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올림, 옥내림 동시 가능채비로 만들었는데 생각되로 될까요?

경력 3년 초보입니다. 월척에서 많은 정보를 접하고.. 올림(찌올림을 못잊죠) 및 옥내림(조과를 못잊죠)이 동시에 가능한 채비가 없을까 하고 고민에 고민을 하고 만들어본 올내림채비입니다. 목줄 A, 목줄 B 한개씩 만들어 보았습니다. 채비를 만드는데 시간이 너무 걸리네요.. 그림에는 간단하지만 .. 많은 과정이 ㅠ.ㅠ ...참고로 긴바늘 부분은 수연채비를 참조해서 만들었습니다. 이케 하면,,, 과연 올림 및 옥내림이 되긴 될까요? 겨울이라 낚시 할데는 없고..고수분들한테 여쭈어 봅니다. 빨리 꽃피는 봄이 오기를~~~!!!
올림 옥내림 동시 가능채비로 만들었는데 생각되로 될까요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영점맞춤에 유동추를 도래에 바짝 붙이면 올림이 되겠고
현채비도 대로 영점맞춤하면 끄는 입질일 듯 하고
옥내림 처럼 3목정도 맞추면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작년에 원줄 2.5호 카본 사용하고 유동추 도래보다 10cm 정도 올리고 목줄의 바늘길이 6cm로 외바늘, 쌍바늘
낚시했어요... 목줄길이가 짧아 거의 올림입질입니다. 글루텐이나 옥수수 달고 했는데요,, 옥수수에 붕애도
환상적인 찌올림줍니다.
긴 목줄의 수연채비는 인터넷에 검색하면... 채비 제안자 말씀이 거의 옥내림수준으로 조과가 좋다고 합니다.
찌맞춤은 분할봉돌이므로, 도래가 바닥에 닿도록 전통바닥낙시 찌 맞춤 하셔야 합니다.
짧은 바늘의 미끼를 잡순 붕순이는 도래(0.26g)만 들어 올려주면 찌올림이 나타납니다.
올리는 입질이 더 많을것 같습니다 .

도래가 바닦에 다은 상태라면...연주 찌자체도 내림 보단 올림이 되지안을 까요..
둘다 올림 입질이 될것같네요^^

간혹 긴바늘에 빠는입질도 오겠고요^^
그러나
과연 도래가 연주찌부력을 이기고 바닥에 안착되느냐 그게 문제겠죠^^
유동추 무게가 얼만지는 자세히 모르겠습니다만 ..

경주발님 말씀대로 연주찌 부력을 이길만큼의 무게는 가져야되겠구요. 이긴다해도 너무 가벼우면 올림보다 끌리는 입질이 많이 나올겁니다

그리고 도래를 안착시켜도 올림입질을 제대로 보려면 도래를 떼면 찌톱이 드러나게 분할 찌맞춤을 제대로 해야됩니다

연주찌 부력까지 물론 계산해서요..
설명이 빠진게 넘 많네요

표준수연채비(외바늘 채비) : 원줄(카본 3~5호), 목줄(카본1.5~2호), 대물찌(봉돌5.5g) 연주찌HDF마름모 2호)
저의 채비----------- : 원줄(카본 2.5호),긴목줄(카본 1.2호)/짧은 목줄(케브라 0.6호),떡밥찌(부력 2.75~3g) 연주찌HDF마름모 1호)

* 표준수연채비는 옥수수를 사용하면서 수초대에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해요..
아래도래부분이 바닥에 안착한다면 올림입질위주일거 같은대요 연주찌가 부력이 있어서 도래가 뜰수 있기때문에 오링추가하시면서ㅎㅎ
줄꼬임현상이라든지 문제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대야에서 실험했어요 연주찌 1호는 0.26그램 도래를 들어올리지 못해요 투척시 연주찌가 있는 긴 목줄은 연주찌 부력으로 늦게 안착되면서 짧은 목줄과 자동으로 벌어지네요. 중요한것은 긴 목줄과 짧은 목줄사이에 매듭이 있어면 짭은 목줄 바늘이 긴 목줄 매듭에 걸려요 매듭 없게 스토프를 넣어서 도래에 목줄연결후 목줄 스토프를 도래끝까지 바싹 밀어 붙여야 해요
실험결과는 목줄 A (전체 카본)은 줄 꼬임이 거의 없는듯 합니다. 실전에서 해봐야 하겠지만...목줄 B는 케브라줄이 워낙 부드러워서 투척기술이 조금 필요할 것 같은데제가 아직도 초보라 걱정됩니다요
그림 설명이라 보기좋습니다
결국 바닥에 안착된 상태인데 올림 형태일것으로봅니다
한 입에 빨고 돌아설땐 옆으로 끌거나 내림으로 나타날수 있겟지요
저는 그채비를 현재쓰고있는데요 찌맞춤 과 발포찌 를 얻떻게쓰느냐가 관건이내요 우선찌맞춤은 말포1호로 쓸경우 발포.바늘 빼고영점으로 맞추고요 발포2호로 쓸경우는 찌가물속으로 잠수햇다가 서서히 수평이되게 마추면 되더라구요 그리고 찌는 99%올라오는 입질이오내요 이채비는 바닥이 깨끝한곳에서는 큰효과 과 업는것 같고요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는 효과 과 있는것같내요 참목줄 에 미끼를 무었을 쓰느냐에따라 발포찌 위치 변화를 주어야합니다 이거는 기준이아니라 제가직접 써보고 도움이될까하여 몇자 적어본것입니다 그리고 목줄길이와 합사 모노 카본 에따라 이질 형태가 많이 틀리더라구요 평지는 합사가 더좋았고 지저분한 바닥에서는 모노 나 카본이 더좋더라구요 이상입니다 498하세요 참 찌맞춤은 현장찌맞춤이고 발포 1호는 미끼를 달면 바닥에 살짝다있는 상태이고요 2호는 미끼선택에따라 바늘위치가 바끼더군요 저의경우는 옥수수 가 가장 효과가 좋았습니다 ...
걸리보님!! 반갑습니다. 드디어 무림의 은둔고수를 만났습니다. 소저를 부디 제자로 거두어 주십시요. 스승님이라 칭하겠습니다. 친절한 찌맞춤 설명 감사드리고요 99% 올림 입질이라는 답을 찾았네요. 스승님! 한가지만 더 여쭈어 보겠습니다. 긴 목줄의 옥수수를 탐하는 붕순이의 조과는 과연 순수 옥내림낚시에 대적할 만큼 되는지요? 저도 찌올림을 좋아하므로 이 채비로 조과만 받혀 준다면 오늘 부터 봄이 올때까지 목줄만드는데 온 힘을 쏘켔습니다~~~
목줄 만들다가 목줄 A의 장점을 발견했네요 짧은 줄과 긴줄의 길이를 수시로 조절가능하네요
옥내림 과는 비교를 해본적은 없습니다 저는내리는 입질자채를 생각해본적이없내요 저의 기본적인생각은 올리는 입질만을 선호합니다 참고로 목줄을 모노줄 3호로쓰고있고 목줄길이는 25였을때는 발포찌를 바늘귀에서 13.5cm거리를두고 20 이였을때는 10.5 15 일때는 10.5 정도로 쓰고있습니다 상황에따라 목줄길이를 바꾸어 쓰다보면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바늘은 옥수수 단상태에서 3에서5cm 정도 바닥에서뜸니다 그정도가 입질이 가장좋았던것같내요 이것은 발포2호찌 기준입니다 참고로 떡밥낚시 시에는 막대발포 2호를 쓰고요 목줄은 모노 나 카본보다 합사가 더효과 과 있내요 목줄길이는 12에서 15cm 정도가 적당하고 막대발포 위치는 가늘귀에서 5cm 이상은 거리를 두어야 이물감을 최소하 할수있는것 같내요 저는 거리를 9에서 10 정도로 두어서 사용 합니다 찌맟춤은 바늘 발포빼고 영점 으로 합니다 (떡밥 합사막대발포찌 사용시)참 물속의 떡밥위치는 바닥에 살짝 다있는상태입니다 뻘바닥에서 해도 떡밥이 함몰되지는 않습니다
참 ~ 원줄은 카본4호 와 5호 를 쓰고있습니다 차이는 크게나지는 않더라구요 수연채비는 바닥에서 9cm 이상 뛰움니다 목줄 25기준 바닥상황에따라 발포 위치를 조정해서 해보세요 (옥수수기준) 낚시전 옥수수를 조금 뿌려주고 낚시를 합니다 (반캔정도)
자꾸 빼먹내요 ㅎㅎ 도래대신 스웨벨 5호나 6호 정도로 쓰심이 어떨런지요 발포의 공갈입질 과 바닥안착을 위해서 저의경험담입니다 잔고기 입질도 생각 해야할것 같내요 특히 노지에서는요
걸리보 스승님! 감사합니다. 스승님의 많은 경험을 술 한잔도 대접 안해드리고,, 요러케 공짜로 고수의 비법을 전수해 주시니, 제자..넘 행복합니다. 발포막대찌, 스위벨6호..아직 공부할게 넘 많네요... 덕분에 이번 겨울은 바람같이 지나갑니다. 올해는 기록갱신 하시고 행복한 시간 만들어가십시요.. 꾸벅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