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래를 써도 무방하나 염두하셔야할것은 너무작은것(무게가적음)을 사용하시면 사선입수가문제될것이고,
바닥낚시에는 봉돌(스위벨, 좁쌀,도래)의 안정적인 바닥안착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무게비중이 가벼운걸 사용하면 예민하리리라 생각되지만 윗부분에 설명한부분들이 발생하여 잃는것이 더많습니다.
스위벨채비는 구조적으로 바닥안착과 불안정적인 안착요인이 많이 발생하여 총알입질이나 헛챔질 빈도수가 많이발생하는구조인데
거기다가 더가벼운 도래를 사용한다면 더욱더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가볍게(예민하게)만 하는 채비가 좋다생각하는데 적절한 무게감의 봉돌안착이 바닥낚시에서는 높은찌오름과 천천히오르는
찌오름을 볼수있습니다.
가능합니다. 단 도래를 떼어냈을때 사용하시는 찌톱이 몇목까지 올라오는지는 필히 확인하셔야겠죠.
고기가 바닥에 도래를 들어올렸을때 찌에 나타날 수 있는 최대 폭이니까요.(본봉돌까지 들어올렸을 경우 제외)
그리고 도래가 너무 저부력이면 입질할때 쪽 빠는입질이 그대로 보입니다. 그리고 쭈욱 올리죠.
저는 오히려 어신으로 파악할수 있어서 좋더군요.
저는 양어장에서 중층낚시에 쓰는 편납삼각도래라는 소품을 사용합니다.
편납을 가감하고 목줄을 따로따로 묶게 돼있어서 맘데로 조정하여 사용하기 편하더군요.
바닥낚시에는 봉돌(스위벨, 좁쌀,도래)의 안정적인 바닥안착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무게비중이 가벼운걸 사용하면 예민하리리라 생각되지만 윗부분에 설명한부분들이 발생하여 잃는것이 더많습니다.
스위벨채비는 구조적으로 바닥안착과 불안정적인 안착요인이 많이 발생하여 총알입질이나 헛챔질 빈도수가 많이발생하는구조인데
거기다가 더가벼운 도래를 사용한다면 더욱더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가볍게(예민하게)만 하는 채비가 좋다생각하는데 적절한 무게감의 봉돌안착이 바닥낚시에서는 높은찌오름과 천천히오르는
찌오름을 볼수있습니다.
도래를대신사용해도무방합니다
바닦에 안착되는것이 중요 하겠지만 살짝 떠 있으면 문제가 될까요? 빠는 입질정도?
빠는 입질에 챔질하지 않고 기다린다면 찌는 다시 올라 올거 같아서 작은 도래로 바닦을 찍어 볼까 합니다.
또 도래대신에 스냅에 오링을 달아서. 0.2g정도의 무게로 만들어 써볼까 합니다.
머리가 아프네요 ㅎㅎ
그래도 즐겁기만 합니다.
스웨벨 자체를 봉돌로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단
원봉돌과 비율이 안맞으면 낚시 고생합니다.
붕어가 접근하면 찌가 떨려요...
좁살(스위벨,롤링스위벨)도 별 것아니구요, 뭐 분할봉돌채비의 한 종류 이거든요.
또 떡밥 마릿 수 낚시를 구사하고 싶으면 정통낚시방법을 사용해보시고요.
다들 케미꼿이 하단에 영점을 잡아서 표면장력을 최소화한 채비이거든요^^
고기가 바닥에 도래를 들어올렸을때 찌에 나타날 수 있는 최대 폭이니까요.(본봉돌까지 들어올렸을 경우 제외)
그리고 도래가 너무 저부력이면 입질할때 쪽 빠는입질이 그대로 보입니다. 그리고 쭈욱 올리죠.
저는 오히려 어신으로 파악할수 있어서 좋더군요.
저는 양어장에서 중층낚시에 쓰는 편납삼각도래라는 소품을 사용합니다.
편납을 가감하고 목줄을 따로따로 묶게 돼있어서 맘데로 조정하여 사용하기 편하더군요.
현장가서 참조 해야 갯네여..
아무 관개 없습니다.^^*
1호- 1.12g, 2호 -0.84g, 3호- 0.59g, 4호 -0.40g, 5호- 0.26g, 6호- 0.22g, 7호- 0.15g, 8호-0.10g, 9호- 0.07g, 10호- 0.05g 입니다.
양어장에서는 5호나 6호 사용하시고, 노지에서는 2호와 3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격이 한개당 백원꼴도 안되니 500원하는 스위벨을 사용할 이유가 없지요.
저도 스위벨을 사용하고있었는데 인터넸 뒤지다보니 이런것이 있더군요.
올 겨울 하우스에서 6호 사용했어요. 아무 지장 없어요. x털낚시, 입x대박에서 팔아요.
스위벨대신 도래를 사용하는 일인입니다.상황에 따른 목줄의 길이도 중요하니 가감을 해보시길요.
즐거운 낚시 되시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