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심 다시 체크하세요,,, 찌좀 다시 내리셔야 겠네요...원래 중통은 관통봉돌 자체가 무겁기에 잡겼다가 상승하면서 찌의 노출목을 결정합니다.
근데 쓰신글중 .......찌가 수조에서 조금씩 가라앉을정도..... 요건 잘 이해가 안되네요...도대체 뭔지가..ㅋㅋㅋ 관통봉돌을 그렇게 하셨다는 이야기 시죠???
이게 맞다면 봉돌 크기 올리시구요,저는 두배이상부력으로 씁니다. ,,찌 자체의 부력은 손안되셨으니....당연히 찌는 올라옵니다. 찌에도 다리에 살재기 편납감아서 부력 줄여주시면 좋습니다..
중통낚시는 봉돌의 무게가 찌의 부력에 비해 월등히 높은 채비 이므로 캐스팅시
봉돌의 가라 앉음이 빨리 진행 됩니다.
찌 자체 부력이 봉돌에 저항을 주기도 전에 가라 앉으므로 봉돌이 안착 된후 찌의 부력이 작용하면서
제자리 찾는 현상입니다.
전혀 이상한 현상이 아니므로 신경 쓰실 이유가 없습니다.
근데 쓰신글중 .......찌가 수조에서 조금씩 가라앉을정도..... 요건 잘 이해가 안되네요...도대체 뭔지가..ㅋㅋㅋ 관통봉돌을 그렇게 하셨다는 이야기 시죠???
이게 맞다면 봉돌 크기 올리시구요,저는 두배이상부력으로 씁니다. ,,찌 자체의 부력은 손안되셨으니....당연히 찌는 올라옵니다. 찌에도 다리에 살재기 편납감아서 부력 줄여주시면 좋습니다..
중통은 항상 잠수했다가 올라오면서 대의 전후이동으로 찌탑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봉돌의 가라 앉음이 빨리 진행 됩니다.
찌 자체 부력이 봉돌에 저항을 주기도 전에 가라 앉으므로 봉돌이 안착 된후 찌의 부력이 작용하면서
제자리 찾는 현상입니다.
전혀 이상한 현상이 아니므로 신경 쓰실 이유가 없습니다.
봉돌이 무거우니깐 가라 앉는 가속도가 붇어서 찌가 딸려 내려갔다가 이후에 찌부력으로 치고 올라오는 거지요..
투척용 봉돌은 님 찌 부력에서 2호 나 3호 정도 큰게 좋습니다.. 거의 비슷하거나 적으면 바란스가 안맞아서 투척이 거지같이 됩니다..
또한 입질시에 아랫 봉돌이 앵커역할로 잡아줘야 확실한 표현도 되구요.
찌톱은 전부 노출하게 수심 맞춤하세요.. 유료터에서 3목 4목 내놓음 줄 탠션으로 인해서 무지하게 예민해져서 고기 몸짓에 헛챔질 다반사구요.. 노지같으면 다대 편성 해놓음 찌가져가는거 보지도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찌톱은 전부노출!! 이상으로 하셔야 여유롭고 재미있는 낚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