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떡밥낚시-낚시대 길이에 따라 원줄 홋수를 달리하나요?

제목그대로 입니다...낚시대 길이에 따라 원줄 굵기를 달리 사용하시는지? (바닥, 떡밥낚시,,,할때에 한해서,,,) 1. 낚시대 길이에 따라 원줄 홋수를 달라하고 계십니까? 2. 아님,,,낚시대 길이와 관계없이 한 호수를 사용하십니까?? 3. 또한,, 님들이 선호하는 낚시줄은 카본, 모노 중 어느것이며,,, 그 이유는? 4. 또한 유류터와 노지를 갈 때 호수가 달라지십니까? 세팅을 새로하는지^^ * 제 갠적으론 3.0칸 까지는 2호줄을 사용하고,,,3.2대 이상은 3호를 쓰는데,,,노지, 댐 모두 같이 사용합니다^^ *. 주로 쓰는 낚시줄은 "에이스어쩌구",,,이 정도 입니다....에이스는 카본줄이 아닌걸로 알구있구요^^ *** 님들의 낚시대와 낚시줄의 다양한 원칙을 알아보고 싶어졌습니다^^

시가맥스2호줄 전낚시대 칸수 구별없이
같이 세팅후 원줄 교체시 까지 그대로 갑니다
원줄 호수와 낚시대 길이 사관 없습니다.
낚시대 길이와 상관없이 같은 호수를 씁니다
하지만 낚시대 종류에 따라 호수를 달리 씁니다
신수향은 2호줄 테골은 1.7호줄을 씁니다
FX 1.7호 목줄은 1호 전부 통일했습니다^^
동일호수 사용합니다.
종전 2호사용 합니다.
저도 낚시대의 길이보다는 종류에 따라 호수를 다르게 씁니다. 연질대에 더 가는줄을 써서 예민한 손맛을 즐기는 편입니다.
낚시대 길이에는 상관없고 장소에만 상관을 둡니다

유로터(양어장, 관리형저수지, 하우스) 같은곳에선 1.0~1.2호 세팅하구요
노지에서는 3호 세팅하고 있습니다
5천원인가 8천원인가 하는 줄감게 사서 거기에 채비 여러게 준비해 놉니다

모노줄을 선호합니다
여러 방도로 해보시는 것도 졶으나
끝은 똑같다는 사실 좀더 지나면
번그로워서 셋팅 상태 변환 없이
아마도 그대로 갈그예요
양어장은 2.5호, 관리형저수지나 노지는 3호씁니다.
떡밥이나 옥수수 사용하는데 모두 원줄4호 사용합니다.
안출하세요.^^
저 역시~ 그냥 통일이구요~ ^^

떡밥낚시 할때는 1.5호~ 2.5호 정도 원줄에 목줄 1호로 즐긴답니다~^^
낚시대 길이도 상관 있지만은 어종과 낚시 장소에따라 더욱 변하죠.. 저같은 경우에는 유료터로 출조시 주어종이 50이하 잉어향어 붕어 혼탕에서는 1칸~3.2칸 대로 2호이하 카본줄이나 가끔 1~1.5호모노줄 씁니다.. 내림할때는 잉어향어 많은 곳에서는 모노줄 1호에 목줄 0.8호로 낚시합니다. 노지 다닐때는 맹탕지역에서 2~3호 카본줄로 통일합니다..대물잉어향어(7kg이상) 노릴때는 3.2칸향어대에 그랜드맥스 5호줄 썻다가 대뿌러지고 채비날려서 3.5칸 바다민장대에도 그랜드맥스5호줄 썻다가 제압못하고 실패해서 이제는 그냥 바다민장대5칸에 fx6호줄 묶어놨습니다. 요번에도 날리면 합사줄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그곳에서 6칸대에 10호줄 터졌다고 하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카본줄을 선호 하는 편입니다.. 내림할때만 빼고요.. 모노줄이 쓸림에 약하고 스토퍼 움직일때에 아무리 침많이 묻혀도 카본줄보다는 않되더라구요.. 또 물 묻으면 줄어들어서요 제품에따라 차이가 좀 나고요.. 이게 싫어서 카본줄을 주로 씀니다. 유료터 다니면서 모노줄 쓰시는 분이랑 조과차이는 뭐 남보다 적게 잡아본적이 거의 없어서 그냥 카본줄을 선호하게 되네요..

낚시대는 유료터랑 노지용 대물잉어용들은 전용대로 중복칸수가 있어서 채비교환 없이 쓰고요 다른 칸수들은 상황에 맞게 채비교환을 하거나 그냥 씁니다.. 보통 3호줄 묶여져 있는데 유료터 가서 고기가 예민하면 즉석에서 교체해버립니다.

주로 낮은 호수 3호이하줄은 시가 에이스를 사용하구요 0.4~3호줄 까지 모든호수를 다 가지고 있어서 여타 다른 줄은 종류가 너무 많아서 언급하지 않겠씁니다. 대물잉어향어 줄은 에이스, 그랜드맥스 5호줄 fx6호줄 보유하고 있습니다. 비싼줄을 선호 하는 편이 아닌데요 원래 시가 에이스도 매우 만족하고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대물잉어 잡으러 다닐때는 불안해서 에이스5호를 그랜드맥스5호로 바꿨는데 이것도 않되네요.. 그래서 fx6호줄을 사용해볼려구 묶어놨습니다. 요것도 불안합니다. 채비 날릴때 보면 고기 힘쓰는게 장난아니더라구요..
낚시대와원줄의굵기는자연히알개됨니다. 별로중요하지않습니다. 어종에따라서원줄이결정됨니다. 노지나둠벙이나양어장이나상관이없습니다.붕어낙시는1.5호나2호대물은2,5호나3호잉어향어는4호나5호특대물은6호이상씀니다. 참고로바늘굵기는2호까지는떡밥굵기에좌우하나 3호이상은어종에따라바늘호수가정해집니다. 저는원주서6호원줄에15호바늘를씀니다. 옆에서낚시하시는조사님5호원줄터질때 참 안탓갑슴니다.그럼즐낚하시고 참고됐으면합니다..........
참고로 시가맥스2호줄
신수향 29대 셋팅 강잉어
못잉어 양어장 고기보다
힘이 엄청 세어도 원줄 아무 이상없이 제압
첨부 강잉어 60다마
2호 원줄이라도 왠만해선
안터집니다
동일한 어종을 상대 한다면,

대 길이가 길어질수록 얇은 라인이 좋읍니다.

대의 탄성과 라인의 탄력을 더 활용할수 있기 때문이구요, 미세하지만 앞치기에도 도움이 됩니다.

유료터는 대상 어종이 선택된 상태에서 출조 하기에 미리 준비를 합니다.

자연지는 ? 이지요, 그래서 무조건 카본 4호이상 5호 까지 셋팅합니다. 주로 수초지역이구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1. 대부분은 1.5호~2호,,, "대의 길이와는 상관없이 통일" 인것 같네요^^

2. 노지와 양어장에 "1호" 정도 차이를 두는 것 같구,,,,기냥 사용하시는 분도 많구요^^(귀찬아서^^)
3. 대상어종에 1~2호정도 차이를 두시는 분도 계시고 ,
4. 낚시대의 종류(연, 경질 등)에 따라서 1호정도 달라 하시는 군요,,,

* 워리리님,,,"6칸대에 10호줄 터짐" 대박입니다^^
**new2001kr 님 6호줄에 15호 바늘도 대박입니다^^(워리리님 답변채택합니다^^,)
---두분있는 곳,,물고기들 모두 엄청난 곳인가 봅니다...

^^ 원하는 정보,,,나만의 궁금한 정보를 간단히 앉아서 알아볼 수 있는 "월척" 넘 좋은 것 같습니다....
^^또한 월님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댓글,,,,살아 숨쉬는 월척입니다....저두 열심히 댓글 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대어든 떡밥지렁이든 3호원줄에 2호 목줄씁니다... 번거러워서 ㅎㅎ
보통 나름 고기 제압에 자신있어 하시는 분들은 5호줄 터졌다 하면 챔질을 강하게 하거나 어딘가에서 실수를 해서 그랬겠지 하고 생각하실수 있습니다.. 솔직히 저도 고기 랜딩에 자신 있어 하는 편인데요 옆에서 3~4호줄 핑핑 날릴때 1.7호줄로 잉어 향어 엄청 잡아낸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곳은 제압이고 뭐고 없더군요.. 고기 걸고 2초도 않걸립니다. 두손으로 강하게 챔질하고 1초도 않되서 순간 않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듬니다. 보통 70짜리 잉어들은 챔질 하면 조금이라도 움찔하는 느낌이 나는데 여기서는 챔질하면 낚시대가 서지도 않고 그냥 고기가 가는쪽으로 쭉 뻗으면서 채비가 날라갑니다.. 이제 몇번 그러니 익숙해졌네요.. 낚시하러 다니면서 고기걸어서 채비 날려본게 이곳에서면 몇번째 인지 모르겠습니다.. 난생처음 원줄 터트려 본것도 거기서 에이스3호줄 입니다. 다른곳에서 가면 잉어향어 대물터라고 어쩌고 해도 1.5~1.7호줄에 그냥 붕어채비로 항상 낚시를 했습니다.. 채비날린적은 단 한번도 없었구요..
그런데 이곳은 무섭더군요.. 향어14호바늘도 않되서 이제 돌돔바늘하고 긴꼬리벵에돔 바늘을 사용합니다. 낚시대는 바다민장대를 포함 3.5칸 이하대로는 절대로 않된다고 거기 다니는 대물꾼들이 다같이 하는 말입니다.. 다른분들을 보니 기본 4칸대 이상 10호줄이더군요... 저도 올해에는 5칸바다민장대에 6호줄로 우선 도전해 봅니다...
저의 경험을 말씀드리자면...2호원줄에 수로에서 70다마되는 잉어 걸었는데....손잡이대 바로 윗대가 절단나더군요

줄이 터지는게 낫지 대가 절단나면 ...손해가 막급합니다 ㅋㅋ

원줄에 매듭을 없애고 사용하시면 맹탕인 경우 2호줄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의경우 양어장용은 모노 1.0~1.2호줄, 노지용은 모노 2호줄, 대물용은 5호 카본줄 사용합니다.
가방과 낚시대도 위와 같이 별도로 준비하고 있지만...조황은 뭐..늘..그렇습니다...ㅎㅎ
아 !!! 워리리리님처럼 6칸 정도의 장대는 아직 휘둘러보지 않아서 무어라 말할 수 없네요..
모노님!!
양어장 1.2호,,,,불안하지 않나요^^
저는 여지껏,,,,1.9호 아래로 써본적이 없어서,,,^^
아!,,,내림대 1대있는게,,, 1.2호 세팅되어있네요,,,

워리리리님~~~
"기본 4칸대에 10호줄"
,,,
그 무서분 곳이 어딥니까^^
낚시하는 환경에 따라 그리고 잡고자 하는 어종과 크기에 따라 원줄과 목줄 그리고 바늘의 채비를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노지에서는 대부분 카본 줄을 사용하고
양어장에서는 모노줄을 사용합니다.

딱히, 대의 길이에 따라 채비를 정해 놓고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저는 칸수별로 따로 사용합니다

예로 1] 1,7 - 에서2,1칸까지는 = 1,5호줄
2] 2,3 - 에서2,9칸까지는 = 2호나 2,5호줄 까지
3] 3,2 -부터 4,0칸 까지는 = 2,5호에서 3호줄까지 사용 하고 있네요

처음 낚시할땐 3호나 4호줄만 사용했지만 지금은 낙시대도 고급대이고 하다보니 가는 호수줄로 사용해 보건대
왠많큼에 대물들도 다 나오고 손맛밎 예민성도도 차이가 있는것같고 해서 앞으로는 2,5호줄 까지만 사용할 생각입니다
낚시줄도 비싼 고급줄이 아니고 [전에는 50m에24,000원짜리 사용했음] 지금은 100m다에 10,000원하는 쎄일품 사용중
입니다 무난하니 부담없이 쓸만해서 넘 좋으네요 ^^ 즐 낚 하시고 월 많이 하세요
맹탕이지만

시가에이스 3호줄로 쭉~~~~~ 갑니다~

갈아주기 번거롭고 너무 가늘면 생채기 나면 끊어지기 쉽고 퍼머의 위험도 있어서요 ,,==
^^ 칸수별로 따로 사용하시는 분도 더러,,,계시네요 고시촌 마당발님^^

저두 3칸까지는 2호줄,,,,그 이상은 3호줄을 사용하는데,,,,

언젠가 3.3칸에 2호줄을 매어 사용해봤더니 챔질시 줄이 늘어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로 쭈욱,,,나름 원칙???을 지킬려고 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냥 같은호수줄 사용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