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짝밥채비에(지렁이,떡밥) 양목줄 길이 어떻게

보통 떡밥떡밥 쓸때는 목줄 편차없이 쓰고있습니다.... 여러분은 지렁이랑 떡밥으로 쌍바늘 하실때 목줄 길이 편차 두시나요??? 그리고 지렁이짝밥채비 시에는 보통 목줄 어느정도 두시고 하시나요???

일반바닥낚시이시라면 상황에따라 다르겠지만 5cm에서 12cm사이를 가장 보편적으로 하실겁니다.

하지만 5에서 12까지라면 너무 광범위하기에 보통조사님들은 7cm나 8cm정도를 가장 많이들 쓰실겁니다.

그리고 편차를 두는 가장큰이유는 입질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미끼를 달때 바들두개가 겹쳐지지 않기에 미끼달때 편하게하려고 하는것이지 입질과는 무관합니다.

편차를 많이 두지마시고 그냥 바늘 크기 하나정도이면 됩니다.
저는 편차없이 그냥 사용합니다
큰 지장이 없거든요
건져낼때보면 지렁이가 떡밥을 감싸고 있을때를 종종 봅니다(물론 올라올때 붙기도하지만)

그리고 글루텐일때는 잔량이 지렁이에 묻어 움직임을 둔화시켜 붕어의 시각을 떨어트리죠

따라서 편차가없다면 지렁이의 움직임으로인해 떡밥이 쉽게 풀어지지않을까하는 추측성에


1~2cm의 편차를 줍니다
시즌기준으로 떡밥은 6, 지렁이는 9 추천드립니다. 69 ㅠ
지렁이는 미끼자체가 길어 흡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목줄이 좀 길어야 정흡이 잘 되더군요.
지렁이 꼼지락거리는 반경 감안하면 떡밥과는 최소2센티는 벌려줘야 떡밥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저두 3센티 정도 단차를 두고 사용하기도 하고
그냥 사용하기도 합니다
입질받는데는 지장이 없더군요 ^^
단차길이 3~5센티미터, 짧은 목줄 길이 5센티로 맞추어 짧은 목줄에 떡밥, 긴줄에 지렁이 씁니다. 이유는 찌의 움직임과 관계됩니다. 생미끼인 지렁이는 붕어가 입에 넣고 삼킬때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며 떡밥은 입질하여 이물질(바늘)을 걸러 바로 뱉어내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더하면 어느 미끼를 먹고 나왔는지 첫 수만 봐도 알 수가 있겠죠? 길이를 같게 한다면 바늘 색깔이나 목줄 색깔을 다르게하여 구분하는 방법도 있을겁니다.
저도 아담붕어님 의견에 한표 ㅎㅎ
글루텐이랑 어분 동시에 투척하면 어떤미끼를 식하셨는지 모르거든요 ㅎㅎ
그럴때 줄보면 쉽게 판단이간다는 의견 고맙습니다
괜히 낚싯터에앉아 이건가? 저건가? 고민한생각하니 절로 웃음이나오네요 ㅠㅠ
망태할배님~ 바늘귀만큼(1mm) 단차 두는 방법도 잇습니다. ^^
위에는 떡밥 아래는 지렁이 편차는 2-3정도 사용해요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낚시에 대한 지식 알수록 재미있어 집니다.
약간의편차를둡니다
긴줄에지렁이으끼우고짭은줄에는떡밥
바늘 1개정도의 차이를 두지요~ 저는 긴줄에 지렁이 짧은줄에 떡밥이요~ 미끼 달기도 편하고.... 뭐 먹고 나왔는지도 알수있다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