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원줄 길이

낚시를 하다보면 원줄 길이가 길면 자르면 되니까 문제가 없지만 길이가 짧으면 새로 줄을 멜려고 하면 어려울때가 많습니다. 길이가 15센티 20센티 정도 차이가 된다면 고민이 되네요 조사님들 께서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 사용하는 원줄 보다 한단계 굵은 줄을 초릿대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가능할것 같은되 ? 의견 부탁 드립니다.

원줄은 손잡이대 뒷마게기준 스윙낚시 20cm쯤 길게사용을 많이합니다
앞치기는 반대로20cm 정도짧게 사용하는편이니 문제가안됩니다
원줄 이어쓴다는것은 무리가아닌가봅니다
정불편하면 새로 매어씀이 좋을것같네요
예)36대의 원줄길이가 짧아서 불만일때 초릿대쪽 매듭을 잘라서 안꼬이게 말아서 보관했다가 32대에 매어 쓰고
36대는 새로 매어쓰는것이 좋습니다.

한홋수 높은 줄을 이어 사용했을적에 한홋수 높은줄의 매듭강도는 양호하겠지만 본원줄의 전체적 인장력은 매듭이 하나 더 생긴것으로 인해 찝찝할수밖에 없습니다.
귀찮더라도 새로 메어서 씁니다. 출조때마다 원줄 새로 메시는분 봤습니다. 그분 말을 들어보니 출조 횟수가 별로없어서 간만에 큰넘 걸었는데 원줄 터져서 놓칠까봐 늘 새것만 쓰신다네요. ^^ 5호줄인데 말입니다.ㅡㅡ
원줄...
1.원줄 길이는 (낚시대)길이와 똑같이 하십시요.
2.낚시대 4칸 7m 20cm 입니다.
3.(원줄)의 길이도 7m 20cm 입니다.
4.낚시를 하면서 (원줄)의 길이를 줄일때는 10cm 를 줄이십시요.
5.그래도 여의치 않으면 한번 더 10cm 를 줄이십시요.
6.이렇게 (원줄)을 줄일때는 10cm 씩 줄이십시요.
7.그때그때 10cm 씩 줄이면...
8.(원만)한 (원줄)길이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귀찮고 돈이 좀 들더라도 두번째 출조시 원줄을 새로하는 편입니다.

그게 정신적인 안정에 도움이 되더라구여
대단들 하십니다
저는 한번 매어 놓으면 퍼머 현상이 보일때 까지 사용 합니다
목줄과 원줄 공히 퍼머 현상이 보이면 바로 교환해 주면 무리가 없을듯 합니다
원줄이 짧아서 사용하기가 그러면 그보다 낮은 칸수로 옮기고 새줄로 교환 해 주시면 될듯 합니다
원줄과 목줄 아주 아주 중요 합니다 철수시에 줄 감으면서 꼭 확인 해야 합니다
저도 목줄이 터져서 두번 놓친 기억이 납니다 한참 랜딩해서 봉순이 얼굴이 보이는데 팅 그것도 사이즈가 좀 되는데 말이죠
그래서 그 뒤부텀은 잘 챙기는데 큰 봉순이가 안 붙네요 그넘의 강제집행을 한번 해본댓 다가 살살 달랫으면 벌써 사짜를 했을 것 인데
아직도 34.5 가 최대어 입니다
원줄이 짧을 때는 같은 홋수의 원줄을 사용해 전차매듭을 해서 쓰십시오.
원줄이 터질까 염려되신다면 새로 매서 쓰습시오.
그러나 전차매듭을 해서 써도 목줄이 터질지언정 어지간해서는 전차매듭 부분이 터지진 않습니다.
단!!! 매듭완결 시 98%만 당기십시오. 100% 당겨놓았을 때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음 하셔도 전혀 문제 없읍니다

심지어 올래채비 같이 일부러 각기 다른 성질의 줄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구여

저도 아래쪽 pe라인 대신에 각종 여러 종류의 라인으로 이어서 테스트겸 사용

했읍니다만 단 한번도 그 부분이 파손된적은 없읍니다

다만 이음 매듭 방식이 문제 일 겁니다
짱구님의질문은
낚시대보다 매어놓은줄이 짧았을경우 초릿대에서
짧은만큼 연결을해서낚시해도 이상이없는것아니냐라는
질문인듯싶네요
짱구님
낚시대의길이에따라 원줄의길이도 달리해야하는것이 낚시입니다
짧은대의경우에 원줄이너무짧다보면 미끼를교체하는데잇어 많이불편함을
느끼실텐데요
방법은 미끼를교체하실때 바톤대를 뒤로 많이물러앉혀놓고 하시면 미끼교체방법중하나가
아닐까합니다
짱구님
이럴경우 초릿대에서 연장선을만들어 연결을하여 사용한다면 낚시에어떤영향을
미칠까라는생각이신데
제개인적인생각은 바람직하지못한방법이라고생각합니다
물론 부족한만큼 결속을해서 쓰실수는있습니다
다만 물속에는 붕어만있는것이 아니기에 바람직한방법은 아닐듯하네요
원줄로도어있을때와 매듭을지었을때의발휘되는 인장력은 매듭인경우
그인장력이 많이떨어진다고보셔야 됩니다
물속에는 많은종류의 어류들이 있습니다
만약 잉어나 베스아니면 향어같은것들이 입질이들어와 후킹이되었을때
매듭부분이 버텨낼수있느냐가 관건인데....
낚시병장말씀대로 전차매듭을 해서사용하는방법도 있기는하지만 불안한마음가지고
낚시에임하는것보다는
새로매서쓰시는게 정신건강에도 이로울듯하네요
저도 釣窮님 방법처럼 하고 있습니다.

요즘 줄값이 하도 비싸서 몇번 쓰진 않는 줄이
자주 저항을 받는 봉돌 근처에서 스크레치가 생기면
스크레치 부분을 잘라내고 감아두었다가 그보다 짧은 대에 맵니다.

다만 오래 줄은 육안으로는 괜찮아 보이더라도 햇빛 등에 의한 노화현상이 있으므로 과감히 버립니다.
초릿대쪽에 8자 매듭으로 연결해서 쓰고 있습니다.

문제가 전혀 없었습니다.

더 잘 잡히는거 같습니다.

ㅎㅎㅎㅎ
수심깊은 곳이라든지 원줄길이가 더 필요할때는 50센티 든 1미터든 원줄끝 스냅도래 에 연결해서 쓸수 있으나
불편 해진다는 것을 감수 하셔야되고 투척은 손으로 앞던지기나 쏠채로 던져야 할겁니다
낚시병장님 말씁대로 전차매듭으로 초릿대에 연결해서 쓰시면 이상 없어요,,,
전차매듭법입니다.

낚시병장님 말씁대로 전차매듭으로 초릿대에 연결해서 쓰시면 이상 없어요,,,
전차매듭법입니다.
예전에 5봉채비시에는 대부분이 원줄이 길었지요. 그 당시에는 긴대도 많이 생산 안되고 비싸기에 3칸대 전후대에 줄이 길면 더 멀리 나간다는 생각에서 그랬겠지요.
원줄을 이어 사용한다는 것은 생각해 봄직한 경우이나 자칫 매듭의 잘못으로 고기를 걸어서 줄이 풀리거나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원줄은 앞치기를 위해서 본인이 사용하는 낚시대의 특성에 따라서 칸수별로 앞치기가 수월하도록 편히 매는게 좋습니다.
원줄은 적당히 짧을수록 돌려치기나 앞치기시에 다 편리합니다.
저의 경우는 우선 찌를 1가지로 통일 한후에 칸수별로 부력만 2종류로 달리하고 원줄의 길이는 낚시대 대비 10cm정도 짧게 맨 후에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같은호수의 원줄을 전차매듭해서 사용 해 봤고 잉순이들 여러마리 걸어봐도 끊어진적 없습니다..
괜히 마음이 불안해서 원줄을 새로 매는거지 이어서 쓴다고 쉽게 끊어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스위벨 (분할) 형식으로 채비를 변경하시면 15~30cm 정도 늘릴 수 있습니다.
아니면 완충용 고무 오링을 중간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연장된 짧은 원줄의 인장 강도를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단, 오링은 큰 놈 잡으면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예전에 중층할때 잠깐 썼던 "완충"역할 하는 소품도 있습니다. 고무줄 처럼 늘어나는것인데 이름이....
이런 것을 이용하면 초릿실쪽말고 끝쪽에서 연장해서 쓸 수 있습니다.
그정도 길이면 전 목줄 길이 더 주어서
좁살봉돌 물려서 합니다
원줄을 최대한 살려서 끊은다음 연결부위는 원줄 끝부분은 도래를 달아서 마감하고 바늘채비를 달수 있도록 합니다.
예) 줄 순서는 찌고무+도래+찌고무+봉돌+바늘 형식으로 찌고무를 두개 넣어서 깊은수심,낮은수심 다 찌를 세울수 있도록 합니다
도래달아서 20이상이면 터지는일 없읍니다
도래가 조개봉돌역할 한다고 보면 됩니다
원줄 도래 20원줄 봉돌 바늘순 입니다
채비 길이 까지 포함 해서 낚시대 길이 와 똑같이 하여 낚시합니다 너무길면 투척시 불편하고 짧으면 미끼달거나 랜딩 등 불편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