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선배 조사님들께 많은 정보를 얻고있어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어 검색해봤는데 해결이되지않아 선배조사님들께 여쭤봅니다
일반 하천같은경우 비가많이와서 물이 계속흐르게 되는데 이럴때도 낚시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평상시에는 물흐름이 크게없어서 괜찮았는데 오늘 출조를 할려고하니 궁금하네요 참고로 바닥낚시를 하고있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물흐름이 심한 곳에서는 끝보기 낚시를 합니다.
1. 찌를 달지 않고 초릿대 끝에 캐미를 끼우고(테이프 등으로 고정해도 됨)
2. 봉돌은 채비가 바닥에 안착될 정도로 적당하 무게를 맞추어 투척합니다.
이렇게 하면 초릿대가 하류쪽으로 살짝 휘게 되는데
3 챔질은 초릿대가 아래로 꾹꾹 쳐박거나
4. 반대로 물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펴질 때해야 합니다.(이 경우는 붕어일 가능성이 높음)
물흐름이 심하지 않을 경우 찌낚시가 가능한데
1. 기본적으로 찌는 오뚜기(다루마) 형태가 물흐름을 잘 견뎌냅니다.
2. 찌는 좁쌀봉돌이나 편납 등을 이용하여 평소보도 좀 무겁게 맞춥니다.
3. 대편성은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사선으로 편성하여야 물흐름을 덜 타며
4. 채비가 안착되는 지점이 수초 등 장애물 알에 놓도록 하여야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찌만 세울수있다면 낚시 가능합니다
중통낚시는 원줄 또는 목줄을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두고 아랫쪽에 스토퍼를 주어 봉돌이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사용하는 채비로 입질 패턴은 빠는 입질이 대부분이라 찌가 내갈때가 챔질 타이밍입니다.
1. 찌를 달지 않고 초릿대 끝에 캐미를 끼우고(테이프 등으로 고정해도 됨)
2. 봉돌은 채비가 바닥에 안착될 정도로 적당하 무게를 맞추어 투척합니다.
이렇게 하면 초릿대가 하류쪽으로 살짝 휘게 되는데
3 챔질은 초릿대가 아래로 꾹꾹 쳐박거나
4. 반대로 물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펴질 때해야 합니다.(이 경우는 붕어일 가능성이 높음)
물흐름이 심하지 않을 경우 찌낚시가 가능한데
1. 기본적으로 찌는 오뚜기(다루마) 형태가 물흐름을 잘 견뎌냅니다.
2. 찌는 좁쌀봉돌이나 편납 등을 이용하여 평소보도 좀 무겁게 맞춥니다.
3. 대편성은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사선으로 편성하여야 물흐름을 덜 타며
4. 채비가 안착되는 지점이 수초 등 장애물 알에 놓도록 하여야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장애물 알에가 아니고
장애물 앞에입니다.
밤에는 얕은 수초옆 살짝 골진 부분이나 그런데서 짧은데로 하시면 손맛보실수있을꺼에요
고기들 안보여서 그렇지 다 연안쪽 장애물있는곳 이런데서 숨어있지요
물이 와류지는곳을 찾아서 낚시하십시요.
같은 칸의 낚시대는 자주 걸립니다 ㅡㅡㅡ
시간이 갈수록 비는 점점 세 지고 훍탕물로 바뀌어 수위도 올라가는데 입질은 끊임없이 오더군요.
이후 그와 같은 조과는 없었습니다.
비와서 개울물 흐르면 밥도마다하고 물가로 나서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