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기가 조금 다르지만 릴 낚시도 나름 괜찮습니다.
물론 질문하신 릴을 이용하여 찌 보기 낚시는 아니지만, 예전에 늦가을이 되면 수초등이 삮아내리고 수온이 니려가
물고기가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면 대낚시로는 고기보기 어려워서 한 동안 전문적으로 릴낚시를 했습니다.
많이 아시는 원투낚시인데 조금 방법을 달리했지요.
시끄럽게 방울 안 달고 릴 대를 앞으로 거치하기도 하고 요즘 받침틀 같은 릴 대 받침틀도 있었습니다.
앞 뒤로 두 개식 꽂고 릴 대를 옆으로 누여 놓고 하는 방법인데 주로 끝보기 입니다.
입질이 오면 대가 탁탁치거나 크게 휘어지는데 눈이 호강하며 찌 올림 못지않고 걸리면 거의 대물입니다.
단지 조건이 릴대가 초리대가 솔리드 보다는 카본이 손맛이 더 있고 릴은 볼베어링 4~10볼 이상 원줄은 모노줄 2호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미끼는 지렁이 봉돌이 중요한데 홋수로 릴봉돌, 10호 정도 채비는 2바늘 지누4호 가지채비로 하면 상당히 또다른 매력에 빠지게 됩니다.
잘 던지면 100미터도 더 날라갑니다.ㅎㅎㅎㅎ
요즘 툭정기간에 댐에서 장어낚시를 그렇게 하기도 하는데 원줄과 바늘이 달라지겠죠.
질문과 생둥맞는 답변이지만 갑자기 옛날 생각이 나서 긴 글 달아봅니다.
바다낚시를 처럼 전층 낚시를 하시면 될것 같은데 올림낚시 하신다면 멀리는 던져도 가까운데는 던지기 무척 힘듭니다 저도 해봤는데 봉돌하고 미끼를 크게 달아야 하죠,,,,,그냥 민장대 무거우심은 팔힘을 기르시던지 아니면 잚은대로 수초 권을 노려 보시는게 어떠실지요,,,힘보다는 낚시도 레포츠니 힘과 기술 이 많이 들어 갑니다 ,,,저녁에 가서 그다음 아침에 나오면 팔에 엘보 오고 배가금방 꺼지더군요,,,그래서 낚시 갈때는 먹을것을 많이 챙겨갑니다 ,,,,
저 이거 학생 때 많이 해봤습니다. 결정적인 문제는 앞서 지적해주신 제 포인트, 제 수심에 떨어뜨리기가 어렵다는 점이고(찌톱이 서너 마디씩 차이가 나 심리적으로 불안합니다) 부가적인 문제는 이상하게 챔질이 잘 안 됩니다. 늘어진 줄 때문인지는 몰라도 걸림이 잘 안 되더군요. 걸림만 잘 되도 계속 썼을 텐데 걸림 문제로 안 썼습니다. 아무래도 대끝으로는 살짝 채도 짧고 강하게 박히지만 늘어진 줄을 당기는 것은 흐느적대서 그런지 순간적인 박힘이 안 되는 게 원인 같습니다.
릴로 정투하는 팁을 말씀 드립니다
원하는 포인트에 몇번투척해보시고
릴드랙에 보면 줄걸이가 있습니다
거기에 포인트 길이만큼 풀린 상태에서 줄걸이에 줄걸어놓으면 그정도 길이에서 줄이 멈춰서 같은 거리만큼 갑니다 다만 좌우는 능력껏 마주셔야하고 너무 세게 던지면 줄걸이에서도 좀더 땡겨서 나나질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무선조종 보트로 하는 낚시가 생각나네요 ㅋㅋㅋ
예전에 FTV에서 RC로 조종하는 보트에 바늘이랑 미끼 달고 이리저리 다니면서
결국 어떤고기였는지 생각은 안나지만 무었인가 잡아내던 방송이 생각나네요
지금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암튼 님의 질문에 갑자기 이 생각이 나서 적어보았습니다.
근데 손맛 중요시 하시면 릴낚시는 비추입니다.
저도 소실적에는 고기한마리라도 더 잡아볼려고 대낚시 하면서 릴도 몇개 던져놓고 햇는데
지금은 오로지 대낚시만 합니다.
릴은 손맛이 영 별루라서요
안녕하세요.
저도 나름 장대는 몇대 사용하고 잇지만 정출에선 사용을 안하지만 개인출조에선 두대이상 쓰고있습니다.
앞치기로 캐스팅해도 되고 릴투척식으로 해도 되고 단점보단 장점이 많은 낚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줄엉킴만 조심하시면 6~8칸대 부럽지 않습니다.
하시다보면 즐낚되실겁니다.
원하는곳에 찌를 세울수 있을까요
릴보다는 오히려 민장대를 권합니다
방법은 민장대에 줄을 엄청? 길게 메어서 쏠채로 투척하면 됩니다
이방법은 아주 오래전 댐낚시할때 바닥밑걸림이 심하여 릴을 던질수 없을때
2봉이나 3봉에 떡밥을 크게 달아 솔채로 던지는 경우로 특히 장박꾼들이 사용하던 방법입니다
원하는 포인트는 줄길이로 조정하시면 되고요
몇번 던져보면 비교적 원하는 곳에 정확히 투척이 가능합니다^+^
투척은 의외로 정확도 있습니다.
날아가는 줄길이 맞춰서 던지면 생각보다 정확하게 날아 갑니다.
릴생각 납니다
그래서 해봤습니다
바다채비와 민물채비 섞어서. . .
상당히 그럴싸하게 날아갑니다 찌맞춤 조금
어렵습니다 하지만 요령이 생기면 할만합니다
찌올림도 죽여줍니다
그런데 비추 입니다 손맛이 없어요
손에 착 감기는 그맛이 없어서 거의않합니다
바닷고기처럼 째는 맛이있는것도아니고
결론은릴찌낚 가능하다 재미없다
진짜 넣어보고싶은포인트 찌르기라면 한번쯤 ^^*
물론 질문하신 릴을 이용하여 찌 보기 낚시는 아니지만, 예전에 늦가을이 되면 수초등이 삮아내리고 수온이 니려가
물고기가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면 대낚시로는 고기보기 어려워서 한 동안 전문적으로 릴낚시를 했습니다.
많이 아시는 원투낚시인데 조금 방법을 달리했지요.
시끄럽게 방울 안 달고 릴 대를 앞으로 거치하기도 하고 요즘 받침틀 같은 릴 대 받침틀도 있었습니다.
앞 뒤로 두 개식 꽂고 릴 대를 옆으로 누여 놓고 하는 방법인데 주로 끝보기 입니다.
입질이 오면 대가 탁탁치거나 크게 휘어지는데 눈이 호강하며 찌 올림 못지않고 걸리면 거의 대물입니다.
단지 조건이 릴대가 초리대가 솔리드 보다는 카본이 손맛이 더 있고 릴은 볼베어링 4~10볼 이상 원줄은 모노줄 2호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미끼는 지렁이 봉돌이 중요한데 홋수로 릴봉돌, 10호 정도 채비는 2바늘 지누4호 가지채비로 하면 상당히 또다른 매력에 빠지게 됩니다.
잘 던지면 100미터도 더 날라갑니다.ㅎㅎㅎㅎ
요즘 툭정기간에 댐에서 장어낚시를 그렇게 하기도 하는데 원줄과 바늘이 달라지겠죠.
질문과 생둥맞는 답변이지만 갑자기 옛날 생각이 나서 긴 글 달아봅니다.
솔직히 80%는 월척급입니다.
갯바위 530/ 0~1호 정도면 손맛도 좋습니다.
제가했던 채비는 중통식 입니다.
장찌50~70cm에 바다용 지톱으로 튜닝
찌의 부력보다 다소 무거운 유동봉돌
목줄0
목줄은 25~30 바늘위9센치 연주찌달고.
미끼를 띄워서 사용했습니다.
조과는 붕어보다 발갱이가 더 올라왔습니다.
그리하더만요
수초군과 인접한경우 그냥두고 잠이라도 자면 필히 걷어놔야지
그냥뒀다가 입질이라도 받으면 난리납니다
제가생각해봐도 손맛을 없을것 같네요.
원하는 포인트에 몇번투척해보시고
릴드랙에 보면 줄걸이가 있습니다
거기에 포인트 길이만큼 풀린 상태에서 줄걸이에 줄걸어놓으면 그정도 길이에서 줄이 멈춰서 같은 거리만큼 갑니다 다만 좌우는 능력껏 마주셔야하고 너무 세게 던지면 줄걸이에서도 좀더 땡겨서 나나질수도 있습니다
막대찌 0.8호 수중봉돌1-1.2호
목줄만 민물 바닥낚시 데로 하세요
경험상 530대는 정확한 투척이 힘들었습니다
길이도길고 낭창거려서 걸리적거리며 꼬임도 잦았고
쫌 큰놈 걸려서 들어뽕하다가 초릿대도 부러지고
불편했습니다.
릴대는 원투용 360 정도가 좋았습니다.
실패 ㅡ.,ㅡ
예전에 FTV에서 RC로 조종하는 보트에 바늘이랑 미끼 달고 이리저리 다니면서
결국 어떤고기였는지 생각은 안나지만 무었인가 잡아내던 방송이 생각나네요
지금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암튼 님의 질문에 갑자기 이 생각이 나서 적어보았습니다.
근데 손맛 중요시 하시면 릴낚시는 비추입니다.
저도 소실적에는 고기한마리라도 더 잡아볼려고 대낚시 하면서 릴도 몇개 던져놓고 햇는데
지금은 오로지 대낚시만 합니다.
릴은 손맛이 영 별루라서요
하는군요..ㅎㅎ
걍 힐링낚시 하셔요.
꼭 잡아야 할 목적은 않입니다
물가에서 찌불 보면서
그러다 간간히 손맛 보면서
힐링 하셔요.
죽자살자 잡기 본단요.ㅋㅋ
월척들을 잡던 생각이 새록새록 나는군요
저도 나름 장대는 몇대 사용하고 잇지만 정출에선 사용을 안하지만 개인출조에선 두대이상 쓰고있습니다.
앞치기로 캐스팅해도 되고 릴투척식으로 해도 되고 단점보단 장점이 많은 낚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줄엉킴만 조심하시면 6~8칸대 부럽지 않습니다.
하시다보면 즐낚되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