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송귀섭씨가 쓰신글을 본적이 있는데요...자신이 운영하는 평산가인이라는 클럽회원들이 수년간 월척을 잡았던 날과 달의 크기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결론은 그닥 차이가 나지 않는다...라는걸로 기억하네요. 포인트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름달이 뜬 날은 수심얕은곳은 되도록 피하면서 그늘진 곳을 노린다면 입질을 받을수 있지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저의 경우 보름 근처에선 달이 환하던 흐리던간에 재미를 본적이 없습니다.
특별한 경우 아니면 보름달뜨는 음력 15일의 앞뒤로 사나흘은 아예 출조할 시도조차 안합니다.
저도 오래전에 보름날 딱 한번의 입질에 덩어리 한수 했는데 , 그것 잡았다고 조과에 영향이 없다고는 단정치 못합니다.
붕어도 생명체라 서식환경에 이상이 생기면 움추립니다.
평소와 같지 않은 하얀밤에 입질을 왕성하게 할 확률은 평균치 이하가 아닐까 생각 합니다.
낚시에 관해서 현상을 설명할때 단정해서 기다 아니다를 말할수 없으므로 의견이 분분한것은 인정하지만
영향이 없다라는 분들은 보름경에 낚시를 꾸준히 해보시고 장소도 다양하게 옮겨 보시고 결론을 내리셔야 할것 같습니다.
저는 농섞인 말로 붕어가 월사하는 날이라 예민해서 입질 안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ㅎ
보름달이 붕어의 경계심을 높여서 조과를 떨어뜨린다는게 일반적인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경험상 보름달이 좋은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걸 확실히 실감 합니다만
그렇다고 기대를 버릴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보름달 아래서도 좋은조과를 보이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제 짐작에는
조과에 영향을 주는게 보름달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보름달에서도 다른게 좋으면 조과가 좋고
달이 없는 밤에도 다는게 안좋으면 안좋아 지는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 다른게 뭔지를 정확히 모른다는거고
설사 안다해도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라면 그 조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테니 어려워 질거라는 거죠...
자연의 이치라는게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은듯 합니다.
낚시란게 하면 할수록 생각하면 할수록 더 어려워 지는걸 느낍니다.
제 경험상 보름에 재미본 기억이 별로 없네요 전 주로 한자리만 파는 스타일이거든요
외국의 한단체에서 조사했다는데요 잔인한수법의 강력범죄율이 보름이 제일 많았다더군요 한국에서도 보름에 도난,절도사건이 제일 많다고하고..... 조수간만의차.... 이것도 달에의해이루어지죠
인간은 못느끼지만 천재지변이 일어나기전 우리가 쉽게 미물이라고말하는 존재들은 이미 대피를 하는경우를 볼수있습니다 가령 지진이인ㅅ어나기전 두꺼비가 떼로 이동을한다던가., ... 새들이 갑자기 이동을 한다던가.....
제생각이지만 아마도 붕어들도 보름에는 우리가느끼지못하는것들을 느끼고 긴장하고 있지않나~싶습니다
1.보름달이 뜨면 조과가 궁금합니다.
2.똑같은 (보름)달이 떴을때...
3.빛의 강도의 따라...
4.조과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5.어느날은 조과가 좋습니다.
6.어떤날은 조과가 전혀 없습니다.
7.달 빛의 강도가 (강)하면 입질이 뜸합니다.
8.달 빛의 강도가 (약)하면 입질이 왕성합니다.
9.(초승달)떴는데...
10.빛의 강도가 강하면...
11.보름달 역활을하여...
12.입질이 뜸합니다.
13.(보름달)이 떴는데...
14.빛의 강도가 약하면...
15.(초승달)역활을하여...
16.잦은 입질이 있습니다.
17.(달)(빛)의...
18.(강도) 차이에따라...
19.조과는 달라집니다.
21)보름날에 붕어들이 주로 숨는곳은 벼랑이나 급경사면입니다
22)어둠속에서 숨어사는 붕어들은 깊은곳을 찾아 들어가기에
새벽달이 지고 아침해가 떠오르기 전이
최고의 타이밍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근데 오늘은 어제 비가 와서 그런지 폭발적이네요
가끔은 이런 보름달도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
저의 경우 보름 근처에선 달이 환하던 흐리던간에 재미를 본적이 없습니다.
특별한 경우 아니면 보름달뜨는 음력 15일의 앞뒤로 사나흘은 아예 출조할 시도조차 안합니다.
저도 오래전에 보름날 딱 한번의 입질에 덩어리 한수 했는데 , 그것 잡았다고 조과에 영향이 없다고는 단정치 못합니다.
붕어도 생명체라 서식환경에 이상이 생기면 움추립니다.
평소와 같지 않은 하얀밤에 입질을 왕성하게 할 확률은 평균치 이하가 아닐까 생각 합니다.
낚시에 관해서 현상을 설명할때 단정해서 기다 아니다를 말할수 없으므로 의견이 분분한것은 인정하지만
영향이 없다라는 분들은 보름경에 낚시를 꾸준히 해보시고 장소도 다양하게 옮겨 보시고 결론을 내리셔야 할것 같습니다.
저는 농섞인 말로 붕어가 월사하는 날이라 예민해서 입질 안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ㅎ
경험상 보름달이 좋은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걸 확실히 실감 합니다만
그렇다고 기대를 버릴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보름달 아래서도 좋은조과를 보이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제 짐작에는
조과에 영향을 주는게 보름달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보름달에서도 다른게 좋으면 조과가 좋고
달이 없는 밤에도 다는게 안좋으면 안좋아 지는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 다른게 뭔지를 정확히 모른다는거고
설사 안다해도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라면 그 조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테니 어려워 질거라는 거죠...
자연의 이치라는게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은듯 합니다.
낚시란게 하면 할수록 생각하면 할수록 더 어려워 지는걸 느낍니다.
그닥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날도 있습니다.
25) 이 것 저 것 가리면 언제 낚시 다닙니까?
인생 현재 수명 남자 78세 여자 81세
뒤 돌아 보지말고 낚시 다니자구요~~^^
26) 이상 번호 "끝"
오히려 밝아서 낚시하기 변하더군요.
바다 물때와는 관계가 있는 것 같더군요.
외국의 한단체에서 조사했다는데요 잔인한수법의 강력범죄율이 보름이 제일 많았다더군요 한국에서도 보름에 도난,절도사건이 제일 많다고하고..... 조수간만의차.... 이것도 달에의해이루어지죠
인간은 못느끼지만 천재지변이 일어나기전 우리가 쉽게 미물이라고말하는 존재들은 이미 대피를 하는경우를 볼수있습니다 가령 지진이인ㅅ어나기전 두꺼비가 떼로 이동을한다던가., ... 새들이 갑자기 이동을 한다던가.....
제생각이지만 아마도 붕어들도 보름에는 우리가느끼지못하는것들을 느끼고 긴장하고 있지않나~싶습니다
낚시 하라 항상 가로등 불빛 때문에 달빛에 영향을 별로받지않는다 실재로 입질한번 못 보다가
가로등 밑으로 옴기더니 월척 2~~~~3수 잡아내는거 보여주던데 그생각 나네여
지난 일요일이 슈퍼문이었는데 전 대박쳤어요.
대충 세어봤는데 40마리는 넘었어요.
늘상꽝이라 탓할건없지만 가로등아래서 낚수했는데
너무밝아서 운치가 떨어지더군요.
시간 개념도 없어지고요. 너무 밝으니 ㅎㅎ
상관은 있는듯하나 영 안되는것도 아니다.뭐 저는 이렇게 보고요.
송귀섭선생님 글에서 본기억으로는 만월에 가까울수록 육식성어류의 활성도가 올라가고 초승달에 가까울수록 반대이다 라고하시더만요. 그니까 붕어는 후자쪽이 유리하다라고 본거 같습니다.
물가에 앉아서 찌보는 재미로 낚시 다닙니다
그런대 보름인데도 불구하고 찌가 몸통까지 올리는 경우도 더러 보았구요.
아주약한 입질이나마 밤새이어져서 살림망채운 적도 있엇읍니다.
그렇다고 저는 영향없다고 말하진 않습니다.
분명히 보름달은 부정적인 영향이 있읍니다.~^^
보름달이 떠서 환하면 이어지던 입질이 뚝 끊기는 경험을 더 많이 했으니까요.
확실하다고 느끼는건 보름달이 뜨면 입질의 빈도나 조과등
확연히 적다느낍니다 .
물에비치는 달빛이 생각보다 고기들에게는 크게 미칠껍니다 .
수면도 환해지지만 그로인해 낚시인들의 조금의 움직임도
그림자로 크게 움직여 집니다 .
경계심에 낮보다 훨씬 더큽니다.
특히 대어일경우 더더욱 움추리고 소심해지겠지요
조과나 입질은 떨어지는게 맞는거 같네요
보름달이 뜰 때, 달의 인력이 최대가 됩니다.
달의 인력이 최대가 되면, 지구의 중력은 최소인 상태가 됩니다.
지구의 중력이 최소가 되기 때문에, 저수지 물의 수압도 최소가 됩니다.
이는 붕어 입장에서는 수압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이 줄어드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붕어 입장에서는 물이 줄어들면 곧 죽음을 뜻하기 때문에, 상당히 경계심이 극대화 될 겁니다.
또한, 기존의 좋아하는 수압대로의 이동(더 깊은 수심)도 발생하게 될 겁니다.
결론적으로,
보름달이 뜨게 된다면,
붕어들은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면서,
입질도 아주 예민하게 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저 줏어 들은 이야기입니다.
.물론 한마리의 대물을 노리는분 들은 별느낌을 안갖겠지만
그래도 30여년을 넘게낚시를해온 제의견으로는 거의 빈작일 경우가많았읍니다.
결과는 월척급3...중치급 10여수....
수심 40~60Cm///월척급은 40 가장 낮은곳에서 나왔구요...
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수로가 와따입니다....^^
29. 보름달엔 거의 재미를 못봅니다
30. 아직 명확한 이유와 원리는 안밝혀졌지만
다수의 낚시인들이 경험하는 징크스죠
모든 짐승도 보름에는 굴에서 안나옴니다
지구력 최고 쎈 날이죠
지구와 달이 최고로 가까운날 모던 짐승과
물고기 불안하여 외출을 안하죠
32.붕어가 경계합니다.
33.경계하면.
34.입질이 약해집니다.
35.고로.
36.난.
37.항시 꽝입니다.=3=3
반대로.. 그믐달에도 안좋다고 하구요.
일반적입니다. 언제나 예외는 있는법..
예를들면 사람도 보름달뜰때 사건 사고가 더 많다는 결과도 있고요
모든 살아있는 생명채은 다 보름달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네여
확실한 실험결과는~~~
소리에는 큰 영향 없구요
그림자 드리울경우 소리에 반응하여 이동한 거리보다 좀더 멀리이동 합니다
보름달이나 초승달이 빛이 밝을경우 수면에 빛이 안들리이는곳에서 낚슈대 편성 하심이 어더실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