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 채비는 인터넷으로 찾아 보면 정확한 정보가 있으며 개인적으로 방랑자 채비를 다양하게 응용한 방법도 상당히 많이있습니다.
제가 직접 해보고 알고 있는 기본으로 하는 김태우씨의 방랑자채비 입니다.
원 봉돌에 약간 긴 목줄을 사용한 것으로 내림채비와 같은 두 목줄 중에서 긴 목줄 하나에 스위벨이나 좁쌀봉돌을 추가로 단 것을 방랑자채비라고 합니다.
좁쌀봉돌을 물린 목줄을 항상 바닥에 닿게 하고 나머지 바늘은 바닥에 살짝 뜨도록 가볍게 찌맞춤을 하는 것인데 이것이 포인트 입니다.
목줄이 긴 내림은 주로 빨려들어가는 입질이 많으나 방랑자채비는 대부분 올림입질이 주로 나타납니다.
이것은 분할봉돌채비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물고기가 바닥이 아닌 뜬바늘에 입질을 하여도 좁쌀봉돌은 바닥에서 살짝 떠오르기에 약간의 찌올림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방랑자채비는 아주 예민하게 가벼운 찌맞춤을 원칙으로 하고 원 줄은 모노 2~2.5호, 목줄 1~2호, 찌는 가능하면 35~45cm 길이에 5~6호 부력 유선형찌로 합니다.
긴 목줄 15~25cm에 짧은 목줄은 5cm정도로 짧게 단차를 주고 그냥 두 가닥으로 묶기보다는 덧바늘이나 가지채비 바늘로 하면 줄 꼬임이 덜 합니다.
바늘은 붕어바늘 5~8호, 생미끼 사용시 지누 3호 까지도 괜찮습니다.
찌 올림이 예민하여 저수온 시기나 바닥이 지저분할 때는 좋지만 활성도가 높은시기는 상당히 귀찮은 낚시가 될 수 있습니다.
원봉돌이 바닥에 위치하고 바늘한개는 바닥에 닿고 한개는 떠있는 상태 로 낙엽이나 삭은수초 청태등 이 쌓여서 바닥이 고르지못한 지형에 서 주로사용하는 채비입니다.
이런채비는 특성상 찌는 막대형 찌가 유리할것같구요 원줄은 모노줄이 유리할것같군요 윗바늘에 입질하면 찌는 깜박 하고 예신을보내주고 곧 찌가 내려가거나 올라오거나 합니다 장점은 흡입시 찌가 깜박~ 합니다 입속에 들어가는 과정이 표현이 된다는것입니다
제가 써본 결과로는 단점은 투척시 하강하면서 채비가 윗바늘과 아랫바늘이 자주 엉킨다는 점 이었습니다
제가 직접 해보고 알고 있는 기본으로 하는 김태우씨의 방랑자채비 입니다.
원 봉돌에 약간 긴 목줄을 사용한 것으로 내림채비와 같은 두 목줄 중에서 긴 목줄 하나에 스위벨이나 좁쌀봉돌을 추가로 단 것을 방랑자채비라고 합니다.
좁쌀봉돌을 물린 목줄을 항상 바닥에 닿게 하고 나머지 바늘은 바닥에 살짝 뜨도록 가볍게 찌맞춤을 하는 것인데 이것이 포인트 입니다.
목줄이 긴 내림은 주로 빨려들어가는 입질이 많으나 방랑자채비는 대부분 올림입질이 주로 나타납니다.
이것은 분할봉돌채비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물고기가 바닥이 아닌 뜬바늘에 입질을 하여도 좁쌀봉돌은 바닥에서 살짝 떠오르기에 약간의 찌올림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방랑자채비는 아주 예민하게 가벼운 찌맞춤을 원칙으로 하고 원 줄은 모노 2~2.5호, 목줄 1~2호, 찌는 가능하면 35~45cm 길이에 5~6호 부력 유선형찌로 합니다.
긴 목줄 15~25cm에 짧은 목줄은 5cm정도로 짧게 단차를 주고 그냥 두 가닥으로 묶기보다는 덧바늘이나 가지채비 바늘로 하면 줄 꼬임이 덜 합니다.
바늘은 붕어바늘 5~8호, 생미끼 사용시 지누 3호 까지도 괜찮습니다.
찌 올림이 예민하여 저수온 시기나 바닥이 지저분할 때는 좋지만 활성도가 높은시기는 상당히 귀찮은 낚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채비는 특성상 찌는 막대형 찌가 유리할것같구요 원줄은 모노줄이 유리할것같군요 윗바늘에 입질하면 찌는 깜박 하고 예신을보내주고 곧 찌가 내려가거나 올라오거나 합니다 장점은 흡입시 찌가 깜박~ 합니다 입속에 들어가는 과정이 표현이 된다는것입니다
제가 써본 결과로는 단점은 투척시 하강하면서 채비가 윗바늘과 아랫바늘이 자주 엉킨다는 점 이었습니다
바닥에 누워있는 미끼보다 떠있는 미끼는 움직인다는 사실입니다 주변에 붕어들이 물결을 만들때나 입질할때 입으로 불면 생동감있게 움직인다는것입니다.
낚시할때 바늘에 삭은수초가 끈임없이 걸려나올때 바닥채비는 찌를 좀처럼 올려주지 못하고 입질이 지저분하여 덧바늘을 사용해본적이 있습니다
효과 만점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