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배조사님들
양어장에서 낚시시 원줄 호수를 얇게(모노1호~1.5호) 보통 쓴다고 알고있습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위해서요.
그런데 제가 쓰기에는 아직 조력이 부족해서 물고기잡다가 터지는 일은 없었으나...
관리가 힘들어서 접고 필때 쓸리고 해서 줄이 끊어져서요.
그래서 모노3호나4호 저렴한놈으로 쓸려고하는데요,
모노4호 써보니 짧은대 던지고 보니 줄이 두꺼워서 물위에 떠있는게 보이네요ㅎ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니
얇은줄 사용하는이유가 예민한 찌맞춤인데 어차피 모노줄은 물에 떠있으니 상관없지 않나요?
대류가 심하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지않는이상 모노줄이라면 어차피 물에 떠있으니 모노4호줄이라도 예민함에선
차이가 없을거같아서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지식을 들려주세요.
처음에는 낚시방가서 줄아무거나 사서 사장님한테 묶어달라고 했는데ㅎㅎㅎ
이게 하다보니 낚시대도 점점 비싼놈으로가고 점점 복잡해지네요ㅎ
옆 조사는 찌올림도 멋지고
잘만 낚아내는데..
나의 찌는 말뚝이었다가 한번씩 오는
총알입질에 헛챔질로 지쳐봐야~
아~ 내 채비에 문제가 있구나~ 하겠죠.
원줄 1.5호 목줄 1.0호 채비하세요
그 정도면 양어장에선 센편이이지만
지금보다 나을듯합니다.
관리를 못하신다고 하셨는데
이점도 라인 몇번 터지면 관리하게 되고
챔질도 신경쓰게되면서 스킬이 느는겁니다
원줄 목줄은 대 펴고 접을때
항상 손가락으로 느끼면서 쓸림이나
파마. 본의아닌 매듭이 생기면
바로 교체해 줘야 하구요
초리대부터 찌고무까지의 원즐은
항상 물속에 있어야 하구요
초릿대도 한뼘 정도는 물속에 담가 놓아야
찌부터 초리대 사이 원줄이 자연스레 정렬이 되요
저는 카본2호줄 사용합니다..
목줄은 케브라 1호쓰다 큰놈물면 자주터져서 걍 합사묶었던거로 교체했습다..
채비도 좋지만 밥질이 더중요합니다
요즘같이 고기들 활성도 높은 시기에는 굳이 모노줄 고수하실 필요없다봅니다..
카본 2호줄 써도 저번에 50수이상했습니다...대신 밥질이 필수죠...
그리고 더 경제적으로 모노8호 쓰시죠~
또 라인은 비중외의 부분도 고려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뭘하든 처음부터 너무 편하게만 배울려면
안 늡니다 번거롭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자연스러워질때 자신도 모르게 기량이
늘어나는 겁니다
합니다.
낚시터마다 예민한 채비가 좋을 때도 있고.
강한채비나 중간정도 채비가 나을수도 있고요.
님이 자주 가시는 낚시터에 맞는 채비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는 예민성은 먼저 목줄과 바늘에서 시작됩니다.
그다음 봉돌의 크기 원줄 채비맞춤 입니다.
양어장은 일단 자리가 중요합니다.^^
2. 집어는 내가 하기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3. 원줄이나 목줄은 가능한 가는줄이 좋습니다 내림하시는 분이 0.8호에 0.4호 줄 사용하는 이유가 있겠죠 참고로 전 1.5호에 1호줄 사용합니다 잉어6짜도 잡아냅니다 하지만 집어된 상황에서 찌가 서기전에 잉어가 가지고 가면 목줄이 앵
어제 하우스에서 34마리 잡는동안 목줄을 16번 교체, 바늘이 남아남지 않네요
그다음은 초릿대끝을 물속에 담그고 당기면서 뒷걸이에 걸어 줌니다.
여러번 하다보면 자연스레 모노줄도 잘 잠김니다.
모노줄은 기포가 많이 생기는 여름에는 불리합니다.
본인 경험 입니다.
잉어향어
붕어채비 따로하기다 귀찮고
한때는08호모노줄쓸때도 있었습니다
양어장형 유터에서 얇은 라인을 쓰는 이유는 사실 찌맞춤을 예민하게 한다기 보다, 부력이 적은 찌를 주로 사용하기에 이에 대한 밸런스를 맞추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부력 1.5g대에 카본 3호를 사용하면 사실상 찌맞춤 자체가 안됩니다. 그럼 왜 적은 부력의 찌를 사용할 까요? 이는 입질표현이 자연노지에 비해 예민하기 때문입니다. 예민하다는 것은 입질표현의 폭과 입질지속시간 모두를 말합니다.
이제 본격적인 답변으로 가면,
1.원줄이 물에 떠 있으니 예민한 찌맞춤에서 차이가 없다...는 잘못된 지식입니다. 서너번 투척과 헛챔질을 반복하며 원줄의 공기방울 등을 털어내면 나일론 줄도 이후에는 찌의 목내림과 함께 가라앉습니다. 초릿대를 물에 박아 줄을 부러 가라앉히는 행위는 사실 빠른 목내림을 위함입니다. 특히 얇은 줄을 사용하는 경우 이리 합니다.
2.찌와 원줄의 밸런스만 맞는 다면 찌맞춤을 예민하게 할 것인가 반대로 무겁게 할 것인가는 동일하게 할 수 있습니다.
3.위 댓글에 보면 양어장형 유터에서 큰 호수의 원줄을 사용하면서도 수십마리를 잡았다고 하시는 분이 계신대 이는 활성도가 좋을 때를 만나서 가능했다고 생각하시는 게 옳습니다. 양어장형 유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예민한 상황'을 기준으로 채비와 원줄, 찌맞춤을 하시는 게 꽝 칠 확률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4.대를 접고 펼때 원줄이 손상된다는 것은 약간의 습관 변경으로 해결됩니다. 낚싯대 자체에 감는 실리콘 줄감개를 이용하시고, 대를 걷을 때 바늘을 의자 등에 걸어놓은뒤 접으시면 원줄이 다른곳에 쓸리는 것을 방지하실 수 있을 겁니다. 펼때는...글쎄요. 어찌 펴시길래 원줄이 손상되는 지 이해되지 않아 답변을 보류합니다.
1.(카본줄)...
2.호수: 2호
3.호수: 2.5호
4.사용하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