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봉돌,다분할(스웨벨.3중분할.2중분할.방랑자.사슬...)구조가
과연 몇가지가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분할구조는 원줄과 원줄에 분납한것과 1차목줄에의한 수직적 구조인데
꼭 수직적 구조가 최상의 분할 시스템인지 궁금합니다..
수평적 분할구조는 안되는것인지요...
그일례로 유일하게 수평적 구조라면 편대가 있겠지요(완전한것은 아니겠지만..)
같은 10호봉돌을 수평으로 5호씩 수평으로 분할하면
여타의 수직적 구조로 분할하는것보다 못하는지요???
고수님들의 고견을 기다립니다...
전통올림낚시의 분할구조 종류??
-
- Hit : 497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5
수평으로 받는것과 님께서는
어떤것이 저항을 들받을까요?
양어장 낚시가 이루어 지기 전에는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예민한 채비가 불필요 하다는 것이 보편적이었습니다.
자연 노지에서의 붕어의 찌올림이라는게 그런 예민한 채비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좋았으니까요...
처음 분할 봉돌이 사용된 목적은 예민함이 아니었습니다.
찌올림의 폭을 크게 가져가기 위한 (붕어가 상당히 들어올리기까지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해서 많이 올라오게 하는) 목적이었던 것으로 압니다. 사실 자연지의 좋은 입질을 보이는 상황에서의 예민한 채비란 득보다 실 (헛챔질 증가, 까부는 입질로 피곤함 등)이 많다고 하기도 합니다. 보통 분할봉돌 쓰실때 원봉돌로 찌몸통을 찍도록 한다는 말은 곧 몸통까지 올려서 동동거릴때 까지 이물감을 적게 한다는 뜻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그 이전에 챔질 하는 경우가 많기에 사실 이 이론은 꼭 맞는건 아니라고 할 수 도 있죠)
사실 예민하면서도 중후하고 묵직한 찌올림을 보이는 채비가 최상일런지는 모르지만 그런 채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수 있습니다.
붕어의 입질이 그때그때 다르고 수심, 물속지형등이 다 다르기에 찌올림의 양상이 다양한데, 어떤채비 하나가 어느순간 멋진 찌올림을 보이면 마치 그게 언제나 그런 채비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분할 봉돌 채비는 이론을 통해 최선의 채비를 결정하는 게 쉽지 않아 보입니다. 여러가지의 변형 채비를 직접 사용해 보고 특성을 파악해서, 입질 상황에 따라 바꿔가며 적응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주변의 분할봉돌 고수들은 대부분 분할채비 기법을 섭렵한 후에는 단순 채비로 돌아오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물론 초봄 물낚시나 이상기후등 예외적인 환경에서는 선택적으로 쓰기는 하지만요...
양어장이나 하우스의 예민한 입질에는 좀 다른 얘깁니다. 분할봉돌 쓰지 않으면 고기잡기 힘든곳이 많으니까요...
입질을 자주 받기위해서 분할을 하기도 하지요..
요즘 보편화된 스위벨 채비가 그 한예가 되겠네요.
일년에 몇번이나 붕어의 활성도가 좋아서 찌를 쭉쭉 몸통까지 올릴 경우를 볼 수가 있던가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특히 떡밥낚시의 특성상 자주 입질을 받고 까칠해진 붕어를 낚기위해서
여러채비를 연구하고 사용하지요..
뭐 대물낚시에서는 하루에 한두번 큰놈 한방을 노리고 십수대의 전을 펴는 경우는
예민함이 필요치 않겠지요.
하지만 일주일 또는이주일에 한번 정도 출조해서 마리수 낚시를 구사하는분들은 입질이 없으면
잠자다 오기가 일쑤지요...어떤분은 연실 입질을 받아 잘잡아 내는데 말이죠 ...
실헝을 해보시요...
저도 이채비 저채비 섭렵하다 본봉돌로 돌아왔습니다.
사슬채비 궁금하긴 한데 한두번은 써볼 생각임니다만
보통의 경우 채비의 차이보다 물속지형과 각각 붕어들의 찌올림 차이가 더 크다 느끼구요
단, 저수온기나 활성도가 유달리 떨어지는 날은 분할채비 또는 저부력찌 사용이 당연히 유리하니 채비의 변화를 주는게 좋겠죠.
모든게 다 붕어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