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두바늘 채비가 외바늘 채비보다 집어라던지 미끼 활용에 있어 좋습니다.
보낚시나 강낚시 같은경우 두바늘 채비에 떡밥과 미끼를 잘 활용하면 외바늘 보다 조과가 좋을때가 많습니다.
큰 조과 차이는 아니더라도 조과에 있어 유리하다고 생각 됩니다.
다만, 분명 장단점이 있습니다.
외바늘채비는 두바늘 채비보다 찌올림이 좋고 상황에 따라 목줄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해 쓰기 용이 합니다.
바늘이 엉킬 염려도 없고 장애물 포인트에서 붕어를 걸었을 경우 장애물에 걸려 붕어를 놓치는 경우가 두바늘채비에 비해 상당히 적습니다.
이러한 부분 외 여러가지 장점들로 대물낚시에서는 외바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선택을 본인이 하시는 거구요 모든 것은 동전의 양면이죠
떡밥을 달아서 앞치기까지의 과정을 한 싸이클이라 가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바늘과 양바늘 누가 빠르게 진행될까요?
그리고 그 집어의 양은 누가 더 많을까요?
미끼운용의 다양성은 누가 더 낳을까요?
수초밀생지역의 채비 투척은 누가 더 효율적일까요?
낚시는 자기패턴입니다.
목줄15센치이하(정통바닥낚시)라면 외바늘이 더 편하더군요 하지만 옥수수올림(내림)낚시처럼 목줄이 30센티 이상이라면 차이가 있었습니다 특히 바닥이 지저분한 지역에서는 입질 빈도가 차이가 있었습니다 긴목줄 단차로 인한 미끼함몰 방지가 큰영향을 주는것 같더군요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결국은 낚시는 자신만의 경험치인것 같습니다
드디어 멍텅구리까지 나오는군요~
처음 낚시를 할 시절.
당시 수도권 어디를 가도 물좋고, 낚시 할만한곳이 지천이었네요.
낚시를 한다던 친구가 해준 채비, 멍텅구리(인찌끼?)아님 주로 빨간색 튜브가 낀 쌍바늘..
그게 낚시 바늘의 일반적인 채비인줄 알고, 하다가. 유료터도 생기고 하며, 향어 잉어를 낚기 위한.
삼봉... 당시는 또 그게 보통 채비였습니다. 그렇게 또 그채비로 몇년..
먼곳도 힘들고(소양댐,충주호등등), 유료터도 수질및 관리인들의 장사속등...그런게 싫어..
그나마 근교 비유료터(이런곳들도 이젠 거의 유료터..)를 가끔 찾던중.
모처를 간적이 있습니다.
전 쌍바늘 채비에 2대, 당시 옆에 저보단 훨씬 연배이신, 50-60대 되 보이시는분이 한대로 낚시를 하쎴고요.
잘 낚으십니다. 전 입질 보기도 쉽지 않았는데...
채비를 보니 그분은 한대로 외바늘...
그날, 저 대여섯마리 한것 같습니다. 아마 그분은 10배쯤 하지 않았을까 싶고요
댓글 주신분들 말씀이 집어, 터의 환경등등 여러가지 고수분들의 경험등에 관련해 조언을 주셨습니다만,
전 그에 별 도움이 안되는 주저리 같지만, 저도 그 뒤 부터는 노지던, 관리터던 많으면 처음 3대, 살펴보고
그중 한대 또는 두대로 낚시를 햇습니다.
물론, 거의 외바늘을 고집합니다만. 뭐 조과야~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니까 2바늘을 버리지 못하는 겁니다.
습관성으로 인해서 외바늘은 무척 허전하더군요
밑걸림이 심할때만 외바늘 체비 합니다
조과의 차이는 내 맘속에만 존재하는 거 같습니다
보낚시나 강낚시 같은경우 두바늘 채비에 떡밥과 미끼를 잘 활용하면 외바늘 보다 조과가 좋을때가 많습니다.
큰 조과 차이는 아니더라도 조과에 있어 유리하다고 생각 됩니다.
다만, 분명 장단점이 있습니다.
외바늘채비는 두바늘 채비보다 찌올림이 좋고 상황에 따라 목줄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해 쓰기 용이 합니다.
바늘이 엉킬 염려도 없고 장애물 포인트에서 붕어를 걸었을 경우 장애물에 걸려 붕어를 놓치는 경우가 두바늘채비에 비해 상당히 적습니다.
이러한 부분 외 여러가지 장점들로 대물낚시에서는 외바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순간 외바늘만 쭉 사용합니다.
저도 S모그님처럼 별 차이없다고 스스로 다짐합니다.
어느 시점이후로 외바늘만 쭉 쓰고 있습니다.
양어장 토종터 맹탕 낚시 아닌이상은 외바늘이 득이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현장 여건에 따라 외바늘로도 쌍바늘로도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무어든 절대로 이거 아니면 이라는 생각은 버리시고
상황에 맞게 외바늘로 사용도하고(생미끼,수초지대 등)
한쪽바늘 집어군형성 한쪽바늘 글루텐
이렇게 짝밥으로 계속 집어와 잡이를 이어가고 싶을때는
쌍바늘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찌올림이요? 그건 붕어 활성도에 따라 다릅니다.
외바늘이라서 깔끔하고 쌍바늘이라서 지져분하다는 편견은 버리세요
활성도가 좋으면 두바늘 한꺼번에 먹고 찌를 똥창까지 올림니까요 ㅎㅎㅎ
조과에 50%는 더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늦게 도착해서 외바늘 교체시간이나 귀찮을경우 바늘하나를
도래아래쪽 줄묶는 둥근부분에 바늘걸어서 그냥 사용합니다.
바닥이 맹탕일경우 쌍바늘로 떡밥집어하다가 입질빈도 높아지면
바늘하나걸고 외바늘로 낚시합니다.그래야 찌보기도 편하고
헛챔질빈도가 적어지더라구요.
결론적으로 조과는 랜덤이라서 상대적으로 편한 외바늘을 씁니다^^
당연히 있지요
그런데 하다보면
대물욕심에 맹탕보다는
수초쪽을 노릴것이고
그리하다보면 외바늘의 깔끔함과 편리함에
쌍바늘과 조과차이가 없다고
스스로 위안하는것일뿐 입니다
바늘이2개라서확률이두배라는분들이계십니다.
허나, 쌍바늘을하게되면투척했을시생미끼던떡밥이던바늘한개를먹고들어올리는데다른바늘목줄만큼들고그이상은다른바늘에달린미끼가무게로작용함돠
그러기때문에오히려조과가나쁠수도있습니다.
외바늘이손이적게가고,깔끔한찌올림도좋고,
혹여장애물에걸릴확률조차적으니..외바늘만합니다.
쌍바늘할때보다장점이많으면많았지단점은한가지도못봣네요..엉킴없고,다른바늘로인해목줄손상없고,
외바늘 떡밥 낚시 하다가 입질이 너무 없으면
쌍바늘로 교체후 집어제 달아 던집니다.참고로 낚시대 두대이상 안칩니다ㅎㅎ
고기욕심을 버려야 외바늘 가능할거 같아요
두배로 밥을 빨리 먹을수 있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붕어 낚시의 진정한 미덕은 '마음을 비우고 때를 겸허히 기다리는 것' 입니다
대자연 앞에서 까불어 봤자죠
찌올림 깔끔해서 거의 외바늘 씀니다~~~
낚시대 한대에 맨 밑바닥부터 위로 단차를 둬가며 목줄이6개 총 6바늘로 낚시한적도 있었습니다
거의 주낚이었죠
조과 욕심을 내다보면 끝이 없다는것을 깨닫게 되는데 상당한 오랜시간이 걸렸습니다
기나긴 시간 동안 기다리다가 오늘 큰것 하나 배우고 갑니다..
떡밥을 달아서 앞치기까지의 과정을 한 싸이클이라 가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바늘과 양바늘 누가 빠르게 진행될까요?
그리고 그 집어의 양은 누가 더 많을까요?
미끼운용의 다양성은 누가 더 낳을까요?
수초밀생지역의 채비 투척은 누가 더 효율적일까요?
낚시는 자기패턴입니다.
저는 낚시한지가 몇년되지않아 같은 고민에 빠진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외바늘만 사용하고있습니다
어떻게 쌍바늘의 유혹을 뿌리쳤냐면...
낚시대를 두배로 늘렸습니다ㅋㅋㅋ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결국은 낚시는 자신만의 경험치인것 같습니다
같습니다 .
수초권 생미끼.지져분한곳 뭐그러곳
외바늘 씁니다 배스터는 하도입질이없으니 쌍바늘을 쓰려고하는것같아요 큰차이는없 는듯하나
지금은 모두 외바늘만 씁니다 ㅎ
찌올림은 쌍바늘이나 외바늘이나
차이없네요
현장이 특별하지 않으면 두바늘 쓰세요...아님 쌍 외 쌍 외 이런식도 있구요...확률 자체를 줄일 필욘 없다구 봅니다.
생미끼도 쓰고..글루텐단품만 쓰는데.. 같이다니는 일행중에서 항상 가장 많은 조과를 보입니다.
낚시장소의 선택이 더 중요한 문제인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글고 새우 낚시나 메주콩 낚시할때 쌍바늘 쓰는 사람도 있나요?
마찬가지로 떡밥낚시에서 장애물 지대가 아니고는 씽바늘이 집어군 형성과
짝밥운용술에서는 단연 우세인데 ....
자기가 그렇게 사용하니까 그것을 옳다고 하는것은 그릇된것이죠 ㅎㅎㅎ
실상은 별 차이가 없답니다.
만약 차이가 많다면, 두바늘이 아니라 세바늘인 삼봉으로.... ^^;;;
1미터 간격으로 열 몇대 깔아놓는 요즘 낚시에는 별 의미가 없으리라 봅니다.
하다가
또 하다가보면
원봉돌 외바늘이 저절로 좋아져요!!!
조과는 거기서 거기...!!^^
손에 익지 않아 못 쓰겠습니다. 결국 한 바늘 잘라내고 외바늘로만 사용하게 되더구요.
조과는 전혀 지장 없다고 생각 됩니다. 두바늘에 조과가 좋으면 세바늘이면 세배 조과
멍텅구리 채비면 대박 터지 겠지요.
예전 새우낚시 할 때 어분을 봉돌에 달아 사용한적 많았구요
그런데 그렇게 하니 잔챙이가 먼저 달려들데요...........ㅋㅋ
처음 낚시를 할 시절.
당시 수도권 어디를 가도 물좋고, 낚시 할만한곳이 지천이었네요.
낚시를 한다던 친구가 해준 채비, 멍텅구리(인찌끼?)아님 주로 빨간색 튜브가 낀 쌍바늘..
그게 낚시 바늘의 일반적인 채비인줄 알고, 하다가. 유료터도 생기고 하며, 향어 잉어를 낚기 위한.
삼봉... 당시는 또 그게 보통 채비였습니다. 그렇게 또 그채비로 몇년..
먼곳도 힘들고(소양댐,충주호등등), 유료터도 수질및 관리인들의 장사속등...그런게 싫어..
그나마 근교 비유료터(이런곳들도 이젠 거의 유료터..)를 가끔 찾던중.
모처를 간적이 있습니다.
전 쌍바늘 채비에 2대, 당시 옆에 저보단 훨씬 연배이신, 50-60대 되 보이시는분이 한대로 낚시를 하쎴고요.
잘 낚으십니다. 전 입질 보기도 쉽지 않았는데...
채비를 보니 그분은 한대로 외바늘...
그날, 저 대여섯마리 한것 같습니다. 아마 그분은 10배쯤 하지 않았을까 싶고요
댓글 주신분들 말씀이 집어, 터의 환경등등 여러가지 고수분들의 경험등에 관련해 조언을 주셨습니다만,
전 그에 별 도움이 안되는 주저리 같지만, 저도 그 뒤 부터는 노지던, 관리터던 많으면 처음 3대, 살펴보고
그중 한대 또는 두대로 낚시를 햇습니다.
물론, 거의 외바늘을 고집합니다만. 뭐 조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