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오링가감법을 작년부터 알고 사용하고 있읍니다..일단 정확한 찌맞춤이 된 상태에서 낚시를 하면서 찌올림의 여부를 보고 넘 빠른 올림.또 깔짝깔짝한 찌 모양등을 보고 오링을 가감합니다..찌의 움직임을 보고 오링가감을 하면 됩니다,..무거운 찌.가벼운 찌등 현지에서 바로 응용해서 사용할수 있읍니다..채비는 원줄에 스냅도래를 연결하고 고리봉돌을 이어서 사용중에 고리봉돌 앞으로 오링한두개씩 넣어면서 찌의 움직임을 보고 되고요,아님 원줄에 고리봉돌을 바로 연결 후에 고리봉돌옆으로 스냅도래를 부착하여 오링가감을 해도 됩니다...단 주의 할 점을 스냅 도래 등으로 사선이 형성 될수도 있어니 챕비 투척후 낚시댇를 뒤로 조금 움직였다 앞으로 밀어주는 사선 예방법도 알고 계시길....즐 낚하셔요..
걱정하지 마시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정확한 명칭 O링입니다. 중층(저는 중층은 문외한임)이나
예민한 바닥낚시의 찌 맞춤에서 핀도래에 걸어 사용합니다.
오링의 큰거는 찌 2마디를 내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바늘을 바닥에서 약간 띄울때 등 미세 부력 조절용으로 사용합니다.
걱정하시는 부분의 우려는 없으므로 안심하시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봉돌로 찌맞춤하되.......... 너무 많이 깍거나....그랬을때 O링을 이용하여 예민하게 맞추는건 해보았습니다..
근데 O링으로만....찌맞춤하는건 본적이 없어요........
봉돌 대신 오링으로만 찌 맞춤은.....아니 되옵니다.
기본적으로 봉돌+ 오링(찌 부력 미세 조절용)입니다.
저푼수의 찌를 대상으로 오링만으로 찌맞춤이라.........기발한 생각인 같습니다.
입질이 얍삽할때 오링을 제거하면 좀더 예민한 입질을 받을수가 있구요!!
체비를 좀더 무겁게 할꺼면.....
오링을 달아도 되고......아니면 핀도래 하나 올려서 사용합니다..
쇠링으로 봉돌을 대신한다면 분명 분납채비로 마지막 봉돌은 거의 무게감이 없는 조그만 봉돌을 달았을때나
가능할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쇠링의 무게가 봉돌 제일 작은것하고는 비교가 안될정도로 가볍기 때문입니다.
쇠링의 사용방법은 봉돌로 찌맞춤후 무게를 가감할때 사용하는 용도로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쇠오링 매니아라 제가 사용하고 있는 부분을 살짝 설명드리겠습니다.
대물낚시나 노지에서는 굳이 사용을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구요, 입질패턴이 예민한 양어장이나 손맛터에서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먼저 찌맞춤할때의 활용방법은,
찌맞춤할때 바늘을 달던, 아니면 봉돌만 달고 하던 캐미 끝이나 캐미고무에 맞추는 것으로 많이들
하시는데 여기에서 문제점(?)을 이야기하자면 정밀찌맞춤시 캐미끝이나 캐미고무에 맞출때
표면장력에 의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찌의 가장 얇은부분을 이용해서 찌를 맞추면 그만큼 찌맞춤에 있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저는 봉돌을 깍아서 찌톱 한마디에 맞춤니다. 그만큼 물의 저항을 덜받는 부분에 찌맞춤을 하지요.
그다음에 윗분이 말씀하셨듯이 쇠링을 핀도래에 가감하여 쇠링무게로 찌톱을 내리게 합니다.
보통 찌톱 한마디에 맞춘다음 쇠링 중자 1개 또는 2개를 달면 수면에 찌가 캐미끝으로 맞춰집니다.
쇠링은 2개이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쇠링의 용도는 지금설명드린대로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닌 정밀찌맞춤시 필요한 가감용이며,
봉돌을 대체하는 용도로는 사용이 어려울것 같습니다.
더운데 안출하시고 498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