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트 대낚시로 잡은 것이라고 하여 월척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지요.
릴낚시도 마찬가지구요.
월척은 월척이지요.
그러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그 가치(?)의 의미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으로 어떻게 잡았느냐에 따라서 그 가치를 둔다면 차이는 있을 수 있겠죠?
자동 빵도 자신이 부여하는 의미와 가치에 따라서 다른 결과도 있을 것입니다.
결론은 월척은 월척!
미년기님 의견에도
많은 공감이 가고요
뽀도 라는 단어 오랜만에 읽습닙다
붕순님들을 대면 하는일
여러 장비에 있어 구성,패턴 많은 차이가 있겠조
보트낙시 하시는 조사님들의 규정
대낚 하시는 조사님들의 규정
나름 구성과 패턴이 다르더라도 이해와 존중은
있어야 합닙다
투망과 밧데리 지~직은 어떻게 생각 하세요--?
월척 나의 마음이 월척을 낚았다 하면
그것이 월척이라 생각 됍닙다
월척은 월척인데 어케 잡았냐?하는 얘기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좀 더 실날하게 말하면
잡은 고기를 훔처서 팔았습니다. 그렇다면 그 고기가 월척이 아닐까요?
월척은 맞고요.
그 고기를 구매한 사람은 작물인지 아닌지 알거나 모르면서 구매한 것입니다.
그 것을 보며 가치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또 떡붕어(일본수입종), 잉붕어(중국수입종), 떡붕어와 참붕어의 교잡종,
순수 토종붕어 종류에도 혹부리 붕어, 참붕어, 돌붕어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상에 거래되는 만족의 가치 내역에서 어떠 하냐?
같은 토종 참붕어인데 보트타고 잡은 월척을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냐?하는 질문인 것입니다.
가치는 필요성에 의해서도 나타나지만
그 보다는 먼저 세상의 사람들이 어떻게 그 가치를 내역서를 통해서 생각하냐?하는 것입니다.
비슷한 누런 색깔이라고 똥을 금으로 보진 않지요.
예를 들면
어떤 법칙 자연적인 현상관찰에 의해
또는 좋아보였던 남들과 관련된 것들과의 작용에
어느 사람이 작용하고 있었다고 원인을 찾으니 그 원인을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부터 이렇게 합시다.
현물 환급성이 가장 큰 황금을
많이 숨어도 있고 나타나있는 돌 덩어리나 바위를 환급성으로 삼아 앞으로 교역하자고...
만약에 우수하다면 세상의 가치가 변할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인보다 그 창출 가치가 낮다면
심지어 같은 낚시를 해서 한 저수지에서 잡았다 하더라도
사람들이 인정해주는 가치는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의 현상이고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려하는 노력과 힘의 관계가 아닌가?합니다.
그 것은 존중이라는 작용과도 맞물려 있음은 당연하다 생각하고요.
모지란 제 생각에서는
예수를 신격화 해서 그 동네 사람들은 모르겠고
전 불교와 공자 노자를 아주 쪼매 겅부했었는데
만약에 알고자 한다면 궁금해 한다면 누림보다 앎이 작용이 생각이 먼저할 것이라고
그럴 것이라고 작용에서 짐작합니다.
붕어는 월척을 인정해야 하지만 장르별로 구분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모든 스포츠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만인에게 공정하다는 룰이 있기에 가능한 겁니다.
대낚시와 보트낚시가 서로 경기를 한다고 하면 누구도 공정한 경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회도 장르별로 하는 것이고요.
따라서 보트낚시에서 잡은 월척은 월척이기는 하지만 보트낚시하시는 분들끼리의 월척일뿐 대낚시하시는 분들하고는 상관없는
것이라 생각하고요. 인정도 같은 장르를 추구하시는 분들끼리 하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월 잡았다고 인정하고 안하고 문제가아니죠
모두모두 인정합니다
릴낚시도 마찬가지구요.
월척은 월척이지요.
그러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그 가치(?)의 의미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으로 어떻게 잡았느냐에 따라서 그 가치를 둔다면 차이는 있을 수 있겠죠?
자동 빵도 자신이 부여하는 의미와 가치에 따라서 다른 결과도 있을 것입니다.
결론은 월척은 월척!
“진정한 ‘꾼’은 자신의 쓰레기를 반드시 되가져옵니다.”
평소갈수없었던 포인트...얼음을 도구로삼아 얼음낚시를 합니다 잡으면 인정하죠?
낚시대를 이용한 채비라면 인정해야한다고 봅니다
보트낚시가 많이 보급되어서 인지 조사님들의 생각도 많이 바뀌었네요..
하지만 저는 여전히 보트낚시 월척은 인정 안합니다. 저도 오래전엔 보트낚시도 했었습니다만..
시까끼보다 더 인정 할수없죠. 물로 제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당근 인정 합니다.
저는 바닦 노지, 그것도 연안에서 잡은건만 월척이다라는 기준을 가지고 있어요^^
뭘 인정하고 안 하고 하는지...
그냥 즐기면 될것을...
변하지 않는것이 토종붕어의 크기가 말해주는 월척입니다.
다만,
대회의 규정에서 제한을 받거나 하지 않으면 되겠지요.
쪼한 본인 스스로의 자부심.만족감이죠.
보트 낚시 하시는 분 중에서는 인정 안하실분 없을듯...
동네 낚시회에서 정한 규칙입니다.
주마다 1등하면 비누주고 절기마다 대회시에 상품줄때
통용되는 규칙입니다.
뽀도 -15cm
장화 -10cm
릴 -7cm
당시 3개낚시회를 돌아가면서 출조하셨는데
대회뿐아니라 평상시에도 모든 낚시회 통용되는 규칙이었습니다.
특파원및 낚시회 조황보고시 뽀도, 릴은 따로 구분되어있습니다.
뽀도타고 월척 서너수 하고 조황보고에 월척서너수 적어 놓으면
가만 안놔두는 세상이지요.
뽀도 월척은 그냥 개인적인 월척인거죠.
뽀도는 사짜 이상만 월척 취급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저는 뽀도도 2대나 있고 릴은 10대이상이나 운용합니다.
뽀도도 타고 릴도 칩니다만 저는 아직 -15cm규칙 적용중입니다.
보트낚시도 하나의 장르이기에 월척은 인정해 준다 생각합니다.
대신 방생하는 미덕도 있으면 좋겠지요.^^
낚시 방식에 관계 없이 월척은 월척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신적으론 그 가치가 반감되게 느껴집니다.
많은 공감이 가고요
뽀도 라는 단어 오랜만에 읽습닙다
붕순님들을 대면 하는일
여러 장비에 있어 구성,패턴 많은 차이가 있겠조
보트낙시 하시는 조사님들의 규정
대낚 하시는 조사님들의 규정
나름 구성과 패턴이 다르더라도 이해와 존중은
있어야 합닙다
투망과 밧데리 지~직은 어떻게 생각 하세요--?
월척 나의 마음이 월척을 낚았다 하면
그것이 월척이라 생각 됍닙다
좋은 의견으로 댓글 달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 좋은 의견 올려주신 회원님께...추천을 눌러주시면 참고하여...체택하고 싶내요...
이번엔 그냥..미년기님 의견을 채택합니당...
헌데 자랑하면 욕먹겠지요 ㅎㅎㅎ
붕어 월척잡아봐야 저한텐 그냥 물고기인데. . .
잉어.향어 미ㅌ‥급잡아보는게 소원ㅠㅠ
다만 낚시인들의 자존심싸움이라고봅니다
월척으로만생각한다면 인정할껀해야죠
산속 계곡지에서 잡은 월척은 월척인가요? 붕어 성장기간이 차이가 극심한데요...
월척으로 인정한다는 말 자체가 모순덩어리라고 생각 합니다.
그냥 붕어가 30.3센티 넘어가면 그게 월척이고,
추상적인 의미로는 큰 고기를 월척이라고들 합니다.
인정해주는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상을 주거나 기록되는게 있다면 그 기관에 문의하시면 될 일인데,
그런것도 아니고 그냥 밑도끝도 없이 인정하냐 마냐는 자기 기준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잡아서 남의 성과를 깎아내리거나 하는 식으로 갈 수밖에 없습니다.
새우만 쓰는 사람이 떡밥이나 지렁이로 잡은 월척은 인정하지 않거나,
올림낚시만 하는 사람이 내림낚시로 잡은 월척은 인정하지 않거나,
연안타는 사람이 보트낚시나 얼음낚시는 인정하지 않거나...
자기 스스로 우물안에 갇힌 개구리가 되고싶지는 않습니다;;
그물로 (어망) 잡은것은 낚시라 할수없겠지요
고로 낚시로 잡은것은 월척 인정 해줄껍니다(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좀 더 실날하게 말하면
잡은 고기를 훔처서 팔았습니다. 그렇다면 그 고기가 월척이 아닐까요?
월척은 맞고요.
그 고기를 구매한 사람은 작물인지 아닌지 알거나 모르면서 구매한 것입니다.
그 것을 보며 가치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또 떡붕어(일본수입종), 잉붕어(중국수입종), 떡붕어와 참붕어의 교잡종,
순수 토종붕어 종류에도 혹부리 붕어, 참붕어, 돌붕어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상에 거래되는 만족의 가치 내역에서 어떠 하냐?
같은 토종 참붕어인데 보트타고 잡은 월척을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냐?하는 질문인 것입니다.
가치는 필요성에 의해서도 나타나지만
그 보다는 먼저 세상의 사람들이 어떻게 그 가치를 내역서를 통해서 생각하냐?하는 것입니다.
비슷한 누런 색깔이라고 똥을 금으로 보진 않지요.
예를 들면
어떤 법칙 자연적인 현상관찰에 의해
또는 좋아보였던 남들과 관련된 것들과의 작용에
어느 사람이 작용하고 있었다고 원인을 찾으니 그 원인을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부터 이렇게 합시다.
현물 환급성이 가장 큰 황금을
많이 숨어도 있고 나타나있는 돌 덩어리나 바위를 환급성으로 삼아 앞으로 교역하자고...
만약에 우수하다면 세상의 가치가 변할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인보다 그 창출 가치가 낮다면
심지어 같은 낚시를 해서 한 저수지에서 잡았다 하더라도
사람들이 인정해주는 가치는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의 현상이고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려하는 노력과 힘의 관계가 아닌가?합니다.
그 것은 존중이라는 작용과도 맞물려 있음은 당연하다 생각하고요.
모지란 제 생각에서는
예수를 신격화 해서 그 동네 사람들은 모르겠고
전 불교와 공자 노자를 아주 쪼매 겅부했었는데
만약에 알고자 한다면 궁금해 한다면 누림보다 앎이 작용이 생각이 먼저할 것이라고
그럴 것이라고 작용에서 짐작합니다.
붕어사이즈가 월척이면 월척이지 어찌월척이 아니겠습니까?
다만 잡는방법에따라 잡은이가 느끼는 감정이 다르겠죠.^^
모든 스포츠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만인에게 공정하다는 룰이 있기에 가능한 겁니다.
대낚시와 보트낚시가 서로 경기를 한다고 하면 누구도 공정한 경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회도 장르별로 하는 것이고요.
따라서 보트낚시에서 잡은 월척은 월척이기는 하지만 보트낚시하시는 분들끼리의 월척일뿐 대낚시하시는 분들하고는 상관없는
것이라 생각하고요. 인정도 같은 장르를 추구하시는 분들끼리 하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잡고 안잡고에 문제가 아니죠 ㅎㅎ
다만 인정하고 안하고는 월척이 아니라
노지보다 유리하다는 기준에서의 판단문제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