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칸대 초반만쓰다가
봄초에 새로운 도전으로 36,38대를 쓰려고합니다.
최대한 찌올림을 보려고합니다.
아예 가져가는 입질말고는 빨리는 입질은 챔질을 안하려고합니다.
잉,향어 찌맞춤은 현장에서 어떤 찌맞춤을 해야 최대한 올림입질을 볼수있을까요?
잉,향어 목줄길이는 몇cm가 좋을까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향어는 목줄길이 7센지
잉어는 10~20센지 정도 쓰구요
찌를 올릴 수도 있구요
늦으면 끌고 가는 입질도 있어요
끌고 가는 대형잉어는 잡기가 어렵습니다
대가 잉어와 일직선이 되기 때문에 낚시대의 탄력을 이용할 수 없어 바늘이 뻗거나 줄이 끊어지거나 대가 부러지거는등의 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이지요
잉어 입장에서 볼때, 깊고 주위에 수초등 장애물이 없을 때는 잉어가 화살처럼 빠르게 차고 나갑니다
챔질시 강하게 챔질해서 양손에 받쳐들고 대를 높이 세워야 넔이 빠져 어쩔 줄 모르는 잉어를 표층 가까이 끌어 올릴 수 있고 그래야 대물잉어를 낚을 수 있습니다
잉어낚시에서 중요한 것은 찌올림이 아니라 초반 제압을 잘해서 낚아내는 것이 최고의 묘미이고 잉어낚시의 재미입니다
제 경우엔 이리저리 채비를 해봤는데 원봉돌에 외바늘 만큼 찌올림폭이 가장 좋았습니다......목줄은 대략 7센티 정도 이구요.
근데 중요한건 기온, 기압, 바람, 대류, 강수유무 등이 소위 활성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비 방법이나 목줄 길이는 수시로 변동될 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그날 상황에 따라 짜맞춤이나 채비가 많이 틀려지는 편입니다.
그리고 빨리는 입질에는 챔질을 안하신다고 하는데 그게 예신일수도 잉어입질일 수도 있습니다.
그냥,
제 경우.....활성도가 좋고 물대류가 적고 수심이 2.5미터 기준으로 찌는 1.5그람정도 원줄은 1호 목줄PE0.6호, 바늘은 평균 6호
찌맞춤은 일단 케미 끝이 수면에 일치할 때 까지 맞추고 그 다음 수심측정을 합니다.
그 뒤에 다시 소위 케미꽂이 딸깍맞춤이란걸 한 뒤에 한목이 아닌 반목 정도나 3/1목을 더 내놓습니다.
그리고 초반 어분과 집어제를 300cc정도 해서 초기 집어를 하고 그 다음 어분당고로 외바늘 낚시를 합니다.
모...대충...이런데.....ㅠㅠ
도움을 제대로 못드려 죄송합니다.
붕어와 달리 몸이 수평상태에서도 바닥의 먹이를 훑어 먹을수 있는 잉어 주둥이의 구조로 인해 그런것 같습니다.
향어는 더하고
장대에장찌치시는분들그나마 찌올림 좋습니다
터마다틀리니 그분들께 내공전수받는게 좋을듯 싶네요
1.5m 장찌도 찌부랄까지 쭉쭉 잘올립니다
https://youtu.be/gpRU0en0YYE
참고영상입니다 향어가 찌를 환상적으로 올립니다
목줄은 대게 짧게 합니다
5~7cm 정도요...
찌맞춤은 그냥 바늘안달고 수평찌맞춤 하구요
채비를 아주 헤비하게(원줄 카본7호, 케브라 합사15호, 돌돔15호바늘) 해도 찌 잘올립니다
핵심은 "깊은수심" 에서 잘올립니다
잉어는 10~20센지 정도 쓰구요
찌를 올릴 수도 있구요
늦으면 끌고 가는 입질도 있어요
끌고 가는 대형잉어는 잡기가 어렵습니다
대가 잉어와 일직선이 되기 때문에 낚시대의 탄력을 이용할 수 없어 바늘이 뻗거나 줄이 끊어지거나 대가 부러지거는등의 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이지요
잉어 입장에서 볼때, 깊고 주위에 수초등 장애물이 없을 때는 잉어가 화살처럼 빠르게 차고 나갑니다
챔질시 강하게 챔질해서 양손에 받쳐들고 대를 높이 세워야 넔이 빠져 어쩔 줄 모르는 잉어를 표층 가까이 끌어 올릴 수 있고 그래야 대물잉어를 낚을 수 있습니다
잉어낚시에서 중요한 것은 찌올림이 아니라 초반 제압을 잘해서 낚아내는 것이 최고의 묘미이고 잉어낚시의 재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