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목줄 단차

조사님들 께서는 목줄을 사용할때 길이를 같이 해서 사용하시는지요? 저는 목줄에 단차를 주는것이 좋을것 같아서요 단차를 주는 것과 아니면 같이 사용하는것에 어떤 차이가 있느지요 ? 단차를 준다면 얼마 정도가 적당한지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특히 예민한 유로터 낚시에 조과가 차이가 날것 같아서요

약2cm 주고 미끼 판별이 편하고
단차 없어도 차이는 느끼지 못한듯 합니다
저는 15cm 미만으로 목줄 길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단차를 주지 않습니다.
간혹 목줄의 한 쪽을 15cm 넘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는 약 3~5cm 정도의 차이를 둡니다.
생미끼(지렁이) + 떡밥(혹은 글루텐), 신장떡밥 + 글루텐, 옥수수 + 글루텐 등 미끼 구분을 위해 단차를 두는 경우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바닥 상태에 따라 긴목줄 한쪽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바닥낚시에 단차를 준다면 가지바늘채비가 조금 유용할듯 합니다
여건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길수록 유리한 면도 없지않아 있겠지만요
바닥에서 단차는 길어야 3~5입니다
저의 경험으로 말씀드린겁니다 ^^
늘 안출하시길 바랍니다
습관적으로 바늘 목줄 멜때 2센티를 주긴 하는데, 단차를 주건 안주건 차이는 별로 없는것 같습니다.
짧은목줄 (15 20) 사용때 단차 5cm
긴목줄 (10 30) 사용때 단차 10cm
이렇게 사용해보니
차이점이 확 느껴지더군요
토종터 입질 활발할때는 차이가 별로 느껴지지 않지만
유료터나 입질이 예민한 시기에는
차이가 확실히 날겁니다
저는 단차랑 큰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실험결과 큰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단차 없이 바늘 두개가 겹처지면 떡밥과 구르텐 사용시 나중에 같이 바늘이 몰려 있어서

예민한 입질에 아무래도 둔할것 같아서 확인한 것입니다.

또 두바늘 미끼를 동시에 먹을 수도 있을것 같아서요
목줄 색이나 바늘 색을 달리하면 단차 안줘도 구분이 쉽고요 제 경우는 지렁이 글루텐 짝밥이나 지렁이 쌍바늘 낚시할때 지렁이가 서로 감는 경우와 떡밥 목줄은 감는것을 막기위해 단차를 줘서 지렁이를 아래에 달아요
봉돌이 바닥에 닿지않고 떠있는 채비에서 단차운용이 조과에 더 차이를 주는것 같습니다.
저는 봉돌부터 두바늘 미끼까지의 상태를 일부러라도 다르게(길이.무게.크기.미끼종류.미끼상태 등등)설정하고 합니다. 남들보다 특별히 더잘잡지는 못하지만, 나름 작전짜는듯한 즐거움도 있지요.
바닥 낚시.
쌍바늘 낚시할때 단차를 주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짝밥을 사용할때. 뭐를 먹고 나왔냐..알기위함일뿐.

바닥 쌍바늘이라면. 단차주고 말고는 조과와 차이가
없습니다.

내림이나 중층에선 단차의 차이가 조과의 차이입니다.
아. 하나 더.생각났습니다.
떡밥 달때 약간의 단차는 바늘에 떡밥달기가
수월합니다
윗 분 말씀이 가장 좋은 장점이죠!
봉돌이 떠있고 미끼만 바닥에 다 있을때는 차이가
있긴합니다만, 봉돌이 바닦에 있을경우는 차이가
없는듯하네요 내림낚시에서 슬로프낚시 할때
긴 목줄에 단차를 주거나 중층낚시 할때 10센티에서 많케는 단차를 30이상도 줍니다
지렁이 글르텐 선별할때는 꼭 줍니다
외바늘만 사용하니 고민할께 없어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