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지인께서 제가 활동하는 카페에 글을 올리셧습니다.
이렇게 붕어들이 바글바글하게 떠있는 이유가뭘까요?
단지 산란때문일까요?
너무신기하고 놀라워서 여쭙습니다~~
채비걷으면서 붕어들이 원줄에 다 튕긴다고하네요 ㅎㅎ
무슨 현상이지요...?
-
- Hit : 1684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56
산란은 아닌것 같고
물의 탁도가 과하거나 용존산소 부족 등
환경 조건의 변화로 보여집니다
산소부족해서 떠있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단체로 일광욕하러나온건가요
아주 보기드믄현상같아보여요~~^^
어류정에서도 저렇게 떠 있던대요
문뜩 투망들고 달려가고싶네요..
산소부족인듯
붕어가 뜨는 이유는 환경입니다
제일 중요한 환경은 산소때문입니다
산소 아니면 붕어가 띨 이유가 없어요
자기가 흡입하는 공기보다 수중공기가 나쁘기 때문입니다 이건 확실해요
지난 여름 수로부근에서도 이와같은 현상 본적있습니다..
그날낚시접고 왔습니다...바닥낚시 안되고 붕어 떠있는거 신경쓰여 일찍 접고 돌아온 기억이있네요
나이많은 붕어는 힘이 그만큼없겟지요. 특히 물 안좋은곳은 심합니다.낚시는 맑은물과 거름냄새 안나는곳에서 하세요.
공사로인한 흑탕물. 물부족.
또는 흘러들어온 폐수로 인한
산소부족이 아닐경우 저수지는
적정한 산소를 유지합니다.
그리고 산소가 부족하면 모든 붕어가
입만 수면 밖으로 내놓고 호흡을 하지요
제가 낚시하는곳에서도 봤지만
가까이 무리지어 유영하다 사라질뿐
입을 내놓고 헐떡거리지는 않더군요.
수면이 빠졌네요
장거리 수영하다 숨이찼나? ㅎ
한꺼번에 몰려 다니다보면
산소가 부족할수도 있겠네요.ㅎ
옛날 안내양 있던시절 만원버스
탄거 맹키로ㅡㅎ
잘 하고 갑니다^^
2. 수질이 붕어에게 해로울 때
3. 용존산소 부족
이중에 답이 있을겁니다.
분명 뻐금뻐금 거리기도 합니다...
산란기때에 부근으로 많은 고기들이 모여들어서 부근물에 녹아있던 산소를 많은고기들이 마시게되며 그로인해 물에녹아있던 용존산소량이 적어져서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이때에 낚시하면 잘 안잡히지만. 그날 저녁에 낚시를하면 제법잡힙니다....
아주 오래전 낚시하다가 너무 황당한 경우를 봤읍니다.
밤새 입질이 없었는데요, 아침에 보니 뒤쪽에 모내기하려고 담궈둔 논물에 붕어들이 바글바글~
따스한 수온따라 논까지 다 올라 온 겁니다.^^
물빠지는곳에 살림망 입구를 대고 살림망 가득 잡은 적이 있읍니다.^^
산란을 앞두고 알자리낳기 좋은 수온이 높은 곳에 모두 몰린 겁니다.^^
이때는 붕어들이 제정신이 아니지요~
그리고. 얼마전 웅덩이에 수천마리의 올챙이떼들이 모여서 수영하는것 본적은 있습니다. ㅎㅎ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오는 현상 같네요.
물속으로 단체로 잡아당길려고 집합한거 같은데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