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징거미와 새우

새우만 잡히던 저수지에 몇년이 지나고 징거미가 훨씬 많아지는 이유가 뭘까요? 한군데도 아니고 여러군데가 그렇네요 옥수수를 많이 쓰기 시작하면서 징거미가 많아지는거 같은데 변형이 일어나는건지 징거미가 새우를 잡아먹는건지 궁금하네요

징거미와 새우...
1.징거미새우:앞다리 2개가 몸통 길이 만큼 긴게 특징입니다.
2.징거미새우:크기가 보통 새우 크기만 할때는 잘 구분이 않됩니다.
3.자세히 관찰해야 알수 있습니다.
4.주변에(도랑)(계곡)(강)(해안)이 있으면...
5.징거미새우가 서식을 합니다.
6.미끼로 사용할때는 앞다리 집게발 두개를 떼어내고 보통 새우처럼 사용합니다.
어항에 키우는 징거미를 봤었는데요.
징거미는 붕어에게 대듭니다.
긴 집게발을 세우고 7~8치급 붕어에게는 그냥 쉽게 대들더군요.
징거미는 적어도 허릿급 이상 되는 붕어에게나 잡혀먹히는 정도인 것 같습니다.

징거미는 먹성도 좋습니다.
죽은 물고기를 뜯어먹기도 하지만, 새우나 기타 약한 수중생물은 징거미의 표적이 됩니다.

징거미 산란철에 알을 누가 먹지 않는 한, 많은 개체가 늘어 얼룩생이(일반 줄새우로 불리는)는 징거미에게도 잡아먹혀 멸종할 수도 있을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새우만 잡히던 저수지에 징거미가 많아지거나
새우도 징거미도 없어지고 구구리가 많아졌거나
모두 자연환경 변화의 현상이라 그저 그러려니합니다
궁금하나 특별히 이유를 알기 어렵습니다
낚시 온 사람들 중에
낚시방에서 징거미가 썩인 새우를 사서쓰고
남은 새우를 방생해서 그럴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