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수조 찌맞춤 시 핀도래 연결 하시나요?

수조 찌맞춤 후 현장 찌맞춤 없이 낚시를 하는데요 (수조 찌맞춤이 현장찌맞춤보다 다소 무겁다는건 알고 있습니다.) (케미 꽂고 바늘 없이 봉돌만 달아 케미 끝(윗부분)을 수면과 일치시키거나 케미가 약간 나오게 맞춥니다.) 4월 중순 ~ 9월하순 노지만 출조하기에 찌맞춤이 약간 무거워도 큰 지장은 없다고 생각했는데 (올릴 녀석은 다 올린다고) 실수로 낮은 호수(2호)의 핀도래를 구입하여 사용을 하니 부력차이가 많이 나 신경이 쓰이네요 월님들은 수조찌맞춤시 핀(스냅) 달고 찌 맞추시나요? 이번에 구입한게 스냅온니라고 도래 없이 스냅(핀)만 있는 제품입니다. 1번
수조 찌맞춤 시 핀도래 연결 하시나요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2번
수조 찌맞춤 시 핀도래 연결 하시나요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위 사진 중 어떤 모양으로 원줄에 연결하시나요? 그리고 루어낚시 소품 중 인터락이 이라는게 있던데 이거 사용하시는 월님도 계신가요? 동일 호수일때 인장강도가 핀도래보다 2배 정도 높네요
수조 찌맞춤 시 핀도래 연결 하시나요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수조에서 맞추셔도 현장에서는 조금 무겁습니다
2번으로 사용합니다... 그래야 차후에 찌 바꿀때 봉돌 교체가 편하더군요
수조통서 캐미만큼 맞춘후 현장서 맞추면 거의 수평에 가까워서 보통 그렇게 사용합니다
2번 사용합니다 핀스냅 달고 찌맞춤니다 수조에서 맞춘것이
현장에서 맞춘것 보다 약간 무거운것 같은대요 그래도 대물 낚시에서는
그냥 씁니다
2번으로 사용해야 채비 수정시 편할 것 같습니다.^^
찌 맞춤은 수조에서 1차로 맞춘 후 현장에서 실제 낚시할 수심에서 확인, 너무 무겁지 않으면 그냥 사용합니다..^^
저는 찌맞춤시는 모든 채비용 소품 다달고 합니다.. 찌고무, 도래 포함~;;
기왕하는것 다 달고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저는 다 달고 합니다, 원줄빼고.
현장가면 더 무거워지는데 기분이 좀 그래요. 빼고 하면.
d인터락도 튼튼하지만 그냥 핀도 아무문제 없네요
저는 봉돌이 고정이라 핀이있는 핀도래를 씁니다.
근데 한번은 수조맞춤을 하는데 몇번이나 핀을 열엇다
하는데 핀이 절단이되어서 약간 황당햇음다.
수조찌 맞춤 일단 오디서 맞춤을하는지 궁금하네요
1층에서 하는 거랑 3층에서 하는거랑 차이가 있습니다
저도 수조찌 맞춤 할때 바늘을 빼고 원줄 빼고
다달고합니다 그리고 캐미에서 7CM 정도로 맞추고요
현장가서 다시 맞춤어 사용합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현장 맞춤입니다 너무 수조찌 맞춤에
신경 쓰지마세요 걱강에 안좋아요
수조찌 맟춤시 인터락 사용합니다(강도나 무게측면에서 선호함)
케미, 봉돌, 핀 다달고 3~4개정도의 ㅇ링을 부착하여
케미고무 하단까지 수면에 올라오게 합니다.

현장 사용시 찌는 1목에 맟추어 고기의 입질에따라 ㅇ링을 가감하며
사용 합니다.

개인취향 이며, 저수온기 입질이 약할때 유리 하더군요.
월님들 안출 하세요...
1번을 사용하다가 핀이 빠지는 경우가 있어 2번을 사용합니다. 찌맞출때는 물론 다 포함하지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