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 채비시 손맛터 찌올림과 저수온 저부력찌의 사용관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스위벨채비로 손맛터만 주로 다니고 있습니다. 저수온기로 접어들면서 찌올림이 거의 없네요 손맛터에서는 거의가 저부력찌를 이용한 얼레벌레로 물고기 옆구리걸기로만 낚아올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꿋꿋이 바닥올림낚시를 하고 있지만 도무지 찌가 올라가지 않네요 얼레벌레나 내림처럼 1~2cm정도 깔딱거릴때 대충 챔질해야지 가끔 물고기얼굴이나 보는정도네요 너무 안되다 보니 어제는 본봉돌과 스위벨간의 목줄을 25~30cm정도로 주고 바늘목줄은 5cm로 줬습니다. 찌도 3호봉돌정도의 부력찌로 바꿨습니다. 그랬더니 가끔 5cm정도의 찌올림은 있더군요..물론 올라올때는 헛챔질이 대부분이고 빨릴때 챔질해야 고기얼굴 봅니다. 빨릴때 채던 올릴때 채던 그게 중요한건 아니구요 지금까지는 7호봉돌부력의 찌에 본봉돌과 스위벨간 목줄 10cm, 바늘목줄 5cm로 줬습니다. 찌올림은 거의없고 깔딱거릴 때 챔질해서 잡아냈는데 오히려 저부력찌와 목줄을 길게했을 때 보다는 조과는 더 좋았습니다. 왜냐면 내림처럼 낚싯대잡고있고 깔딱거릴 때 무조건 채니까 입이아니더라도 몸에라도 걸려나오더군요.. 근데 이건 올림채비로 이렇게 잡는다는게 좀 무식한 방법같아서 고기를 못잡더라도 정확하게 찌를 잘 올려주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대상어종은 잉어, 잉붕어, 중국붕어 입니다. 스위벨채비에 있어서 찌의 부력이 찌올림에 상관이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특히 요즘처럼 추운날씨에 입질이 많이 약할 때 스위벨채비로 찌올림을 보려면 어떻게 셋팅해야 할까요? 참. 원줄은 7호봉돌의 부력찌를 사용할 때 카본2호사용했다가 3호봉돌부력의 찌로 바꿀 때 모노1.2호로 바꿨습니다. 물론 스위벨도 더 작은걸로 바꿨구요. 정신없이 적었는데 추운날씨에 손맛터에서 찌올림을 볼 수 있도록 스위벨채비로 저부력찌와 고부력찌의 차이의 설명과 함게 멋진 찌올림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양어장에서 얼레 내림하는곳에서 올림하기가 무척이나 어렵지요
요즘 기온이 갑자기 10일전부터 많이 내려서 아마도 더어려웠을겁니다
저역시 엊그제 매시간 채비의 오링가감을 하면서 떡밥의 변화와 4종의 미끼를 써보았으나 재대로된 찌오림은 거의 못보았습니다
2월달 하우스에서 올림낚시 하는기분? 그정도로 입질이 안좋더군요
저녁에 사람이 없을때도 찌오림이 안좋아 결국 결론은 급격한 기온변화에 내림 얼레에 길들여진 붕어의 스트레스로 결론지었습니다
어렵게 생각마시고 다시 가을기온으로 돌아가고있으니 조금있다 출조해보심이 좋을듯합니다
양어장에서 낚시하실때 찌맞춤을 가볍게 그리고 예민하게 하여 낚시하심이 기본일듯 합니다..
바늘의 무게로 인하여 3목정도의 차이가 나더라구요...
찌맞춤수조에서 실험해 보았는데 일반적인 찌맞춤으론 찌에 전달되지 않더라구요...
봉돌을 띄우고 바늘만 바닥에 안착하여 낚시하시면 좋을듯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