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하는 방법인데 찌톱굵기나 길이에 따라 약간씩 다르긴 한데 현장에서 바늘까지 장착한 상태에서 케미를 빼고 찌몸통 1센티 전까지 봉돌을 자른후 케미를 꼿으면 케미꼿이 전체가 노출될겁니다 그상태에서 찌톱이 1센티 정도 나오게 맛춘후 낚시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전 6호정도의 고부력 대물찌인데도 이렇게 찌맛춤이 됩니다
다 경험하신 이야기지만 케미 중간이나 케미꽂이 경계선이라든가
아니면 케미꽂이 하단부라든지 해서 봉돌 깍다보면 조금 더깍아도
찌위치가 별로 차이가 안나고 조금더 조금더 깍다보면 어느한순간
목표치보다 더올라와서 짜증(?)난경험이 있으셨을겁니다 고수님들께서야 다아시니 패스하고요 초보분들은
표면 장력이 별게 아닌듯 해도 케미나 케미꽂이등 굵은 부분에서는 어마어마하게 작용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이나 변수가 있지만 일단 표면 장력을 최소화하면서 예민하게 맞추시려면 바늘빼고 케미꽂이하단 찌탑
반마디나 한마디부분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지요 낚시중에 대류나 바람이 심하다면 쇠링도는 좁살을 끼워서 그때그때 융통성있게
하면되고요 예민하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찌탑부분만 논하자면 가는 부분에 맞춰야 한다는 뜻으로 초보분들께 쬐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적었습니다
케미전체가 나오고 찌톱까지 나오게 되면 잘못하면 현상둥둥둥 떠나니는 이생길수도있습니다
예민한것도 적당히 마추셔야합니다
줄- 보통은 모노필라민트 얇은 줄
뭐 이런 내용이 있을 수 있는데요.
실제 낚시에서는 변수가 많기 때문에 그 변수에 마추어서 낚시를 하는 것 같습니다.
주간케미꽂이까지 나오게 맞추면 정상적인 찌맞춤이고요.
찌톱반마디가 노출되게 맞추면 가벼운 찌맞춤이지요.....
수심맞추고 찌톱이 한마디이상 나오게 낚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을라니 알랑가몰라...
저도 창원입니다만 낚시회가입 연령제한이있어서요
케미 완전 노출 되게(즉-찌꽂이 상단에 걸리게) 찌맞춤 합니다.
가벼울것 같지만 현장에선 채비 전체 무게 및 원줄 물흡수 때문에 봉돌 안착됩니다.
그리고 봉돌 무거운거 쓰시면 가벼운 찌맞춤 이더라도 이물감이 가중 됩니다.
3~4호 사이가 적당 한것 같습니다.
전 바늘 안달고 찌마춤 합니다
케미 끝에 마춤합니다
바늘달기전 수심도 확인후 바늘달고 낚시 하시면됩니다.
찌는 일목 내놓고 하시고요
낚시할때는 케미꼽는고무 1cm 밑에서 합니다
1 바늘의 크기 원줄의 호수가차이점을 보이네요
2 미끼의 크기도 입질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3 찌톱의 크기도 차이가 납니다
각자의 성향에따라 찌맞춤은 차이점이 있겠지요..
기본바탕은 같으나 바늘과 케미를 달고하는분과
달지안고 하는분도 있고요...
저는 바늘케미 다달고 0.5목맞춤에 1목내놓고합니다만
고기의 활성도라던지 잔챙이성화 바람과 대류등등을
고려해서 그때그때 다르게 맞춥합니다.
이렇게 질문 100번보다는 마린코프님과 동출한번으로
현장에서 배우시는게 가장 빠른방법이겠지요^^
시간여건만 된다면 저도 낚시회가입해서 동출도 해보고싶은데...ㅠㅠ 전 밤낚시만 다니는지라 ㅎㅎ
저랑 나이도 비슷하신데 친하게지내요^^
아니면 케미꽂이 하단부라든지 해서 봉돌 깍다보면 조금 더깍아도
찌위치가 별로 차이가 안나고 조금더 조금더 깍다보면 어느한순간
목표치보다 더올라와서 짜증(?)난경험이 있으셨을겁니다 고수님들께서야 다아시니 패스하고요 초보분들은
표면 장력이 별게 아닌듯 해도 케미나 케미꽂이등 굵은 부분에서는 어마어마하게 작용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이나 변수가 있지만 일단 표면 장력을 최소화하면서 예민하게 맞추시려면 바늘빼고 케미꽂이하단 찌탑
반마디나 한마디부분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지요 낚시중에 대류나 바람이 심하다면 쇠링도는 좁살을 끼워서 그때그때 융통성있게
하면되고요 예민하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찌탑부분만 논하자면 가는 부분에 맞춰야 한다는 뜻으로 초보분들께 쬐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적었습니다
아닙니까?
그게 아니라면 내림낚시를 어느정도 하다가
다시 바닥으로 응용해보시는것도 괜찮을듯합니다.
또는 캐미끼고 캐미만 다 나오게 캐미꽂이 상단이나 하단에 맞춥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