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배조사님들^^
다름이 아니오라..제가 주말에 잉어/향어 양어장에 갔는데..제 채비에 의심이 가는
현상이 보여서..질문 올립니다..
일단 채비는 향어대2.8칸 /카본3호줄/ 4호봉돌 60cm다루마형 찌/ 잉어바늘12호 입니다. 일반이봉채비구요..
찌마춤은 수조찌마춤으로 바늘 안달고 캐미2/3 노출로 마추고 (낚시할땐 한목 내놓습니다) 양어장으로 갔습니다.
문제는 떡밥달고 풀스윙후 (사선입수 방지위해 찌가 반정도 내려갈때까지 손잡이대 45도 세워줍니다)
찌가 내려가면서 캐미가 수면가 일치할정도로 내려갔다 바로 한목정도 올라 옵니다.
보통은 찌가 내려가면..바닦에 닿는 느낌..(살짱.. 쿵) 요런 느낌이 나야하는게 정상 아닌가요??
조사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이런 현상이 사선입수 인가요?
-
- Hit : 727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저도 가끔 양어장을 다니는데요. 찌가 서서히 내려가면서 바로 한목이 올라오는 현상은 찌멈춤고무 사이 차이가 많이 날수록 그런 현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얕은수심에 채비를 아무리 예민하게 맞춰도 바닥에 닿는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약 2m이상이되면 무겁든 가볍든 바닥에 쿵 닿는듯한 느낌은 받기가 힘듭니다. 또 너무 풀스윙을 하신다면 대끝을 들어줘도 사선이 안 질수가 없습니다. 너무 풀스윙 하지마시고 어느정도 여유줄을 남기고 스윙을 하셔야 사선이 안생겨 정확한 입질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안출하십시요.
낚시대를 약 1미터가량 물쪽이 아닌 내쪽으로 당겨서 내려 놓는 방법도 있습니다.
떡밥이 무거워 빨리 물속으로 내려가서 봉돌과 찌 사이의 줄이 사선(대각선)으로 있다가
떡밥이 풀리면서 떡밥무게가 잡고있던 봉돌이 찌쪽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찌 올름 현상이 사선입수인데
이렇게 줄을 댕겨 놓으면 줄의 공차가 있기때문에 찌가 올라 오지 않게 됩니다.
떡밥낚시는 슬로우로 내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찌올림 역시 이쁘지요.
사선의 문제는 평상시 낚시 습관에 있습니다.
잉어 향어낚시기에 카본줄을 쓰시는가요?
스윙후 찌가 반정도로 잠길때까지 45도로 들어주신다고 하셨는데
거기에 함정이 있습니다
손잡이를 내몸쪽으로 당겨서 45도로 기울렸다가 찌가 자리를 잡고
가라 안으면 손잡이를 정상적인 위치로 밀어주시면
오차를 최대한 줄일수 있습니다..
이조사탄생님!
저또한 사선입수때문에 혼자서 고군분투 한적이 어렴풋이 기억이 납니다.
그림이나 제가 컴퓨터로 그래픽을 잘다룬다면 눈으로 보고 쉽게 이해하실수 있게 설명 드릴수가 있는데 그러하지못한것이
많이 아쉽습니다.
양어장 바닦이 완만하게 평평하다 가정을 한다면 사선입수를 줄일수 있는것은 찌길이에 해답이 거의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풀스윙 투척후에 대를 새우고 뒤로 낚시대를 빼고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들 하시지만 감히 말씀 드리면
어느정도 사선입수를 해결하신다고 하시나 그러하지못한것이 대부분 입니다.
여기서 찌길이를 말씀드린것은 봉돌이 바닦에 안착후에 찌에서 부터 봉돌까지 원줄과 초릿대에서 부터 찌고무까지 원줄 두가지로
나눈다고 가정하고 풀스윙 후에 그냥 받침대에 낚시대를 놓으시면 < 바닦이 완만한 판판한 상태를 가정한 경우 >
더이상 부상하지 못하는 것이 사선이 되어 지는것을 저도 사실 그래도 수영장 에서 수경을 쓰고 들어가 확인 해보았습니다.
헌데 사선이 되는 양쪽 줄의 길이가 거의 찌길이만큼 이란것을 확인 할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럼 자연지에서는 바닦을 어떻게 알수 있냐? 하시겟지요?
그것또한 일반 바닦채비이시면 바늘을 재거하신후에 풀스윙 후에 낚시대를 앞쪽으로 당기시면서 찌톰이 상승되는 크기나 높이를
어느정도 기억하신후에 풀스윙 후에 찌길이 + 노출되는 찌톱의 길이만큼 뒷꽃이를 기준삼아 낚시대를 뒤로 당기셨다가
찌가 완전히 자립하여 입수하는 시점에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 주셔야만 사선입수를 잡을?<줄일수가> 있습니다.
글재주가 없어 잘설명 못한것이 못내 아쉽고 죄송 합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낮시간에 전화하번 주시면 답해드리고 싶습니다. 안출 하시고 건강하세요
일반적으로 점투척이라고 하죠 고수들이야 간단할지 몰라도 환경(바람등등)조건에 의해 또는 미숙한 낚시실력등으로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저또한 실력이 안되는지라 전 이렇게 합니다.. 단 유동채비 조건 입니다.
일단 풀스윙으로 투척을 하시고 바톤대(손잡이대)마개가 뒷꽂이 기준 약 20cm 뒤에 위치하도록 놓아두시고
이때 찌가 앞으로 당겨져 오겠죠 그리고 찌가 딱 멈추고 입수를 시작합니다.
이럴때 바톤대(손잡이대)를 다시 앞으로 밀어주시면 사선입수가 예방 됩니다.
더러 바닥지형에 의해 안될수 있으니 먼저 이리저리 바닥을 찍어보시고 포인트를 정하시는것이 도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