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유동채비라는 것을 해서 낚시를 했습니다. 그런데 미끼를 갈기 위해 채비를 걷어 들이다보면 찌 바로 아래쪽에서 봉돌, 바늘이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옆에서 올라옵니다. 물 속에서 찌 아래에서부터 봉돌까지의 원줄 부분이 일직선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휘어져(늘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찌 맞춤이 잘못 되어 그런 것일까요? 고정찌 채비로는 안 나타나던 증상입니다. 집에서 케미꽂이만 꽂고 수평 찌맞춤을 하고 현장 찌맞춤은 하지 않았습니다. 혹시 채비,미끼달고 나니 가벼운 찌 맞춤이 되어 찌는 더 솟고 싶어하는데 스토퍼로 케미꽂이만큼만 억지로 나오게 하고 있어서 줄이 뻗질 못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유가 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좁은 수초권에서 도저히 이런 식으로는 안 되겠더군요.
원줄이 휘어져 있는 이유 알려주시면..
-
- Hit : 501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4
집에서 수조에서 찌맞춤을 한다고 현장에서 그대로 적용하면 100%실패라고
현장에서 찌맞춤은 필수라고 하더라구요.
제생각에는 찌맞춤에 문제 아닐까 생각듭니다.
제 생각이 틀렸다면 다른 조사님께 답변 패쓰;;
그런데 설령 줄이 손상되어 봉돌 과 찌가 사선으로 되있더라도
회수시 봉돌이 들리는 순간 무게중심으로 가려는 성질때문에 초릿대와 일직선이 되며 들릴텐데 이상하네요
또한 찌맛춤이 잘못되었다하더라도 찌아래의 원줄이 늘어지는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봉돌이 완전히 떠있는 마이너스 맟춤에 수심보다 길게원줄을 맞추시고 찌를 많이 내놓고 하신다면 모를까)
예를 들어 가벼운 맞춤이나 무거운 맞춤 모두 찌의 상승과 하강으로 표시되지 그것이 찌아래원줄의 늘어짐으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봉돌과바늘이 낚시대 들을때 옆에서 올라온다는 현상이 상상이 되지않는지라 더이상은 뭐라 말씀드리지 못하겠습니다
유동채비 오래쓰신분들에게 한번 직접 보여드리도 여쭤보는것도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하드에 보관중인데 메신저(네x트온)으로 보내드릴께요^^
일반적이 경우에 봉돌이 옆에서 나올 수는 없거든요. 봉돌 무게가 있어서 자연적으로 수직이 되지요.
이해가 안되네요.
바늘에 미끼를 달지 않고 수심에 맞는 찌 맞춤을 하실 경우에는 이상이 없는데
바늘에 미끼가 달리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침강 속도가 빠르다 보니, 찌가 봉돌부터 바늘까지의 원줄을 잡아주질 못합니다.
즉, 원줄이 사선을 그리고 있는것이죠.
이렇게 한번 시도해 보시죠.
채비 투척후 낚시대를 거치하실때 평소보다 약 30센티정도 내쪽으로 당겼다가
찌가 일어서면, 앞으로 밀어보십시요.
그리고 난 다음 착수했다고 생각되는 순간 낚시대를 더욱 앞으로 밀어 보십시요.
찌에 변동(솟아 오른다)이 나타나면, 찌 맞춤이 무거운 것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유동 채비를 사용하여 찌 맞춤후 투척해본 결과로 볼때
이상적인 찌 맞춤이면, 투척후 찌가 앞으로 딸려오다가, 일어선 뒤에
천천히 입수 합니다.
위에것보다 약간 무거운 찌 맞춤일때는, 투척후 찌가 반 자립 형태로 서서
좌, 우로 흔들리면서 앞으로 끌려오다가, 멈추면서 입수를 시작합니다.
만약 님께서 투척하신 찌가 일어서질 않고 끌려오다가
찌 톱만 잠깐 보이다가, 정렬하면 그것은 사선 입수라도 보셔도 무방할듯 합니다.
공부하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