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도록 묵직한 찌올림속에 헛챔질에 시달렸읍니다..ㅠ
수조에서 모노2호 ,원봉돌5~7호,스위벨 4호, 윗목줄 케블라1호:10cm,스위벨만 바닦에 닿는 찌맞춤후(군계일학채비 세팅동일)
댐낚시지만 수심은 2m정도이고요,바늘은 시중에 묶어져있는바늘 5호 반접어서 (약6cm정도)
수심체크후 바늘달아서 찌탑 두목정도 내어놓고(미심쩍어 오링小자 1개추가)
미끼는 어분과 보리,딸기글루텐 썼구요
찌오름자체는 여느 묵직한 찌오름과 다르지 않게 점잖게 들어올려 챔질하면 헛챔질..ㅠ(사선입수줄이려 대를 뒤로 30cm뺐다가 찌직립무렵 원위치
다시 원봉돌 채비로 돌아 가야 할까요?
스위벨채비..헛챔질..ㅠ
-
- Hit : 1459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8
음 물론저도 모노2호 사용하구 쇠링은 구리선 아니면 작은 와셔로 대신합니다.
부력만 맛다면 재질은 상관없다구 생각합니다.
바늘목줄을 10cm정도로 길게 써보세요. 짧은 목줄이 붕어 큰놈 입질에 방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기본적으로 짧게 쓰지만, 상황에 따라 길게 사용할때가 있습니다)
바늘 5호도 요즘 사용하기엔 작습니다. 7호 이상 추천드립니다.
작은 바늘이라면 첫 입질은 그냥 나둬보세요. 요즘 같으면 삼켜서 목구멍 제(我)걸림이 나올수 있습니다.
지렁이 반토막 끼워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잡어인지, 기타생물인지 낚아봐야 알겠죠.(물론 안낚이는 생물도 있습니다)
처음 출조한 곳이거나, 계절이 바뀌었을때, 찌놀음을 관찰해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 같습니다.
지렁이 반토막에 잘 올린후,
제자리에서 지속적으로 상하 찌놀음이 보이거나,
좌우로 많이 이동을 해도 제걸림이 되지 않는다면, 붕어가 아닌 기타 생물일 확률이 높습니다.
모노 2호줄에 오링 하나, 두목이면 깨끗한 바닥이라는 가정하에 바닥에는 닿았다고 판단됩니다. 의심이
가는건 모노줄과 5호바늘..인데요.. 눈빛님과 개굴님 말씀처럼 댐낚시 대류에 의한 것이 아닐까 생각되며,
5호 바늘이면 요즘 시기에 어분,보리에 잔챙이들 붙기 딱 좋죠.. 잉철님 말씀처럼 잔챙이 의심됩니다.
6월초에 관리터에서 글루텐, 어분, 보리, 스위벨, 80센치 수심에서 중후한 올림 십여번 봤는데, 대부분
4치 이하였고, 새벽에 원봉돌로 약간 무겁게 채비 바꾸고.. 9치, 준척.. 두수했습니다. 유사한 경우가 아
닐까 합니다.
챔질 타이밍을 조철 조금 느긋하게하심이
다만 잡어라면 바늘호수를 줄려서 아예작은걸로 정채를 알아보심이,,또는 지렁이 잘라서 작게
투척후 20분정도 지나면 찌가상승합니다 저뿐만아니라 주변분들 모두다 새벽 네시도니깐
사라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