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터 이상의 장찌를 사용할 때입니다.
먼저 찌의 아랫 부분에 직접 편납을 감아서 찌가 스스로 설 수 있도록 합니다.
두번째 편납홀더에 편납을 감아 찌 몸통의 윗부분에 맞추고요.
마지막으로 바늘 위의 봉돌로 캐미꼿이 아랫부분까지 맞춥니다.
숫자의 비율로 맞추지 않고 치를 보고 이렇게 맞추는 것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찌 아래에 편남을 감아 찌를 자립시키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요.
별 효과가 없다면 그냥 편납홀더에 찌 몸통 윗부분까지 맞추고 아래 봉돌을 다는 2분납 채비가 더 편리 할 것 같습니다.
찌 아래 편납을 감는 것이 중요한가?
분납 채비 저의 방식은 어떤지요. 고수님 의견 기다립니다.
-
- Hit : 822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옆에서 보면 애담님 말씀처럼 찌에 편납을 많이 감았드라고요!
저도 궁금해서 물어는 봤는데...시원한 답변은 못들었습니다.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려요!...
장찌 마니아님들이 이러한 내용을 많이 알고 있을 것 같은데...
많은 장찌 매니아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제 생각엔 굳이 찌다리쪽에 편납을 감을 필요가있을까요?
보통 찌를 제작할때는 무게중심을 잡아서 찌를 제작하실껀데 찌의 무게중심을 깰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물론 사용상 그렇게 하시는것이 본인에게 편하고 실용적이라면 모를까 굳이 차이를 못느낀다면 하실필요까지는 없다고 봅니다.
찌의 부력때문에 그렇다면 장찌중에서 저부력을 쓰시면되실거 같은데.
어차피 분할봉돌에서 본봉돌은(윗봉돌) 붕어들이 느끼는 이물감에서는 제외해도 되는 부분이기에
본봉돌로 찌몸통 윗부분까지 맞추셨다면
좁살이나 또는다른 보조봉돌로 충분하리라 생각이드네요.
왜 감을까요. 정~~말 미스터리 합니다. ^,.^
제가 지식이 부족해 설명해 드릴수는 없지만
이리저리 혼자서 해보는것이 취미라서........^^*
분할봉돌 채비시 봉돌과 봉돌사이 길이를 변화시켜보기도 하고 찌의 높낮이를 조정하기도 하고
이리저리 해보다 보면 잘 맞는날은 찌올림 시원하게 보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날은 하루종일 기다려 한번도 보고 그럽니다
오늘은 대여섯차례 보고 왔네요^^*
전,물론 고수도 아니고 알아서 답변드리는 것이 아니고 의견을 나누고자 하는 뜻에서 몇자 적어봅니다.
제 경험으론 크게 서너 그룹으로 나뉘어 주로 수도권의 붕어탕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찌올림을 즐기기 위한 채비법을
실험하고 연구하여 오신분들이 계시다고 들었읍니다.
채비법도 큰 줄기로 두세가지로 압축할수 있더군요//
그 중에 과거에 수심이 낮은 낚시터에서 긴 찌올림을 보기 위해 찌의 무게중심을 파괴하고 부력을 찌탑을 이길수 있는 높이만큼
높여 긴찌탑을 쓰시는 분들이 계셨읍니다.
찌다리는 짧고 찌탑은 길어지다 보니 강제자립이 필요하게 되고 원줄에 결속을 하자니 불필요한 소모품이 많이 소요될뿐더러
사용상에 불편함도 따르게 되어 차라리 원줄에 불필요한 부속을 없애고 그 부분을 찌다리에 주어 강제자립을 유도하게 되고
채비 시간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었다 합니다.
그런데 계속 사용을 하다보니 편리하기도 하거니와 원줄에 찌올림시 물의 저항으로 인한 방해 요소가 제거되니 좀 더 길고
깨끗한 찌올림이 표현되더라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찌탑이 바람에 흔들려 그 진동으로 인하여 붕어가 취이를 그만두는 경우도 방지하고 곧고 긴 찌올림이 생기더라는 것이죠
물론,찌를 제작하시는 분들이나 전통적인 원봉돌 낚시를 구사하시는 분들이 이 모습을 보고 무슨 사이비종교나 이단아의
그룹처럼 생각하시고 비아냥하시는 분들도 일부 계시기도 하구여//
왜냐면 전통바닦낚시시에 찌의 자연스런 기립동작과 자연스런 입수 이쁜 찌올림의 삼박자가 아니겠읍니까??^^
그런데 강제자립을 시키니 삼박자중에 어느 한가지는 표기해야겠죠//
하지만 낚시란??것이 시대가 지나고 기법이 발전되고 상식을 파괴해 나가면서 발전하고 낚시의 그 자체가
스스로 즐기고 만족하면 더할나위가 없듯이 각자의 취향과 즐김의 초점이 다름을 상호 존중해 주면 더욱더 즐겁겠죠^^
아무래도 장찌를 원봉돌 하나로 찌맞춤을 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짜장유료터에서)
분할봉돌을 2단 3단으로 하죠 그래야 가벼운 찌맞춤을 할수 있으니깐요 멋진 찌올림도 보고용
찌제작할때에 맞춰놓은 균형 깰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