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입질 파악이 어려운 미끼는?

옆에 자리한 꾼과 대화하던중 입질 파악이 가장 어려운 미끼는 지렁이라고하니 옆 조사는 지렁이는 쉽고 떡밥이 어렵다고하여 잠시 옥신간식했는데 지렁이 입질이 더럽지않나요? 떡밥,글루텐이야 정흡이고 지렁이 잘라먹고 물고 늘어지고

요즘은 구르텐이 나와 입질파악이 쉽지만 가장어려운것이 떡밥낚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떡밥은 낚시인의 손가락의 기술에따라 점성정도, 물성정도를 조절하는기술에따라 조과가 천차만별 차이가 납니다.
떡밥낚시하는 저로서는 지렁이 미끼 입질이 가장 까다롭다 생각됩니다.....
붕어가 준척급 이상이면 지렁이 미끼도 찌올림이 아주 근사합니다!
아주 깔끔하게 서서히 올려 줍니다.
저도 지렁이 라고 생각 되네요..아주 피곤해요;;;
날씨가 추워지면 지렁이 한통씩 사가는데 아직까지 지렁이로 붕어잡아 본적이 없습니다.
이제는 안삽니다. 안가지고 다닙니다.
지렁이를 미끼로해서 헛챔질없이 잘 잡아내는 분~~~~

스킬면에서는 그런분이 최고수라 생각이 드네요~~ ㅎㅎ
짜증날 만큼 찌놀림이 더러운(?) 건 뭐니뭐니해도 지렁이가 아닐런지?
어렵게 생각하면 둘 다 어려울 수 있지만 입질이 더러운 건 지렁이에 한표 던집니다.
지렁이에 한표 던집니다. 떡밥은 종류와 물성에 따른 조과 차이는 있을 지언정 최소한 그날 그밤의 입질패턴은 감 잡을 수 있습니다. 근데, 항상 느끼는 거지만, 이놈의 지렁이는 예신 패턴도 다양할 뿐만아니라, 챔질 타이밍도 당췌 종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더군요.. 얼마전 관리터 지렁이 짝밥으로.. 2마디 올린 9치와 준수한 찌올림의 붕애, 아주 중후한 찌올림의 메기가 하룻밤에 올라오더만요.. 지렁이 낚시의 달인이야 말로 진정한 꾼..이 아닐까..생각해봅니다.
역시 저렁이죠.떡밥은 입질 표현이 명확합니다.수온에 따라 예민도가 달라질뿐......
지렁이가 어렵죠. 붕애들이 지렁이 끝 물고 늘어지면 정말 피곤합니다. 가장깔끔한건 옥수수 인듯 하구요
잔챙이많은 터가 제일어럽죠 뭘넣어도 어려운

특히 살치밭
지렁이입질지저분하면놔두고그중중후하거나 느낌이옵니다큰놈들은 그러한경우아님놔둡니다 바늘빼기구찮아서ㅎㅎ
찌롱이도골프공크기과장좀해서ㅎㅎ 그리크게하면
잔챙이도좀피하고깔끔한입질올라옵니다
지롱이한통 낚시2번던지믄없네요ㅎㅎ
16대평균깔다보니요
찌를 가만보고 있으면
톡톡 끈어먹는게 보이죠...의자에 편안히 궁디를
붙이기엔 참 거시기한 미끼입니다.
지렁이에 입질 없는 날이면 미끼로 무얼 달아도 소용 없습니다

그래서 낚시 시작하면 일단은 지렁이 달아주고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나 다른 미끼 생각합니다

지렁이에 입질이 까다롭다고 느끼는 분들은

지렁이를 누벼꿰시면 입질을 분간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지렁이 입질 어찌하더라도 지저분하죠 ^^
젤 어려운건 빈바늘이죠.. 다 따먹히고 남은 빈바늘.. 언제 올라올지.. 기다리는 내 심정..
제 경우 1~5월 말까지 지렁이,6월 초~11월 중,말에는 글루텐(외바늘에 딸기글루텐만 고집),11월 중,말~12월 말 지렁이를 주로 사용하는데,봄 산란기를 맞아 연안으로 붙는 시기에는 지렁이 미끼에도 까불지 않고 중후한 찌 올림이 많은 것 같고,이후 산란 후 연안에서 대물들이 빠지기 시작하면 잔챙이급이 붙기 시작하는데 이때 지렁이를 사용하면 피곤한 낚시가 되더군요 그래서 이 시기부터는 글루텐으로 전환해서 사용합니다
깔끔한 입질을 보실려면 지렁이를 둘둘말아서 끼듯이하다 마지막 마무리는
지렁이를 길게하지않고 바늘끝과 지렁이 끝을 비슷하게 끼우시면
깔끔하게 자알 올라옴니다.
지렁이 집어는 지렁이 가운데를 관통해서 여러마리끼우시면 집어에 도움됩니다.
지렁이 입질은 잔씨알붕어가 많을 때는 힘드나 . 대물 입질은 확실합니다. 예신후 두마디 그리고 끌고가거나 쭈욱올라오다 멈출라고할때 챔질 하면 거이 후킹이됨니다. 떡밥낚시가 저는 더힘들어요 . 참고로 저는 떡밥낚시만 하는데도 지렁이하면 잔입질은 걍 줄만 안감으면 걍 나둠니다.
당근 지렁이지요. 꿰기도 어럽고, 입질도 더럽고, 근데 항상 노지갈때는 1통은 사가지고 다닙니다.
만약을 위해^^
잔입질이 심할땐 여러마리끼우면 괜찮고요!
떡밥도 종류에 따라서 입질 패턴이 다양하니
개인의 취향과 방법에 따라서 쉬운낚시가되기도 하고 어려운 낚시가 되기도 한다고 보이네요!
암튼 가을 대물은 보고 한해를 마감하고싶다!
지렁이 아닐까요.
특히 가볍고 예민한채비에 지렁이는 상당히 피곤한 입질이 들어오지요.
가끔 지렁이쓸경우는 조금 무겁게 사용합니다.
저도 지롱이 한표입니다.기본적으로도 어려운대요 빠가 베스 메기 블루길친구들도 불러올때 있자나요
지렁이로입질이 드렵다할땐 한마리로 여러번전낌니당 전 거희 지렁이 글루사용하는데 못잡음 내고기아니라생각하고 이건입질이다함 챔니다
낚싯꾼이 지롱이를 냄새 때문에 안쓴다고 하면 진정 꾼이 아니겠죠?
예! 본인은 그래서 지롱이를 미끼로 절대 쓰지 않는답니다.
오로지 떡밥낚시 만 고집합니다.
풍덩채비는 지렁이가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질겁니다 상대적으로 떡밥이 어려워질수도 있습니다
저수지에특징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듭니다^^
전 지렁이 새우옥수수낚시만 해봐서 지렁이 낚시는 쉽더라구요
떡밥은 찌올림이 깨끗하지만 기온변화나 수위변동 등에 따라 찌올림 폭이 적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지렁이는 떡밥보다 찌올림 폭이 크지만 잔챙이나 잡어 등이 있는 자연지에서는
지저분한 입질로 헛챔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잔챙이가 없는 양어장 같은 곳에선 떡밥보다 지렁이 입질이 찌올림 폭이 더 크니까 옆자리 낚시인이 그렇게 말한 듯합니다.
지렁이로도 더러는 붕어를 상면한 적은 있지만,

역시 입질자체에는 지져분한 성향이 많아서 배재 하고 있습니다.

저수온기에는 한통씩 사가지고 갑니다. 바닥체크용으로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