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를 갔다가 궁금한점이 생겨 글올립니다.
찌를 한마디정도 보이게 던져놓았는데요 아래위로 조금씩움직이다가 그냥 천천이 한마디나 두마디정도 더올라왔다가
그냥 그상태그대로 멈춰버립니다.
챔질을 해봐도 걸려오는건없구요 미끼는 지렁이를 썼는데 그대로있습니다.
왜 이런현상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 좀 알려주십시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모든 다른 미끼에서 동일한 현상이었다면 (특히 글루텐...) 사선입수의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꼭 붕어가 건드리지 않아도 심한 착지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찌가 약간 올라오게 될 수 있는것 같습니다.
붕어가 한번만 건드리고 찌만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시 입질을 하지 않을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듯 합니다.
사선입수라고 저도 첨엔 생각했는데 지렁이와 글루텐이라면 그 비중이 가볐지 않나요. 지렁이야 따먹지 않는이상 바늘에 있을테고 그럼 글루텐이 바닐에서 떨어져 사선입수가 사라진다? 2m의 계곡지와 70cm의 못에서도 같은현상? 전 사선입수보단 확실치안은 원줄에 문제 아닌가 생각합니다. 원줄이 어떤건지 카본이라면 물속으로 들어가니 찌탑이 더 들어가지않을까요? 모노줄이나 나이론줄 3호라면 바람과 대류에 많은 영향을 받지않을까요? 낚시에 입문한지 얼마 안돼지만 모노2호줄에 관리형 저수지에서 지독한 대류에 시달려 월척에서 많은 공부를 한 허접한 1인입니다.
수중의 작은턱 또는 움푹 솟아오른 부분에 갖다 놓을 경우 그런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는 바닥의 이물질 (수초더미나 줄기등)위에 얹히는 경우도 있구요...
그런데 미끼를 옥수수나 글루텐으로 써도 같은현상이생기구요 올라와있던 자리나 그주위에 다시 던져넣으면
원래 찌높이로 돌아가는데요
이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ㅜㅜ
자주 비슷한글이 올라오기에 검색에 "사선입수"라고 치시면 많은 자료를 보실수 있으실겁니다.
찌가 올라온채로 멈췄다고 생각되어집니다.
2m 수심은 산에있는 작은 못이구요 70Cm 수심은 많이넓은 저수지 입니다 두군데가 가까이있어서 옮겨봤는데 같은현상이 일어나네요
미끼는 옥수수콘은 두알씩 끼웠구요 지렁이는 두마리씩, 글루텐은 새끼손가락 한마디정도크기로 달았습니다.
찌맞춤은 확실하게 몰라서요 바늘빼고 캐미끼운상태로 캐미끝이 보이게 맞춰놓았습니다. 답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꼭 붕어가 건드리지 않아도 심한 착지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찌가 약간 올라오게 될 수 있는것 같습니다.
붕어가 한번만 건드리고 찌만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시 입질을 하지 않을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듯 합니다.
윗분들께서 많은 정답을 주셨네요. 모두 해당 될 수 있으며...
옥수수 미끼라면.. 미끼를 긴 시간 포인트에 방치하니..
최초 투척시 사선이 발생 하였을 것이며.. 원줄이 3호줄이나 되면..
줄이 너무 굵기 때문에.. 낚시인 쪽으로 당겨져 왔을 확률이 제일 많습니다.
특히 만약에 카본을 사용하였다면.. 물론 모노도 마찬가지이고요. 카본이 더 심하다. 입니다.
따라서 맨땅일 경우 아무리 대어를 노린하여도 지나치게 굵은 줄을 사용해야할 이유가 없습니다.
굵은 원줄은 잉어, 향어, 수초와 같은 장애물이 있는 낚시터에서 활용합니다.
공부후에 내일 다시 가봐야겠네요 ㅎ 많은분들의 관심어린 답글 감사드립니다. ^^;
여름에 더욱 더 심하지요.
찌 톱 까지 다올립니다.
개인 적으로는 무겁게 하고 낚시 합니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대류현상이 확실한것 같읍니다
한낮에 그러다가 해떨어지고 나면 그런현상이 사라집니다
무거운 찌맟춤을 권하고 싶네요
사선입수에 공부하고 원줄 얇게한뒤 무거운 찌맞춤 해봐야겠네요.. ^^:;
회원님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손맛님 하나유통님 그음님 이정호님 석양갈매기님 국가대표님 정중동님 손맛님 이정호님
누구징님 멀국님 나촌놈님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항상 안출하시고 감기조심하시고 워리 떼입질받으시길...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