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 상태가 본봉돌에서 바늘까지 이르는 구간에 어떤채비가 들어가든지
찌를 주력으로 붙잡고 있는 본봉돌에서 바늘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찌의 반응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외곡도 꽤나 생기는 편으로 찌움직임으로 고기 씨알분별력도 좀 떨어지는 편이죠.
특히 옥내림과 같은 30cm급 긴목줄채비는 붕어가 먹이활동을 함에 있어 당연히 하는 찌올림 조차
묘사하지 못하고, 그게 큰고기인지 작은고기인지도 판단하기도 힘들죠.
챔질타이밍 또한 완전히 물고 끌고가고 있는 단계라 생각되는 시점에 챔질을 구사하는 경우가 많죠.
본봉돌에서 바늘까지의 거리가 먼 채비들은
찌가 아직 솟고 있음에도 바늘에서는 뱉어내고 있는 타이밍일수도 있고,
찌가 정점에 정확히 다다르는 시점에 바늘에서는 뱉어내고 있는 타이밍일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낚시를 하시려면, 분할같은 것 없이 1봉돌에 1본바늘 목줄은 적당히 짧게, 찌는 유체저항(항력)이 큰 다루마형 보다는
유체저항이 적은 찌몸통이 옥내림찌처럼 날렵한 것이 좋습니다. 표현이 정확한 채비이지만 역으로 찌를 중후하게 올려주는 준수한 씨알의 붕어가 아닌이상 찌움직임이 까부는 형태로 나와서 좋은 찌맛 보는 것은 포기해야 합니다.
표현력이 조금 둔감한 채비를쓰시면, 챔질타이밍의 적당한 패턴을 찾아내는 것도 현장 감각에서 익히는 유저의 몫입니다.
느린 타이밍의 채비라면, 예정타임보다 적당히 빨리 챔질해주는게 좋을거라 생각되네요.
찌의 호수에 따라서 좁쌀봉돌을 달리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저같은 경우 떡밥낚시를 주로하는데 3호 봉돌먹는 경우 b봉돌 3호이상 4~5호 같은 경우 2b좁쌀을 물려서 합니다.그리고 현장에서 찌맞춤을 하는데요. 캐미빼고 모두 다 장착한 상태(바늘까지)에서 고무 수평맞춤해서 사용합니다.낚시에 정답은 없지만 제가해본바로는 현재까지 아무이상ㅈ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좁살이 바닥에 안착이 안되어있는듯 합니다.
찌맞춤시 물밑에서 서서히 올라오는 수평맞춤을 하시고요
찌를 주력으로 붙잡고 있는 본봉돌에서 바늘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찌의 반응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외곡도 꽤나 생기는 편으로 찌움직임으로 고기 씨알분별력도 좀 떨어지는 편이죠.
특히 옥내림과 같은 30cm급 긴목줄채비는 붕어가 먹이활동을 함에 있어 당연히 하는 찌올림 조차
묘사하지 못하고, 그게 큰고기인지 작은고기인지도 판단하기도 힘들죠.
챔질타이밍 또한 완전히 물고 끌고가고 있는 단계라 생각되는 시점에 챔질을 구사하는 경우가 많죠.
본봉돌에서 바늘까지의 거리가 먼 채비들은
찌가 아직 솟고 있음에도 바늘에서는 뱉어내고 있는 타이밍일수도 있고,
찌가 정점에 정확히 다다르는 시점에 바늘에서는 뱉어내고 있는 타이밍일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낚시를 하시려면, 분할같은 것 없이 1봉돌에 1본바늘 목줄은 적당히 짧게, 찌는 유체저항(항력)이 큰 다루마형 보다는
유체저항이 적은 찌몸통이 옥내림찌처럼 날렵한 것이 좋습니다. 표현이 정확한 채비이지만 역으로 찌를 중후하게 올려주는 준수한 씨알의 붕어가 아닌이상 찌움직임이 까부는 형태로 나와서 좋은 찌맛 보는 것은 포기해야 합니다.
표현력이 조금 둔감한 채비를쓰시면, 챔질타이밍의 적당한 패턴을 찾아내는 것도 현장 감각에서 익히는 유저의 몫입니다.
느린 타이밍의 채비라면, 예정타임보다 적당히 빨리 챔질해주는게 좋을거라 생각되네요.
저는 그런걸 "정직한 채비"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채비에 맞는 챔질에 적응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