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척님들..
다름이 아니라 조금 이상한 현상이 생겨서 혹시 뭣 때문인지 좀 알고싶어서요..
양어장가서 낚시를 하는데(잉어탕) 유독 3칸대만를 펴면 투척후 찌가 자리를 잡고 약 반목정도 잠겼다가 다시 올라옵니다.
떡밥무게 때문인가 싶기도 하고 찌가 이상한가 싶기도 하고...
참고로 원줄 2.5 모노줄에 찌는 자작으로 만든 60Cm 자작 다루마찌로 약 4호정도 부력이 나갑니다.
채비는 그냥 원줄에 핀도래달고 고리봉돌달고 2봉바늘. 분납이나 좁살아니고 전통채비로 합니다.
찌는 유동으로 사용하고요..유동은 약 1M정도 줍니다..
떡밥(어분)을 크게 달아서 그런가 싶어 작게도 달아보지만 똑 같은 현상이 생기더군요..
정확하게 투척하고 사선방지를 위해 대를 몸쪽으로 당긴후 찌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원위치로 밀어줍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찌가 가라않고 1목정도에 맞춰두면 반목정도가 살짝 잠겼다가 다시 1목으로 회복됩니다...
대체 뭔 현상인지...
다른 조사분들을 보면 가라안고 찌가 자리잡으면 그 상태그대로 가만히 있는데 제꺼만 내려갔다가 회복합니다..
궁금하네요...
찌가 살짝 잠겼다가 올라오는데 뭣때문일까요 ?
-
- Hit : 872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5
찌 맞춤하고 바늘달고 찌는 1-2목 나오도록 해서 사용하거든요...
그러면 봉돌은 분명 바닥에 닿아 있지 않을가 싶은데..봉돌이 눕지는 않겠지만요...
집어제달고 투척하였을때 사선입수가 되었고 집어제가 풀리면서 제자리를 찾는게 아닐까요?
제 미숙한 생각입니다만.. ㅎㅎ
다음분께 패~~스..
채비 투척하고 찌가 안착되면서 바로 가라앉았다가 올라오는건지 아니면 시간이 지나서 2~3분 이상 흐른뒤에 올라오는것인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전자의 경우엔 분납이 아닌경우 저런 현상이 종종 생깁니다 원봉돌일 경우 아무래도 찌가 빨리 입수가 되기때문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경우가있구요.. 더욱이 무거운(어분이나 신장등) 미끼를 크게 달아서 투척하시면 더 심해집니다.
후자는 바닥 경사가 좌우로 경사가 있는경우가 아니라 앞뒤로 경사가 있는경우 약간의 사선에도 찌탑높이가 심하게 차이가 져서 떡밥이 풀리거나 붕어들의 작은 예신에 찌탑 높이가 변하는 경우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가지수가 있지만 이 두가지가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아주 예민한 찌맞춤시 그럽니다
일단 가정해봅니다..
캐미중간까지 맞추시고 1~2목내놓고하시는거면 상당히 무거운 맞춤으로 보여집니다.(붕어낚시에서는 완전..잉어탕이므로 괜찮습니다)
무거운맞춤임을 감안하고.. 원줄은 모노줄.. 제일의심이가는부분은 봉돌이 바닥을 찍고도 찌가 관성에의해 서내려갓다가
천천히 제위치를 찾는경우입니다.
수심이 얼마나 되는지 알수없지만 2.5~3미터이상으로 깊다면 더 신빙성이가구요..
두번째 가능성은 역시나 수심이 깊고 완전바닥이 아닌 경사면인경우입니다. 경사면에 어정쩡하게 안착되엇다가..(왜냐하면 1~2목 올려놓앗기때문에 그만큼경사면에 어정쩡한 안착이 생길수 잇습니다.) 고기들 몸짓(잉어 향어는 몸짓만으로 찌가 쑤욱 올라오기도 합니다)으로 다시올라오는경우..
현장에서 본다면 좀더 다양한 생각을 해볼수 잇겟지만
당장은 이정도생각이 드네요
찌내림에 있어서 봉돌과 바늘의 상관관계중 잘으는 밤나무님이 말씀하신 경우 인데요 우선 무거운 봉돌이 바닥으로 떨어지고서 바닥에 닿고 바늘이 나중에 떨어지면서 안착후 찌의 부력으로 인해 바닥에 바늘만 닿아 있고 봉돌은 떠 있는 사태 입니다.
이경우 입질은 거의 빠는 입질에 반응 할수 있고요 너무 예민해서 붕어가 조금만 건드려도 찌에 반응이 나타납니다.어쩌면 피곤한 낚시가 될수도 있지만 입질에 반응이 내림처럼 빨때 또는 받ㄱ낚시의 올림에 두가지 챔질을 할수 있어 입질 파악만 하신다면 좋은 결과가 있습니다
찌가 반목에 안착후 1목까지 올라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있는지요?
바로 올라오는 경우라고 생각은 드는데 정확한 증상을 말해주시면 고수분들께서 판단하시는데 도움이 될듯 싶습니다...
투척하고 찌가 자리잡자말자 바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반목정도 살짝 잠겼다가 바로 원래 맞춤목으로 환원됩니다..
수심은 3미터정도 되고요..
빠는 입질이 나올거라 하셨는데 원래 잉어의 입질형태가 좀 지저분하죠..
그래도 사람이 없을때는 가차없이 찌 올려줍니다. 위에 설명드린 채비로요...
아, 한가지더 대상어종은 거의 잉어입니다...(잉어탕이라고 말씀드렸는데)
꽝조사클럽님의 답변에 궁금중이 좀 풀리는거 같습니다. 찌에 관성의 법칙이 작용한다는거 처음 알았거든요...
분납을 하면 현상이 없어질까요 ? 한데 부력자체가 4호밖에 안되서 분납하기도 뭐하고, 대상어종이 잉어다 보니..
건드림에 민감하게 반응할거 같고..
하여튼 님들의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찌를 한목이 아닌 두목 노출로 맞추신 후 다시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두목을 내놓아도 똑같이 반목이 잠겼다가 두목으로 회복되면 문제를 다시 찾아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침력때문에 하강했다가
부력으로 접혀진 목줄이 펴지면서 찌가 바로섭니다
반의 반마디 라도 입질시 쳄질하시면
주위분들에게 낚시의 신으로 추앙 받습니다(떡밥 낚시할때)
반의 반마디가 안보이시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서 보세요 (제 경험입니다)
잘 잡으실겁니다^^&
예전에는 무심코 그냥 바로 대를 놓곤 했는데 사선입수를 알고부터는 항상 대를 당겼다가 놓습니다. 중층할때의 버릇이 되었지요..
감사합니다. 많은분들의 답변으로 많은 정보를 알았습니다.
답주신분들께 한번더 감사합니다.
가뭄에 손맛 보시기 힘든시즌인데.. 그래도 즐거운 낚시하시기 바랍니다...
글재주가 없어서 설명이 좀,,,
깊은 수심에서 찌가 가벼워질수 있습니다... 저부력찌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질수록 점점더 크게 작용하구요...
현재 수심에서 살짝만 찌를 내리시고 찌맞춤을 한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수심때문에 가벼운 채비가 되어서 관성때문에 봉돌이 살짝 닿았다 뜨는 경우로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