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살봉돌채비는 그야말로 영점채비에다 좁살봉돌만큼의 무게로 찌올림을 알수 있게 맞춘것인데 참붕어를 쓰면 찌가 가만있질 않겠지요. ㅎㅎㅎ 참붕어 등꿰기해서 던지면 곧바로 찌를갖고 요동을 칠겁니다. 참붕어낙시는 불가능할듯 합니다. 그리고 새우 배꿰기해서 움질일수 없도록 만들면 몰라도 꼬리꿰기나 등꿰기 해도 찌가 움질일듯 합니다. 새우는 모르겠는데 추울때 참붕어 채집이 되어서 떡밥찌에다 한번 달아놯다가 감당이 안되서 대물찌에 다시 달아 미끼를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저의 생각으로는 가능 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아직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은...
좁쌀봉돌 채비의 특징은 바닥에 있는 좁쌀봉돌이 올려지면 찌는 상승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미끼를 사용하실때에는 좁쌀봉돌을 때어내고, B나 2B정도의 봉돌을 사용하시면 될듯 합니다.
군계일학에서도 G2 좁쌀을 표준으로 사용하라고 하는 이유인듯 합니다.
G2로 찌 맞춤을 한뒤에 B봉돌을 물려도 주 봉돌은 물속에 떠 있습니다.
다만 생미끼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봉돌을 달면 될듯 합니다.
고리추를 올리는것 보다는 작은 봉돌을 올리는 것이 고기도 이물감이 적지 않겠습니까?
전 겨울철에 하우스 다닙니다..하우스 채비 따라..노지 대물채비 따라 요렇게 사용합니다..
물론 낚수대는 많아야 되겠지요? 하우스에는 하우스 기법이있고요?
노지는 걍 대충 하빈다.........
반쯤 죽이거나 죽은걸 사용하면모를까
예신확인이 힘들꺼 같습니다
볼때가 있습니다...
통 새우나 참붕어는 좁쌀채비로 중후한 찌올림 구경하기 힘듭니다..
아무래도 새우나참붕어는 아니라고봅니다
깐새우살은 그런대로 괜찬을것같네요
아직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은...
좁쌀봉돌 채비의 특징은 바닥에 있는 좁쌀봉돌이 올려지면 찌는 상승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미끼를 사용하실때에는 좁쌀봉돌을 때어내고, B나 2B정도의 봉돌을 사용하시면 될듯 합니다.
군계일학에서도 G2 좁쌀을 표준으로 사용하라고 하는 이유인듯 합니다.
G2로 찌 맞춤을 한뒤에 B봉돌을 물려도 주 봉돌은 물속에 떠 있습니다.
다만 생미끼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봉돌을 달면 될듯 합니다.
고리추를 올리는것 보다는 작은 봉돌을 올리는 것이 고기도 이물감이 적지 않겠습니까?
2B 로 물려 참붕어 새우 큰넘으로 낚시 시도 했습니다...
결과는 눈.몸 너무 피곤 합니다...
참붕어=== 미끼 자체만으로도 찌놀림 표착이 됩니다..
새우 === 예신에 찌 상승폭이커 챔질 타이밍 못잡습니다...
생미끼 낚시는 기존대로 하심이 더 조을것 같습니다 제 생각입니다^^
가령바늘이 넉넉잡아 7호이상 8,9호이상의 큰바늘을 쓰신다면 찌맞춤시 케미의 2/1로 맞췄다면 좁쌀이
바닥에 안착이 안됩니다 찌맞춤시 바늘없이 찌맞춤후 사용하시던가 아님 케미끝부분을 수면과 일치시키시면 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