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찌 맞춤을 수조에 하셨는지 현장맞춤을 하셨는지 모르겠으나 찌에 재질과 몸통의 모양에 따라 카본줄 2.5에서 3호는 찌톱을 한목에서 6목까지 눌러버립니다... 거기다 스토퍼, 유동찌고무 등등 채비는.... 자칫 자신의 생각과는 엄청나게 벗어난 오차범위의 찌맞춤 상태가 되어있을것이고... 그로인해 본인에 생각과는 다른 찌놀림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한정적인 시간에 물가에 나가면 낚시를 하고싶은게 당연지사이나 하루정도는 낚시보다 현장에서 다양한 원줄 찌 캐미등으로 찌 맞춤 개념을 잡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낚시만큼이나 재밌어요.. 유레카! 외치시는 날이 올겁니다.
화이팅 ^^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맞춤이라고 하면 아마도 찌의 부력에 의해 봉돌의 비중이 0이었을 때 아닐까요?
찌톱 1목에 영점을 맞췄으면 봉돌이 바닥에 닿았을때 찌톱 1목이 나오게 맞추는 것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찌맞춤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째맞춤은 양어장이나 유속이 거의 없는 곳에서나 가능합니다.
더 가볍게 맞춰도 떡밥의 무게로 떡밥이 안착되기 때문에 별 문제 없이 예민한 맞춤을 할 수있으나...
노지에서의 찌맞춤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속이 있다거나 카본줄이 가라앉으면서 당기는 힘, 세미나 모노줄에 유속, 바람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찌가 안착이 안 되고 흘러다닐 수 있습니다. 무거운 떡밥을 단다면 떡밥의 무게로 안착이 되겠지만 비중이 낮은 글루텐계열을 쓴다면 가벼운 찌맞춤이 될 겁니다.
현장 맞춤을 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찌맞춤을 적확히 하려면 찌톱을 나오게(가볍게) 하고 o링 등을 추가하여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 장력과 캐미의 부력으로 무거운 체비가 될 수 있습니다. 4호 미만의 찌만해도 캐미의 무게만으로 찌톱 전체를 수장시킬 수 있는 무게 입니다. 물속에서 비중은 다르겠지만 물위의 무게로 큰 영양을 준다고 봅니다. 영점 맞춤을 하고 캐미를 빼보시면 아실겁니다. 찌 다 올라옵니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전화 주세요. 아는 선에서 답해드리겠습니다.
이해가 갑니다.제가 원하는 답을 이해로 풀이해주셨습니다. 처음 낚시를 양어장에서 배워 노지가 어설퍼 혼동이 많은 듯 하였습니다 찌톱 반목맞춤에 쇠링 딸각 맞추고 상황에 따라 더 추가하는 방법으로 배워 낚시를 즐겨하고 이땐 큰 혼동없이 낚시를 해왔습니다.처음으로 돌아가 이방법으로 경험을 쌓아야 겠습니다.처음 배운 스타일을 벗어나려고 했던것이 큰 혼동을 불러왔네요
아울러 도움 주신 답글 해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정답은 없는건 알았지만 저의 채비가 항상 믿음이 안가서 투정아닌 질문글을 올렸네요
노지에서, 원줄 카본 2.5호, 외봉돌, 다대편성이시라면
지금의 찌맞춤은 예민하지는 않지만 적당한 찌맞춤이라고 생각됩니다
목줄의 종류와 길이, 찌부력 등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겠지만
지금의 찌맞춤은 입질이 아주 미약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점이 훨씬 많을 것입니다
글루텐을 주로 사용한다면, 그리고 5 ~ 6 대 이하의 대편성이라면
저는 일자형 주간케미의 중간 정도 맞춤을 하겠습니다
캐미 표면장력이 있으므로 약간 무거운 상태일것 같습니다
이는 또한 사용하시는 원줄종류와 굵기를 모르는 상태여서
정확한 답변이 됬는지 궁금하군요 참조만 해주세요,,,^^
그리고수심에따라더더누릅니다.
대물낚시라면무거워도크게상관은없습니다.
허나적당한게좋을거라생각됩니다.
원줄굵기, 찌의부력에따라
차이가많이납니다.쉽게가실거면
캐미꽂이수면일치가괜찮을듯싶습니다.
수심도3메다넘어가면차이가많이납니다
바늘달고 찌톱 딱 반마디 내밀고 하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가 맞는거지요!??ㅠ
한정적인 시간에 물가에 나가면 낚시를 하고싶은게 당연지사이나 하루정도는 낚시보다 현장에서 다양한 원줄 찌 캐미등으로 찌 맞춤 개념을 잡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낚시만큼이나 재밌어요.. 유레카! 외치시는 날이 올겁니다.
화이팅 ^^
이게 제가 듣고싶은 답변입니다ㅠㅠ 올릴놈은 올린다 상황에 따라 틀리다 사람마다 틀리다 하시는데 초보입장에서 어느정도 기준점이 있어야 그에 맡게 써보면서 상황에따라 느끼고 바꾸고 자기자신 걸로 만들수 있지 않습니까?ㅠㅠ
찌톱 1목에 영점을 맞췄으면 봉돌이 바닥에 닿았을때 찌톱 1목이 나오게 맞추는 것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찌맞춤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째맞춤은 양어장이나 유속이 거의 없는 곳에서나 가능합니다.
더 가볍게 맞춰도 떡밥의 무게로 떡밥이 안착되기 때문에 별 문제 없이 예민한 맞춤을 할 수있으나...
노지에서의 찌맞춤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속이 있다거나 카본줄이 가라앉으면서 당기는 힘, 세미나 모노줄에 유속, 바람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찌가 안착이 안 되고 흘러다닐 수 있습니다. 무거운 떡밥을 단다면 떡밥의 무게로 안착이 되겠지만 비중이 낮은 글루텐계열을 쓴다면 가벼운 찌맞춤이 될 겁니다.
현장 맞춤을 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찌맞춤을 적확히 하려면 찌톱을 나오게(가볍게) 하고 o링 등을 추가하여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 장력과 캐미의 부력으로 무거운 체비가 될 수 있습니다. 4호 미만의 찌만해도 캐미의 무게만으로 찌톱 전체를 수장시킬 수 있는 무게 입니다. 물속에서 비중은 다르겠지만 물위의 무게로 큰 영양을 준다고 봅니다. 영점 맞춤을 하고 캐미를 빼보시면 아실겁니다. 찌 다 올라옵니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전화 주세요. 아는 선에서 답해드리겠습니다.
아울러 도움 주신 답글 해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정답은 없는건 알았지만 저의 채비가 항상 믿음이 안가서 투정아닌 질문글을 올렸네요
지금채비는 약간 무거울듯합니다.
제찌가 대부분 2.7호인데 바늘달고 케미 (3미리미니방울)방울만 나오게 맞추면 봉돌이 일자로 바닥에 닿습니다.
케미만 나오게 맞추면 봉돌이 달랑말랑하게 됩니다.
지금의 찌맞춤은 예민하지는 않지만 적당한 찌맞춤이라고 생각됩니다
목줄의 종류와 길이, 찌부력 등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겠지만
지금의 찌맞춤은 입질이 아주 미약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점이 훨씬 많을 것입니다
글루텐을 주로 사용한다면, 그리고 5 ~ 6 대 이하의 대편성이라면
저는 일자형 주간케미의 중간 정도 맞춤을 하겠습니다
걍 하시면 됩니다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서 예민하게 하시면 됩니다.
않다면 큰 문제 없다고 생각됩니다. 찌 맞춤보다
좋은 바닦이 최우선이라 생각합니다
남들이 무겁니 어쩐니 다무시하시고요
믿고 기다리면 대물은 올려요
바늘에 수백번당한 유료터 고기아닌이상 올려요
믿음을가지시고
수평찌맞춤 에 2.5호원줄이면 무거운체비는아닐거라생각되는군요 ᆢ아무리좋은 체비도 혼자낚을순없습니다 낚시가그날그날 조건이찾이하는 비율이 아주큽니다 ㅎ
사도님 대어몽님 말씀도 참고 하겠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