
저 또한 그러하구요 오랜시간 써오던 기법을 타의에의해
강제로 바꿔야할때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개인마다 틀리겠지만
아주 심각하게 받아 들이시는분들도 있다는사실을 알아야되며
연세가 드신분들은 적응하기가 훨씬더 어려울것으로 생각됩니다
방법은 현재의 납추처럼 손쉽게 가감을 할수있는 재료가 적정한
가격으로 나올때까지 시행을 늦추는 것만이 적절할거로 보입니다
강제로 시행을 한다면 부작용이 불가피하게 따르는법이니 이에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시행주체에 있음을 알아야하며 따라서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길 바랍니다..
깍아서 납이 보이면 그것도 단속대상이라 들었습니다.
어떤말이 맞는건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말도많고 탈도많으네요.
사용금지 통과된건 맞는듯합니다.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코팅봉돌도 안된다고 하던데요,,
그냥 속편하게 사용 합니다
가격이 사악해 저렴한 제품 출시되길 바랄뿐 입니다
다음 세대를 위해서 친환경봉돌을 사용해야 한다고 봅니다.
서울근교 경지도 지역의 수로에 자주 출조하고 있습니다만, 올라오는 붕어들중 가끔 아가미 주변에 혹이 나 있는 놈도 있고
척추가 휘어진 놈들도 가끔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중금속 중독입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수질오염에 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긴 하지만 나 한사람부터라도 환경오염에 신경쓰지 않으면 안되리라 봅니다
낚시터 쓰레기 문제부터 시작해서 수로 주변의 공장폐수와 생활폐수 등등 가정에서 설겆이 물까지도 신경쓰지 않으면 안될거라 생각됩니다.
환경오염문제! 더는 두고봐선 안됩니다.
내 아들 손자가 낚시하고 싶어서 출조했는데 지금보다 훨씬더 오염된 물에서 하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친환경봉돌이 가격이 사악하다고 합니다.
납보다는 훨씬 비싼 재료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니 가격이 올라가는것은 당연하리라 봅니다.
그 가격보다도 환경오염 수질오염이 훨씬 더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낚싯꾼들을 다속하는건 아닙니다
물론 우리 낚시하는 사람들 하나 하나가
환경에 신경써줘야 합니다
우리 후손들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라도~~~~!!
하지만 바다들 한번 보세요
1년에 수십 수백톤의 납추들이 버려진다고 합니다
동서남해에서 생업으로 고기잡는 어부들의
폐그물에서 버려지는 수많은 납추들은 어떻게
할것인지 그분들은 어떻게 단속을 할것인지
월척에 수많은 회원들은 단 한번이라도 생각해
보셨는지.........
저 혼자서라도 깊은 생각을 해봅니다~~!!!
그것도 제재를하고 있는건지...
납봉돌은 쓰지 말아야 하지만 유독 민물조사만 다구리하는 것은 먼가요.....
민물조사가 호갱인가요.
이거 원! 서러워서~~~ ㅡ.ㅡ
낚시금지...제제...단속 왜 낚시인들만 호구로 보는지 모르겠습니다.
바다에서는 방생사이즈가 어떻고 금어기가 어떻고 하면서 난리 치면서 정작 싹쓸이하는 뻥치기는 단속 안하고...
저희 동네에 있는 하천에는 낚시금지 시켜놓고 낚시꾼보다 몇천배 오염시키는 식품공장 폐수는 단속 안하더군요.
낚시가 어떻고 하는 놈들은 국회의원이고 지자체장이고 낙선시켜야 합니다
저도 전에 주석으로된 봉돌을 공구하여 월 회원님들과
같이 나눠쓰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글을 올린적이
있는데 방법은 중국현지에서 직접생산한것을 공구하는
형태로 보다 저렴한 방법을 모색코자 글을 올렷습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마시고 적절한방법을 모색해야 할때가
된것으로 생각됩니다 잊을만하면 납봉돌 얘기가 나오니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도 나면서 눈치보며 낚시할게 아니고
보기좋게 공구를하여 본때를 보여서 낚시인의힘을 보여줘야
앞으로도 유사한일이 재발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납추문제는
이런 낚시인의 자존심이 걸린문제에까지 이르렀다고 보입니다
반듯이 월 회원님들이 주도하에 주석봉돌을 공구하여 이일에
관여하여 이득을 취하려 했던자들에게 카운터펀치를 날려야합니다...
전 아직도 쓰고는 있지만 ..분위기가 분위기인지라 저도모르게 하나씩 황동추로 바꿔저 가네요..
3호 벌크 납봉돌 150여개 그냥 버렸습니다
납추에 익숙해 있는 많은 조사님들께서는 새로운
재료의 봉돌에 적응을 하시기가 쉽지않을거로 보입니다
저 또한 그러하구요 오랜시간 써오던 기법을 타의에의해
강제로 바꿔야할때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개인마다 틀리겠지만
아주 심각하게 받아 들이시는분들도 있다는사실을 알아야되며
연세가 드신분들은 적응하기가 훨씬더 어려울것으로 생각됩니다
방법은 현재의 납추처럼 손쉽게 가감을 할수있는 재료가 적정한
가격으로 나올때까지 시행을 늦추는 것만이 적절할거로 보입니다
강제로 시행을 한다면 부작용이 불가피하게 따르는법이니 이에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시행주체에 있음을 알아야하며 따라서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길 바랍니다..
산으로 강으로 쫒아다닐인원이 잇을가요 ?
조사님들 술 몇번 안드시면 사실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