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노지출조시에..5대만 편성한다면 몇간대를 편성하시나여??

몇칸대를 조합해서..5대를 펴실지 궁금해서여..^^ 전 유료터만 거의 다녀서..쌍포위주로 펴는데..이제 노지좀 다녀볼라구여..섶다리랑 5단정도만 욕심내보려고 하네여.^^ 거의 떡밥으로 28이나 32로만 펴고 해봐서.. 노지 나가면...어느칸대로 편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아 떡밥이냐 생미끼냐에 따라서 달라지려나여... 초보라 잘 몰겠네연.^^

가까운 포인트에는 짧은대를 필것이고 포인트가 먼곳에는 긴대를 피겠지요 맹탕인경우는 골고루 피겠지요 질문이 너무광범위 합니다요ㅋ
칸수별로 다가지고 계시나요?! 짧은데 좋아하시는 분들은 짧은데를 필것이고 긴대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긴대를피겠지요ㅋ 저같은 경우는 28 30 32 34 36정도 필것 같네요 요중 입질오는데 집중하셔서 낚시 하시면되고 입질없으면 다른칸수ㄱㄱ
맹탕 노지에서 5대라면 떡밥이거나 생미끼+떡밥병행일텐대요

투척이 용이한 25~32전후겠네요

5대라도 대어를 노리는 채비와 미끼라면 36이상을 쓸 수도 있겠죠
이런 말이 있습니다.

붕어는 수초에서 태어나서

수초에서 죽는다고..

그냥 참고만 하세요..^^
밤에는 거의 대부분 짧은대에서 성과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밑밥질 하기도 편하고 , 정확한 투척도 비교적 쉽고해서 저는 짧은대로(3.0칸 이하) 편성합니다. 하지만 조과는 주위분들에 비해 대부분은 평균이상 이었던것 같습니다.
맹탕지라면 주로 34대 이상핍니다 입질은 거의 36대 이상부터 들어오더라고요 근데 지형에 따라서 조금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계곡형은 30부터 편성 평지형은 36부터 편성합니다.
칸수별로 없구여..필요한걸로 하나씩 준비하려구해여.^^
일단 많이쓰는 칸수부터 준비하려구여.^^
다들 펴는칸수가 다양하시네여.ㅎ
일단 로얄칸수만 준비하셔여 그럼ㅋ 부족하다 싶으신건 낚시 하시면서 조금씩 준비하면되니까요ㅋ
맹탕지에서의 바닥낚시 다대편성은 26(28)-36-30(32)-40(44)-30(32)-36-26(28)형태로 지그재그로 하고
(괄호 부분은 생미끼 사용시...맹탕지에서는 짧은 대 거의 사용 안합니다.)
물가에 수초가 있는 곳에서는 30(32)-26(28)-36-40(44)-36-26(28)-30(32) 형태로 펼쳐서
(수초 인근에 4대 정도 근접 편성하고 깊은 곳 3대 정도 편성하는 분할 편성 형태)
요즘같은 봄철에는 대물낚시 편성으로 수초구멍 위치에 따라 대 편성합니다.
다섯대라면 대각선으로 짧은대부터 긴대까지 20-24-28-32-36 이나

부채꼴모양으로 24-32-36-28-20 편성할거 같습니다.

수초있는곳이면 여건에 맞게 가지고있는대를 활용해서 3대든5대든피심될듯합니다.

참고로 섶다리에 5단까지 생각하셨으면 차츰 낚시대까는대수가 늘어나실거라 보여집니다.

좀 더보태셔서 5+5단이나 4+4단으로 하시는게 가격면으로 이득일수도있습니다.
노지 낚시라면 포인트에 맡게 대편성을 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수초밭이라면 거의 짧은데 위주로 편성할꺼 같고 맹탕 떡밥 낚시 기준이라면 25 29 32 32 36이렇게 편성 할꺼 같습니다
포인트에 따라서 대편성 하구요
주로 3.4칸 3.6칸 펴고 낚시합니다
5대면, 다대 입문자에게 충분 합니다.
생미끼 하셔도 전혀 이상할게 없어요.
포인트에 따라 몇대 못 필수도 있고, 차츰 하시나 보면,
저기 하나, 여기 하나 하면서 더 피고 싶은 욕구가 이실때, 그때 늘려 보시면 됩니다.
노지에서는 긴대쪽으로 유리할경우가 더 많습니다.
일단은 40칸까지는 필요할거 같네요.
로얄칸수로 28 30 32 32 36 이 정도면 왠만한 포인트 커버될 듯 합니다^^;
수중턱이 있다면 거기에 찌를 세울것이고 턱이 없이 밋밋한 지형이라면 최대한 긴대를 폅니다. 저는 4.0칸이 젤 긴대라 저라면 3.6두대,3.8두대,4.0을 젤 가운데에 펴겠네요.
포인트의 여건에 따라서 사용하는 낚시대의 길이가 달라지겠지요.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자면 수초등이 있다면 그쪽 주변을 공략하는 길이를 사용하고
맹탕 지역의 경우는 수심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낚시대를 사용하여 입질 받을 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택합니다.
포인트의 여건에 따라서 ...
30 , 33 , 37 , 33 , 30
참 어려운 질문이네요.
계절마다, 저수지 수심, 특성, 수온, 수초분포도에따라 달라지는게 대편승입니다.
댓글 내용을 종합해보시면 포인트에 따라서 달리 대편성을 한다가 대부분입니다.

저또한 그렇게 생각합니다.

떡밥 낚시라면 전 조금 다릅니다. 밀생된 수초가 아니라 한두줄기씩 듬성듬성 난 자리를 선호 합니다.

낚시대 길이가 짧다 길다 기준을 다들 달리하시겠지만 전 32대를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낮에는 긴대(32~40) 위주로 편성하고 밤에는 낮에 입질을 거의 못본대를 걷고 짧은대(23대~29대)를 핍니다.

낚시 입문한지 5년 됐지만 경험해본바 밤에는 깊은 수심보다는 얕은 수심에서 붕어 얼굴을 볼 기회가 많았으니깐요

낮에 긴대에서 입질을 볼수 없었다면 해지고 한시간후엔 짧은대로 다 바꿔 버립니다.

유료터처럼 왕창 집어를 하면서 하는 낚시를 하지 않으니 집어란 개념보다는 붕어 회유로를 먼저 점하는것이

우선이라 생각하여 다 바꿔 버립니다. 물론 꽝~ 친적도 있고 아침에 후회를 한적도 있지만 바꾸길 잘했다

생각한적이 더 많았습니다.

참고만 하십시요..
맹탕이라는 전제하에

28.30.32.34.36
29.31.33.35.37

일자로 펴겠습니다.

입질이 들어오는 수심층이나 포인트를 찾기 위함 입니다.
21 27 36 40칸 이유는 제가 가진 드림셋이기때문임니다ㅎㅎ5대라면 32칸 추가요
저같은 경우는 짧은대에서만 손맛을 본지라 짧은대만 편성하고 있습니다. ^^
16 18 20 22 24 26 이렇게 낮에 1자 편성하고 야간엔 입질없던곳은 좌우 위치변경하여
부채꼴로 편성합니다 ㅎㅎ 27대쌍포있긴한데 색감이틀려서...
낚시대는 역시 깔맞춤이라.. 사용이 꺼려진다는... ㅎ
평일은 직장다녀야하고 주말은 애들 셋 놀아줘야하고....!! 힘듭니다.
허나 낚시가 좋아 짬낚 전문으로 다니지만 8대 피고도 아쉽더군요.
받침틀 8단말고 10단 샀어야 했는데 하며 후회합니다.
다대 편성 준비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