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입니다 여기 여러 고수님들에 글을 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궁금쯤이 생겨서요..
스위벨과 봉돌의 비율문제인데요 ...봉돌 무게를 찌몸통이보일정도로 맞추고 스위벨을 달아야한다고 하는데..
이론상 찌에 무게중심만 아래쪽에 있으면 찌는 물위에 몸통까지 떠있는것 아닌가요??
정확히 어디까지를 말씀하시는지 잘..이해가..ㅜㅜ
쉽게 좀 알려주세요~~ (__)꾸벅
스위벨 황금비율??
-
- Hit : 614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하절기에는 6:4 정도 사용합니다.
찌의 푼수에 맞게 사용하는게 좋슴니다...
실제로 스위벨을 제거했을때 찌는 자동으로 몸통까지 올라오게 됨으로 원봉돌찌맞춤 까지 올라오기전에는
붕어는 스위벨만큼의 이물감만을 느끼지만 그이상 올라오거나 갸우뚱 누울정도가 되면 원봉돌까지 들어올려야 하는 상황이 되므로
이물감이 더해지겠지요.
위 사항이 이해가 되셨다면 비율은 더이해가 쉬우실겁니다.
여유있는 챔질 혹은 더큰찌맛을 위해서는 스위벨의 비중이 커질것이며
예민한채비를 원하실때에는 스위벨의 비중이 작아지겠지요.
하지만 스위벨의 비중이 너무작을때 예를들어 원봉돌이 찌목네다섯 마디를 차지하고 그 찌목만큼만 스위벨이 내려않힌다면?
붕어는 네다섯마디까지는 작은 이물감을 느끼다가 그이상은 원봉돌의 이물감까지 느끼게됨으로 헛챔질이 많아질수 있습니다.
비율은 스위벨 본봉돌달고 스위벨을 제거햇을떄 지 어께까지 ..즉 몸통상단이 보일정도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스위벨과 봉돌의 비율은?
=> 일정한 비율이 있는 것이 아니고. 찌마다 낚시 기법마다 다른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스위벨을 물고기가 들어올렸을 때 찌톱이 올라와야 하는데
너무 작은 것을 쓰면 찌톱을 조금밖에 들어올리지 못하고, 잘 반응하지도 않으며
또 너무 무거운 것을 쓰면 1봉돌 채비와 다른 점이 별로 없는 채비가 되기 때문이지요.
바닦낚시 찌에서 찌 다리와 찌 톱은 카본과 솔리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두가지는 공기 중에 놓으면 떨어지며
물 속에서도 물 비중보다 높아 가라앉습니다.
이러한 찌 톱을 찌 몸통 부력으로 스위벨을 들었을 때 올려야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찌톱의 길이 두께가 다르며
같은 이름, 같은 호의 찌라도 몸통 부력이 다르더군요.
그리고 동부력을 가진다라는 매월이찌는 찌 톱 길이가 다르구요.
"찌몸통이보일정도로 맞추고"
=> 수압이라는 것이 있는데
수압이 높아질 수록 봉돌이 잘 내려가지도 올라오지 못하게 되며
봉돌 안착을 위해서 약 3m에서 중자 쇠링 1개를 추가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너무 가병운 스위벨을 사용했을 때
스위벨을 들어 올려도 윗 봉돌이 잘 반응하지 않는 점이 있게되어,
찌 톱을 올리지 못하는 점이 생기게 됩니다.
아마도 그러한 이유로 찌 몸통이 약간 보일 정도로 마추시는 것은 아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