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사선정렬 해결법?

두바늘 떡밥낚시를 할 때 콩알낚시라면 모르겠으나 한바늘에 큼직하게 밑밥을 달아서 낚시하면 찌의 부력에 비해서 가라앉으려는 봉돌 + 떡밥의 무게가 많이 무거워져, 채비가 수직으로 안착되지 못하고 사선으로 정렬된다고 알고있습니다. 반스윙 투척으로 채비를 수직으로 내리면 된다지만 특히 밤낚시엔 반스윙 투척은 참 어려워서...ㅜㅜ 풀스윙 투척 후, 낚시대를 뒤로 충분히 당겨놓았다가 찌가 일어서면 곧바로 앞으로 밀어놓는 방식으로도 채비의 사선정렬을 해결한다고 들었는데 맞습니까? 그렇다면 수심이 약 2미터 정도일 때, 한바늘에는 글루텐 콩알, 한바늘에는 밑밥(어분+보리)을 밤톨 크기로 달았다면 투척 직후 낚시대를 뒤로 몇센치 정도나 당겼다가 밀어놓아야 최대한 수직에 가깝게 정렬시킬 수 있을까요? 그리고 수심이 4미터일 때는 얼마나 더 당겨야 할까요?? 또한 님들께서는 깊은 수심에서 두바늘 떡밥낚시할 때, 사선정렬을 피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을 사용하시는지요?

양어장 쌍포운영시 하나는 미끼달지않은 상태로 투척후 찌서는 위치를 기준점으로 잡고 아리랑 투척법(밑밥대)으로 기준점을 기준삼아
투척합니다.
이런식으로 번갈아가며 투척하면 별문제 없을듯한데......
밑밥은 항상 찌서는곳보단 약간안쪽으로 투척합니다.
떡밥 만진지 오래 되었네요 저는 예전에 낮에가서 밑밥 허벌나게 반스윙으로 주고 본신기다릴땐 어분계열이던 글루텐이던 콩알로 합니다 밤에 도착하셔도 그리 어렵지 안을거에요 쌍포로 할때 한대는 그냥두고 다른 한대로 밑밥주면 옆 케미 보고 반스윙하면 되잔아요 사선을 최대한 없게 하는법은 잘알고 계시네요 낚시대 손잡이를 앉은 자세에서 팔쭉펴서 하늘위로 들고 있다가 찌서면 내려 놓으시면 됩니다 대박나세ㅇ
너무 저부력 아니면 사선입수 그다지 신경안쓰셔도 됩니다.우선 미끼를 너무 크지않게 유동폭도 줄이고 사용해보세요.
저부력찌에 떡밥 크게 다시면 사선입수 많이 납니다
빈바늘로 처음 찌높이 맞추시고 낚시하실때 떡밥달고 투척후
낚싯대를 20센티 정도 몸쪽으로 당겨 놓으신 후 찌가 완전히 안착되면 사선입수로인해
찌가 두 세마디정도 잠겨있을겁니다
그럼 당겨놓은 낚싯대를 앞으로 20센티정도 밀어주시면
사선입수로 잠겨있던 찌가 올라오면서 어느 정도는 해결 될겁니다
사선입수가 부력보다 침력이 강할때뿐만 아니라 급경사 수심깊은곳 대물 낚시등여러가지 이유가 있읍니다 2m수심에서는 몇cm를 당기고 4m수심에서는 얼마를 당겨야 되는지는 물속 사정을 모르는 이상 정확히 알수 없고 단지 경험과 감으로 이정도면 되겠다 싶을때가 있읍니다
이런 스마트폰 참나
제 경우엔. 깊은 수심에서 몸으로 이빠이 당기는것도 믿음이 안가 조금 잠기게 찌를 내린후 투척후 당긴 다음 밀고 손목으로 세번정도 튕겨서 찌를 세웁니다
글고 스윙보단 앞치기 연습을 하시는게 도움이 되실겁니다
양어장 떡밥낚시의 경우 사선입수는 어느정도는 무시하셔도 됩니다.
보통 쓰신대로 수심이 2m근처는 기본적으로 나옵니다.
사선입수의 경우 수직을 기준하셔도 찌와 봉돌의 사선거리 20cm정도 되려나싶습니다.
정상적으로 양어장에서는 가벼운 찌맞춤을 하기때문에 밥의무게로 인해생기는
사선이대부분인데 찌톱을 수면 밖으로 전부내놓은다음에 사용하시는대로 미끼를 다달고 풀스윙해보시면
찌톱이 얼마나 잠기는지 알수있습니다.
그 찌톱의깊이만큼 사선이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은 10~~20cm사이가 될겁니다.
그보다 적을수도 있고요~~
이정도의 오차는 낚싯대를 스윙후 안쪽으로 2~30cm 당겨두엇다가
찌가설때 정상적인 위치에 낚싯대를 놓는것만으로도 극복이 될뿐더러
앞치기가 아주 정확해서 매번 같은자리에 찌를세우지못했을때(보통 2~30cm정도 차이가 생긴다고 햇을때)
생기는 오차와도 비슷하거나 적씁니다.그런이유로 무시해도 좋은수치입니다.
사선입수에 신경을 쓰시는것보다는 정확한 찌맟춤후 밑밥한번 더 던지는것이
훨씬 좋은 조과를 보장합니다~
제가 전에 사선입수에 대한 글을 보고 계산 한 내용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심심해서 계산해 봤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 비슷할것 같습니다.

여기서의 조건은 바닥이 완전히 평면인 경우입니다.
풀스윙을 하고 시간이 지나서 찌가 올라오는 조건입니다.
찌가 올라오는 높이를 5cm와 10cm로 했습니다.

예)- 수심 : 2미터인 경우 --- 45cm
여기에서 45cm는 처음 떡밥이 떨어진 곳(처음 사선입수)과
떡밥이 완전히 풀리고 난 이후 빈바늘(완전 수직입수)의 거리입니다.

간단한 피타고라스의 도움입니다.
수치는 당연히 근사치입니다.


1)찌가 5cm 올라오는 조건

- 수심 : 2미터인 경우 --- 45cm
- 수심 : 1미터인 경우 --- 32cm


2)찌가 10cm 올라오는 조건

- 수심 : 2미터인 경우 --- 64cm
- 수심 : 1미터인 경우 --- 46cm
사선입수가 뭐죠..?
전 이단거 모릅니다 알필요도 절대 없다고 봅니다
알면아수록 머리 아픈낚시가 됩니다
찌만 잘 마추고 물속에 채비가 비스듭하게 서 있다는것만
염두에 두시고 낚시 하시면 암 문제가 없을것입니다
제경우이니 참고만 하십시요.^^*
사선입수 무시해두됩니다 일부러 사선을만들기두하는데요
아주 완경사에서 급경사로 떨어지는 그런 지형만 아니면 그리 신경쓸 일이 없다고 봅니다.급경사에선 조금 문제가 돼지만 완경사에선 그리 심하지 않습니다.
조금사선 진다고 찌가오르지않는것은 아닙니다ᆞ거의대부분이 아주조금은 사선을지고도 그냥낚시하는것일겁니다ᆞ유동채비시 찌스토퍼의 유동간격을 줄여주는것이 사선입수방지에 도움이됩니다ᆞ
바닥이 급경사인 지형이 아니시라면 전혀 신경쓰실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떡밥달아던져보니 처음 찌맞춤한 찌 높이가 아니라서 고민을 하게 되는 부분인데요.....
너무 풀스윙을 하지 마시구 될수있으면 적당히 던짇시면 됩니다.떡밥크게 달아서 멀리던진다고해도 초리대에 묶인 원줄부터
찌까지의 길이가 늘어나지는 않거든요.^^
풀스윙이 됐다고 보시면 적당히 낚시대 뒤로(어깨정도까지)당겨보시면 아실껍니다.
바닥낚시라는게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 상태이기때문에 찌높이가 어찌 달라지는지 보이실테니까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