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릴낚시꾼이 많이 사용하는 재료는
황옥(옥수수), 깻묵, 겉보리, 콩가루, 뻔데기가루, 감자, 고구마 각종 사료(닭,오리,장어,개) 등이고
잘 안 뭉쳐질 때는 잘 뭉쳐지게 밀가루를 넣습니다.
그리고 주로 유속이 없는 저수지같은 곳의 감탕지역이나 뻘지역에서는 먹이 취이 활동을 잘하지 않는데
이럴 때 불안(?)감이나 장박에서의 정화(?) 기타 다른 목적으로 황토를 쓰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잉어 안 다니는 곳에 백날 밑밥넣어도 소용없다할 수 있고
잉어는 많이 다니는데 떡밥이 나빠서 안먹으면 소용없다 할 수도 있는데
제 경험으로는 떡밥에 너무 집착하시지 않으셨으면하고
그 것보다 물 빠졌을 때 바닦 보아 두시던가하고
처음 가는 곳이라면 지형과의 관계를 먼저 생각해 보신 후 봉돌만을 달고 투척하여 바닦을 읽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잉어나라" 떡밥은 릴원투용 떡밥이고 효과가 좋다는 말이 있는데
혹여 좋을 지는 몰라도....장사 속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었으면 합니다.
그거 아주좋아요..
보통 릴낚시꾼이 많이 사용하는 재료는
황옥(옥수수), 깻묵, 겉보리, 콩가루, 뻔데기가루, 감자, 고구마 각종 사료(닭,오리,장어,개) 등이고
잘 안 뭉쳐질 때는 잘 뭉쳐지게 밀가루를 넣습니다.
그리고 주로 유속이 없는 저수지같은 곳의 감탕지역이나 뻘지역에서는 먹이 취이 활동을 잘하지 않는데
이럴 때 불안(?)감이나 장박에서의 정화(?) 기타 다른 목적으로 황토를 쓰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잉어 안 다니는 곳에 백날 밑밥넣어도 소용없다할 수 있고
잉어는 많이 다니는데 떡밥이 나빠서 안먹으면 소용없다 할 수도 있는데
제 경험으로는 떡밥에 너무 집착하시지 않으셨으면하고
그 것보다 물 빠졌을 때 바닦 보아 두시던가하고
처음 가는 곳이라면 지형과의 관계를 먼저 생각해 보신 후 봉돌만을 달고 투척하여 바닦을 읽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잉어나라" 떡밥은 릴원투용 떡밥이고 효과가 좋다는 말이 있는데
혹여 좋을 지는 몰라도....장사 속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