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보고 살치란 고기에 대해 찾아 보니 살치인거 같기도 하고 강준치 같기도 하고....잘 모르겠습니다...
덕분에 공부 하고 갑니다....
강준치는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이 바다에 살고 있는 준치와 그 형태가 비슷하다. 체형은 납작하고 길어 날씬한 편이며 입이 주둥이 끝에 위치하며 위를 향해 있다. 입이 거의 수직으로 위를 향해 있는 것이 이 종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럼 모습도 준치와 유사하다. 체색은 은백색 바탕에 등쪽 주둥이 끝 밑 아래턱은 푸른빛이 섞인 갈색을 띠고 있다. 등지느러미는 누런빛을 띠며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붉은 빛을 띠고 있다. 강준치는 담수 어종으로는 대형급에 속하며 50∼70cm급이 흔하고 1m급도 있다.
살치는 몸 형태가 정어리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크기나 전체적인 생김새로 보아 일반인들은 ‘피래미’로 부를 정도로 피라미와 닮아 있기도 하다. 눈은 큰편이며 머리가 작고 주둥이는 돌출되어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은백색을 띠지만 등쪽은 청록색을 띠고 있다. 배 정중선에는 칼날같은 융기부가 있는데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약간 뒤쪽에서 시작하여 항문 앞까지 이어진다.
치리는 외형상으로 살치와 거의 유사하다. 단지 비늘 크기가 살치보다 조금 작은 편이며 배에 있는 융기부가 가슴지느러미 바로 앞에서 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강준치아과(亞科)에 속하는 이들은 모두 몸매가 날씬하고 은백색으로 반짝이는 비늘을 갖고 있으며 모두 배 정중선에 칼날같이 날카로운 융기부를 갖고 있는 점이 공통된 특징이다. 이들 중에서는 강준치가 1m(낚시춘추사 집계 최대어 86cm)까지 자라는 초대형 종이며 백조어·살치·치리는 30cm급 이하로 소형 그룹이다.
찌 올림이 좀 빠르지요.
사람 급하게 하는 놈 들 입니다.
댓글 보고 살치란 고기에 대해 찾아 보니 살치인거 같기도 하고 강준치 같기도 하고....잘 모르겠습니다...
덕분에 공부 하고 갑니다....
강준치는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이 바다에 살고 있는 준치와 그 형태가 비슷하다. 체형은 납작하고 길어 날씬한 편이며 입이 주둥이 끝에 위치하며 위를 향해 있다. 입이 거의 수직으로 위를 향해 있는 것이 이 종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럼 모습도 준치와 유사하다. 체색은 은백색 바탕에 등쪽 주둥이 끝 밑 아래턱은 푸른빛이 섞인 갈색을 띠고 있다. 등지느러미는 누런빛을 띠며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붉은 빛을 띠고 있다. 강준치는 담수 어종으로는 대형급에 속하며 50∼70cm급이 흔하고 1m급도 있다.
살치는 몸 형태가 정어리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크기나 전체적인 생김새로 보아 일반인들은 ‘피래미’로 부를 정도로 피라미와 닮아 있기도 하다. 눈은 큰편이며 머리가 작고 주둥이는 돌출되어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은백색을 띠지만 등쪽은 청록색을 띠고 있다. 배 정중선에는 칼날같은 융기부가 있는데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약간 뒤쪽에서 시작하여 항문 앞까지 이어진다.
치리는 외형상으로 살치와 거의 유사하다. 단지 비늘 크기가 살치보다 조금 작은 편이며 배에 있는 융기부가 가슴지느러미 바로 앞에서 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강준치아과(亞科)에 속하는 이들은 모두 몸매가 날씬하고 은백색으로 반짝이는 비늘을 갖고 있으며 모두 배 정중선에 칼날같이 날카로운 융기부를 갖고 있는 점이 공통된 특징이다. 이들 중에서는 강준치가 1m(낚시춘추사 집계 최대어 86cm)까지 자라는 초대형 종이며 백조어·살치·치리는 30cm급 이하로 소형 그룹이다.
[출처] 강준치 낚시법|작성자 도솔천아
아마도 살치쪽에 가까운것 같습니다 ^^
고로~ 살치에 100만표!!ㅎㅎ
강준치는,, 절대 아니고요~~~!!
무수하게 낚아봤는데 전혀 다르고요
살치가 맞는거 같슴다.. 이놈있는데서 낚시하면 무지하게 피곤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강준치랑 살치랑은 전혀 다르지요...
항상 안출하십시요.
치리와 살치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물고기입니다.
맑은 물의 강과 저수지 (계곡과 댐)
낚시 엘보의 주범으로 악명높은 살치.
이늠이 주력이면
무조건 쉬어야 합니다.
개체수가 별로 없는건지 미끼가 살치 눈엔 맛이없어 보엿던건지 그렇게 성화를 부리진 않더라고요 ~
암튼 ㅋ시원한찌올림에 이거다 싶었는데 이놈이 나오니 그저 웃지요~~ㅋㅋ
위에 물고기는 제가 생각하기로는 치리 인것 같습니다
비늘 모양은 살치와 치리를 닮았고 꼬리지느러미는 강준치와 치리를 닮았내여
비늘,꼬리지느러미 모두 치리를 닮아서 치리에 한표 추가합니다
사람들은 거의 습관적으로 살치라고 하는군요.
치리로 판단하신 wkddusrms님 현명하십니다.^^
부산 회동수원지에 바글바글 합니다.
주로 30cm급으로~~~!!!
집에서 가까운 수로에 때로 있습니다.
떡밥 던지면 바로 입질 멋지게합니다..
힘도 아주조금쓰던데..
어종공부좀 해야겠습니다......좋은정보감사드립니다....
이넘도 찌올림이 꼭 붕어 찌올림과 흡사합니다.
안출하세요...
저거이 고북지에서 진짜 함지박에 찰 정도루 잡아 봤습니다.
찌 잘 올리더군요..올라 오는찌 않챌수도 없고..욕보셨네요..
진짜 고등어 만한 놈이 있습니다.
눈크기와 몸의 형태 그리고 전체적인 채색이 치리는 아는듯 합니다만...(야간 사진이라 명확하지는 않네요;;)
환장하는 줄 알았습니다.
힘줘 챔질했는데.. 날치 처럼 비상 하더군요.. ㅋㅋ
어분을 많이 쓰시나봅니다? 메기, 잉어, 살치.. 다 어분이면 OK 쪽인데..
잘못하면 살치한대 한대 맞습니다..ㅋㅋ
이제 배웠으니 살치와 준치를구분 지어야 겠습니다.
요즘은 살이 통통하게 올라서~ 전갱이 수준이죠 ㅋ ^^
엔터님 감사합니다
결론은 살치와, 치리는 같은 학명을 쓴다는건데....살치를 검색해도, 치리를 검색해도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러면 살치=치리가 되는건지....
모양새도 똑같네요...어류도감이 없어서 다른 종류인지 아니면 단순 호칭의 차이인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