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고수님들 조언듯고 메기낚시 할때 닭간을써봤읍니다 그런데 시장에서구한닭간이 냉동이어서그런지 바늘에 잘걸리지안아서 고생 많이했읍니다 냉동이라그런건지 아니면 자체가 약해서 그런건지 잘모르겠네요
고수 회원님들 닭간 활용법좀 알려주세요 장인어른이 메기매운탕을 너무사랑 하십니다 ;;
이쁨좀 받게 도움좀부탁드려요 늘안출하시고 어복충만하세요
메기낚시 질문입니다 닭간이특효라는건알고있어요 근데 너무약해서;;
-
- Hit : 3751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9
입질도 잘들어오고 냄새 또한 메기들이 환장하죠~ㅋ
바늘은 감생이 5호 이상 쓰시는게 좋고 닭간은 생닭간을 누벼 꿰기 식으로 꿰던가 아니면 냉동 닭간을
엄지손톱 만하게 짤라서 바늘에 관통하게 한다음 낚시하시면 좋습니다, 절대 떨어지지도 않고요 눈으로
보여 드리면 좋은데. 보여드리지 못해 아쉽네여`^^ 하지만 중요한것은 겉에만 끼지 말고 냉동은 꼭 관통해서
낌어야 합니다~^^
메기 잡아보고싶어요 저도 ㅠㅠ
경험이적어 눈으로 봤으면 더좋았을텐데...............ㅎㅎ 저도한번해봐야겠네요
에몽님 말씀하신 깨벌레는....... 너무비싸요 마리당 2000천원이면 후~~
사짜희망님 거머리도 가능한가요 헐~
저어릴쩍에 저수지나 수로같은데서 우렁이 잡으면서놀때 맨살에 덕지덕지붙은거 때어서 해볕에 말리곤했는데 ㅎㅎ
그럼놈들이 미끼가 돼는군요 출조나가서 잡으면 서용해보구 후기남기겠읍니다
바늘 12호에 떡밥크게 달고하다가 안 잡히길래 ㅋㅋ(지금생각해보면 웃음만..)
떡밥으로 안 잡혀서지렁이 왕창 끼었다가
그날 밤 메기만 잡은 기억이 있습니다 (메기만 7마리)
지금생각해보면 바늘 12호 ㅋㅋㅋ
그 후에 메기잡기도 재미있어서 미끼가 뭐가 좋은지 알아보다가
닭간이 최고라하여 생닭간 해봤는데요.. 정말 흐물흐물 바늘에 안 끼워집니다. 쏙~ 빠집니다
살짝 데쳐 사용하라고 하여 살짝 데쳐 사용해봤습니다
근데 냄새도 좀 고약하구요... 그닥 비추합니다.
(냉동닭간은 인터넷 구매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저는 지렁이 여러마리 꿰기를 추천해드립니다.메기 정말 잘나옵니다.
조금있으면 날씨 풀리고 물낚시 가능하실 봄에
5~6호바늘에 지렁이 3~4마리만 끼우고 밤낚시 해보세요
메기의 축복을 받으실꺼에요 (화성 대성지는 메기는 정말 많네요 ㅋㅋ)
생닭간을 얼린 상태에서 가위나 칼로 깍두기 처럼 쓰니까 저는 괜찮던데요.. 아니면 얼린 상태에서 깍두기 처럼 썰은다음 명주실로 잉어낚시용 짜개 처럼 십자가로 묶어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요건 릴낚시에 사용하는 방법이구요..
그래도 메기 낚시에는 산지렁이가 좋습니다.. 물론 잡히는 곳 마다 틀리지만 대체적으로 메기 하고 장어한테는 산지렁이가 특효입니다..
낚시점 지렁이 여러마리 꿰기보다 산지렁이가 좋구요..
거머리도 괜찮습니다.. 잔입질을 어느정도 버티지만 작은 빠가가 덤비기 시작하면 환장합니다.. 거머리가 질기기 때문에 먹지는 못하고 계속 끌고 다니고 삼키지도 못하고 릴낚시 거머리쓰면 빠가 많은 곳에서는 하루종일 딸랑됩니다..
그래도 무난한건 잡어가 많지 않다면 낚시점 지렁이를 향어바늘13호 정도에 아주 풍성하게 끼워서 사용하면 괜찮더라구요.. 저는 다른 미끼 구하기 힘들면 그렇게 씀니다... 바늘은 잉어바늘 보다는 향어바늘이 훅킹력이 더 좋습니다...
다년간의 메기낚시 다니면서 느낀점입니다... 물론 챔질 일부로 늦게 해서 바늘을 삼킬때까지 기다려서 챔질하실 요량이면 잉어바늘도 괜찮습니다...
메기 매운탕도 많이 먹으면 물리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메기 낚시 않다닌지가 꽤 된거 같습니다...
그래도 제일 저렴한 미끼는 옥션에서 미꾸라지 구입하셔서 기포기로 살려 놓고 쓰면 1년은 쓰실수 있습니다... 다만 미꾸라지는 대낚시로는 힘들구요.. 릴 낚시에 사용할때 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참 피래미 포떠서 사용해도 메기가 잘 먹는다고 하네요.. 저는 메기는 못 잡아 보고 가물치를 피래미 살로 잡아봤습니다...
메기 낚시에 "닭간"이 미끼로 좋다는 얘기를 옆에서 엿들은 사람이 "다깡(단무지)"으로 낚시를 했다는.... ^^
잘 배우고 갑니다 ~~
어느 저수지에서 어떤분이 썩은 다꽝으로..연신 메기를 잡고 잇엇는데..
옆에서 미끼는 무얼 사용합니꺼?...라고 묻자 다꽝이요..
그래서 잘못 알아듣고 닭간을 사용햇다더군요..
실제로 썩은 다꽝을 이용해 메기를 많이 잡은 분을 보았읍니다..
썩은 단무지는 닭간냄새보다 메기가 더 환장 한다는 그 분의 말쓰ㅁ...ㅎㅎㅎ
실화입니다.
제경험 한마디
1.지렁이만으로 충분
2.양식메기가 많으므로 쌍봉에 각각어분과 지렁이를 짝밥으로 쓰는게 좋고요
3.관리형저수지에서는 밤에 짧은대가 바람직 1.5에서 2칸대이하가 좋죠 밤에 물가로 붙는 성질이 있음
4.가끔 어분만 먹는 무식한 메기들도 있음 양식의 영향
5.비바람 부는날 긴대에 4칸대이상에서도 잘 나옴니다.
주로 큰놈들이 저도 90센티급 잡은경험 있음(30분이상 죽을 고생했죠ㅋㅋ)
미끼는 여러가지 종류가 많지만 우선순위 부터 나열하면
첫째가 깨벌레입니다.
깨벌래를 실로(2줄씩) 2-3 등분 묶고 잘나쓰면 메기와 붕어 대물급이 올라오지요
하지만 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둘째는 거머리입니다.
거머리의 장점은 잡고기가 별로 붙지안습니다.
셋째는 닭간입니다.
닭간도 잡고기가 별로 붙지않지만 냄새(비린내)가 아주 죽이죽입니다.
닭간을 쓸데는 냉동은 금물이며 잘라 쓸데도 힘줄인 있는 부분을 포함해서 잘라야 바늘에 미끼 이탈이 적습니다.
넷째는 산지렁이입니다.
산지렁이는 입질도 빠른 반면 잡고기가 많이 붙는 단점이 있습니다.
지렁이를 끼울때는 아주 큰놈을 2등분하여 목줄까지 끼워주면 좋습니다.
기타 돼지비개, 고등어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위의 4가지를 사용하면 될 것 같고요
메기낚시때 주로 릴낚시를 하지만 릴낚시는 대부분 목구멍까지 삼켰을때
챔질로 이어져 바를 빼기가 어렵고 낚시가 번거롭습니다.
대낚시를 다대 편성하면 조과도 좋고 손맛도 죽여줍니다.
메기낚시는 포인트 선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포인트는 제방 축대나 정초수초가 많이 있는 곳이 최고입니다.
메기 입질 시간대는 해가지면서 부터 10시 까지가 황금시간대이며
나머지 시간은 비슷하나 새벽 4시부터 여명시간까지가 조금 좋습니다.
회원 여러분!
한번쭘은 메기낚시도 한번 해보세요
대물낚시와는 또다른 맛이 있습니다.
즐거운 낚시 하세요.........
흙이나 모래에 살짝 굴려서 동그랗게 됐을때,꿰면 됩니다,
흙이나 모래가 묻어서사람에게 붙지도 못하고 잘꿰어집니다
평창강에서는 현지분들 송어릴낚시에 고등어 쓰시더라구요.. 루어대들고 송어잡으러 갓다가 그분들 잡는거 구경만... ㅡㅡ
암튼 육식어종에 고등어살 써볼만한 미끼입니다..
그 저수지 주변에 있는 지렁이 땅 무른곳 그냥 파서 쓰면 됩니다...
잔잔한곳 수초 근처에 지렁이 미끼에 잘 나옵니다.
저는 비가 온뒤에 뻘물이 지면 동생이랑 양동이(빠게스) 들고 지렁이 잡아서
낚시대 하나씩 들고 잡으러 다녔어요~ 메기 입질은 찌가 스르륵 잠기죠~ 찌가 없어지면 채면 됩니다. 손맛 굿~!
메기 낚시에 깨벌래 많이 쓰시던데 바늘 달다가 터지면 왠지 찝찝하죠 ㅋㅋㅋ
녹색피~~~~..
같은조건일때 살아움직이는 미끼가 더확실히 조과가 몇배이상 차이가 나는것같습니다.참붕어(빨리죽음).미꾸라지(오래살아있음.양식보다 자연산이더 오래살아서 좋음.)닭간이나 고등어는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면 바늘에서 잘벗겨지지는 않음.제개인적으론 자라 잡을때 사용하는 미끼입니다..비가내려서 흙탕물이내려올때 메기낚시는 제일피커입니다.단시간에 마리수 조과가 보장됩니다.
저도 닭 간을 많이 준비하여
냉동에 조금씩 계속 양을 늘리면서 보관 중입니다.
조금씩 녹여서 잘라서 쓸려고요!
바늘13호,정도,평균입수하고3일정도가더군요풀어지지않고,비늘없는고기는다잡힙니다
특히장어나자라메기는기본이구여,한번해보세요고등어한마리포뜨면40~50덩어리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