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로 하는 씨알 기준으로 목줄길이를 정하면 어떨지요? 저는 합사를 쓰지만 14~15 정도로 길게 쓰는 편입니다. 이 길이를 써도 월척급 이상 입질하면 몸통이 넘어질때까지 잘 올립니다.
가끔 40중반이 넘는 초대형붕어 노릴때는 15센티도 짧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4짜후반 낚을때 뱉었다가 다시 흡입하는 경우가 몇번 있었습니다.
재어보진 않았지만 4짜후반이면 붕어입술부터 목구멍까지 길이가 10센티는 넘어갈 것 같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붕어가 먹이를 목구멍쯤에 넣고 오물오물하는 순간이 찌가 멈추는 시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순간챔질시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길이가 나오면 됩니다.
외바늘 방송하시는 박남수씨는 합사줄 길이를 15센치 정도로 쓰신다고 합니다.
카본이나 모노줄은 순간챔질에 파손이 더 잘 되므로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물론 잔챙이들이야 약한 호수에 짧게 써도 되겠지만 큰 거 노리시려면 굵고 긴 게 좋겠지요^^
물속 상태, 바닥 지저분하거나 바닥수초 등이 있는 경우에는 더 길게 쓰는 게 정설이구요.
주변분들 보면 합사줄 5센치 정도로만 써도 잘 잡는 분 계신 반면에 목줄만 터트리는 분, 원줄까지 터지는 분도 계십니다.
본인 스타일에 맞게 이것 저것 테스트 해 보시고 상황에 맞게 쓰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본인의 스타일(미끼운용.포인트선정.시기 등)에 가장 적합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스로 찾아야 할 문제입니다만.
목줄이 짧으면 상대적으로 피곤한 낚시가 될 가능성이 크고 길면 상대적으로 조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모든 조건이 동일 하다는 전제로.
특별히 떡밥이면 합사 10센티 기준에 필라멘트 15센티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옥수수는 이 보다 좀 더 길게하고 새우라면 이 보다도 더 길게 쓰기도 합니다.
결국 본인이 스스로에게 적합한 길이를 찾으셔야.
외바늘 카본목줄을 주로 사용합니다
떡밥이나 옥수수가 주력인데 저에게 맞는걸 잘 찾아보겠습니다
원줄굵고 목줄길게.. 큰놈나와라..
가끔 40중반이 넘는 초대형붕어 노릴때는 15센티도 짧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4짜후반 낚을때 뱉었다가 다시 흡입하는 경우가 몇번 있었습니다.
재어보진 않았지만 4짜후반이면 붕어입술부터 목구멍까지 길이가 10센티는 넘어갈 것 같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붕어가 먹이를 목구멍쯤에 넣고 오물오물하는 순간이 찌가 멈추는 시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쌍바늘일땐 10 15사용합니다
지금은 12cm로 정착했지만
전 4짜부터 후반48까지 8cm로 잡았습니다
늦게봐서 동동거리는넘도 있었고
계절에따라 몸통까지부터 한두마디올리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목줄이에 연연하지 마시고 본인 스타일로 믿음을 갖고 하시면 됩니다
원봉돌에 목줄이 너무 길면 입질 사각지대가 커서 손해봅니다.
12월 초에 옥수수 미끼 목줄 25cm 썼는데 입질이 없어
채비 회수하는데 월척급 인후치에 바늘이 박혀있는데도
사각지대가 크다보니 아예 입질파악을 못했습니다.
요즘은
떡밥 글루텐은 8cm 이내,
옥수수, 생미끼는 12cm 내외 쓰고 있습니다.
물론 바닦이 생초 지역이면 몰라도...
먹을땐 상관 없고 안 먹을땐 더 상관
없을듯 하다는
잡조사의 생각 입니다~~^^
외바늘 방송하시는 박남수씨는 합사줄 길이를 15센치 정도로 쓰신다고 합니다.
카본이나 모노줄은 순간챔질에 파손이 더 잘 되므로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물론 잔챙이들이야 약한 호수에 짧게 써도 되겠지만 큰 거 노리시려면 굵고 긴 게 좋겠지요^^
물속 상태, 바닥 지저분하거나 바닥수초 등이 있는 경우에는 더 길게 쓰는 게 정설이구요.
주변분들 보면 합사줄 5센치 정도로만 써도 잘 잡는 분 계신 반면에 목줄만 터트리는 분, 원줄까지 터지는 분도 계십니다.
본인 스타일에 맞게 이것 저것 테스트 해 보시고 상황에 맞게 쓰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0센티는 쓰셔야죠.
봉돌과의 조화롭기도 하구요.
봉돌과 바늘이 가까우니 이쁘지가 않더라구요. 동절기엔 더 길게 씁니다.25정도요.
그래서 고기는 잘 못잡나 봐요.
깨끗한 계곡지에서 찌맛과 소소한 손맛으로 만족하죠.
경치도 즐기고 물멍도 때리고 고기 욕심너무내면 몸상해요.
안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