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봉돌 채비로 하우스에서 손맛보시려면 일단 찌선택부터 잘하셔야합니다....가능한 저푼에 찌톱이 가늘고 순부력이 좋은찌......
그리고 하우스 고기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좋은 찌올림을 주진 않습니다....가벼운 채비로 예민하게 깎아서 해보시면 그래도 좀 낫지 않을까요?
한마디 나오게 찌맞춤하고 두마디 내놓고 낚시하는거요. 빠는 입질이 많이 나올까요? 라고 질문을 주셨는데요.
요즘 찌맞춤의 대세가 한 마디에 맞추고 두 마디 내놓는 정밀찌맞춤입니다.
많은 분들이 그와 같은 정밀찌맞춤을 하고 곧바로 낚시를 하는데...
이 부분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중요한 과정이 하나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수심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입니다.!!!
두 마디를 내놓고 보조봉돌(스위벨, 편대 등)에 아주 가벼운 핀클립(12호 정도)을 끼우거나,
혹은 원줄의 핀클립에 소자나 중자 쇠오링 하나를 달아
다시 투척하여 반드시 두 마디가 나오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두 마디가 나오지 않고 한 마디만 나온다면
이것은 꾼의 잘못된 찌맞춤의 결과이거나 또는
물속의 알 수 없는 여러 원인에 의해 한 마디 정도 가볍게 맞추어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때는 찌를 한 마디 더 올려서 두 마디가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야 보조봉돌이 바닦을 찍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뒤 핀클립이나 쇠오링을 제거하여 다시 투척하면 정확히 두 마디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과정을 생략하면 빨리는 입질이 자주 나오게 됩니다.
이상은 찌맞춤을 통한 빨리는 입질을 예방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그 외에도 빨리는 입질은 그 날의 물 속의 여건에 따른 붕어의 입질형태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이 때에는 미끼나 집어제의 변화를 통해, 또는
잦은 집어를 통해 붕어로 하여금 먹이 경쟁을 시키면 올림 입질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봉돌의 바닥안착이 더 안정적입니다.
빠는입질은 봉돌을 뛰우는 상태에서 많이 일어나는데
님은 한목맞춤에 두목을 내놓았으니 더무겁게 되었겠네요
반대로 두목 맞춤에 한목을 내놓고 낚시하면
봉돌의 바닥안착이 약간은 불안정하여 빠는 입질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네요
그리고 하우스 고기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좋은 찌올림을 주진 않습니다....가벼운 채비로 예민하게 깎아서 해보시면 그래도 좀 낫지 않을까요?
(물론,바늘은 제외한 찌맞춤이죠?)
근데, 지금 시기의 하우스붕어들은
장난 아니게 빠꼼이라서..
원봉돌로 정확한 입질을 보기는
쉽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보통 하우스 붕어들 입질이 워낙 예민해서
저라면 더 가볍게 맞출것 같습니다.
가벼운 내림찌도 입질표현이 미약하여 봉돌없는 초저부력 채비하는 사람들도 꽤나 보일 정도니 참고하셔서 채비하셔요^^
봉돌총 무게 1그람 편대 제일작은거 대박낚시에서 파라요 0.2 그람 으로 찌한목따구 2목내놓고하다가 자꾸 빨리면 조금씩 올려가며 찾아요 어짜피 찌올림기대안하구 편대는 1목에서 2목보는거니까요 하우스에서 올림을꼭 하고싶다면 그나마 편대가 답일듯 하네요
저부력 채비로 바늘까지 달고 3~5마디 나오게 찌맞춤하신 다음에, 케미나 케미고무만 나오게 수심을 맞추신 다음에 낚시를 하시면 그나마 올리는 입질이나 내려먹는 입질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신, 채비와 수심에 맞게 3마디를 나오게 깎느냐 4마디, 4마디 반, 5마디를 깎느냐를 잘 잡으셔야 하는데,
어떨 땐 이 채비를 하는데도 3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찌가 내려가는과정을 판단하구요
저같은경우 하우스에서 한다면 두목따 오링 추가하여한목5~7초빨꾹 시켜3목낚시할꺼구요 입질패턴확인하면서 반목식 올리거나 내리거나하여 입질유도할껏같습니다
요즘 찌맞춤의 대세가 한 마디에 맞추고 두 마디 내놓는 정밀찌맞춤입니다.
많은 분들이 그와 같은 정밀찌맞춤을 하고 곧바로 낚시를 하는데...
이 부분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중요한 과정이 하나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수심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입니다.!!!
두 마디를 내놓고 보조봉돌(스위벨, 편대 등)에 아주 가벼운 핀클립(12호 정도)을 끼우거나,
혹은 원줄의 핀클립에 소자나 중자 쇠오링 하나를 달아
다시 투척하여 반드시 두 마디가 나오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두 마디가 나오지 않고 한 마디만 나온다면
이것은 꾼의 잘못된 찌맞춤의 결과이거나 또는
물속의 알 수 없는 여러 원인에 의해 한 마디 정도 가볍게 맞추어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때는 찌를 한 마디 더 올려서 두 마디가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야 보조봉돌이 바닦을 찍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뒤 핀클립이나 쇠오링을 제거하여 다시 투척하면 정확히 두 마디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과정을 생략하면 빨리는 입질이 자주 나오게 됩니다.
이상은 찌맞춤을 통한 빨리는 입질을 예방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그 외에도 빨리는 입질은 그 날의 물 속의 여건에 따른 붕어의 입질형태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이 때에는 미끼나 집어제의 변화를 통해, 또는
잦은 집어를 통해 붕어로 하여금 먹이 경쟁을 시키면 올림 입질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즐거운 성탄절 되세요
하시면 바늘이 바닥에 안착되고..입질시 찌도 올라옵니다
이종에 옥올림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