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부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찌몸통뿐이며 찌톱과 찌다리는 자중으로 작용합니다.
(찌톱재질이 속이빈 튜브찌일 경우는 제외)
찌톱과 찌다리를 절단하여 단찌로 사용할 경우 자르기 전보다 부력이 더 커집니다.
자른 부분만큼의 찌의 자중이 내려가고 부력은 그대로 이므로 그렇습니다.
다루마형태의 장찌라면 언제고 길이를 조정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단, 한가지 주의 하셔야 할점은 [찌톱 = 찌몸통 + 찌다리] 의 비율로 절단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무게중심이 상향되어 수직입수가 되지 않고 사선입수가 될수 있으며
찌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할수 없는 찌가 될수도 있습니다.
찌를 만들때 (찌톱길이:몸통길이+찌다리) 1:1 비율료 만들더군요
재고 손에 올려보고 무게 찾고 할 필요없이
찌다리 10cm 잘랐다 치면, 캐미고무빼고 찌톱 10cm 자르면 아무 이상없습니다, 많이 해봤습니다
찌다리에 유동촉이 달려있는 것이면 그것을 라이터로 살살 열을 가하면 제작시 사용한 접착제 가스로 인해 폭~하고 빠집니다
자르고나서 찌다리 끝부분 칼로 다듬어서 다시 순접하고 끼우시면 됩니다
찌다리 잘라서 단찌로 쓰고 있습니다. 50cm 찌를 찌다리만 15cm 잘라서 35cm으로 만들었습니다. 수직입수 아무문제 없습니다. 찌올림도 마찬가지로 문제 없더군요. 단 초저부력찌에서 저렇게 하면 입수때 몸통이 수면 아래에서 수직이 되어 찌탑 중간부터 수면위로 나와 수직 입수됩니다. 고부력찌는 문제 없습니다.
지금은 초봄이라 수심이 낮은 곳을 공략하지만..
조금만 지나면 수심이 나오는 지역을 주포인트로 하겠지요?^^
한번 자른 찌톱은 다시 붙일수가 업습니다. 신중한 선택을...
그리고 찌는 형태에 따라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게 됩니다.
그찌들을 섞어서 쓴다면 입질파악에 다소 불편을 줄수도 있습니다.
깔맞춤에 의미로 찌를 한가지로 쓰는것이 아니라 같은 특성의 찌를 쓰는 것이지요..
그리고 요즘 찌톱은 거의 테이퍼 톱을 쓰지요 밑단은 약1.2mm 상부는 0.6~0.7mm
이것은 찌의 예민함을 위한 것인데 찌톱 상부를 자르면 상단의 끝지름이 커지겠지요..
이것은 찌의 부력만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고, 그전에 가지고 있던 찌올림등 성격에도 변화를 주는 것이지요..
찌톱의 색깔도 틀려질 것이고 등등 단점이 많아질 것 같아요.
찌의 발란스는 찌의 입수큰 영향을 줄뿐이구요
입질시엔 찌 발란스는 대충만 맞아도 올라오는 영향력은 비슷하다고 봅니다.
단, 찌에 그날조황에 맞는 채비와 미끼 찌맞춤은 정확히 가져가셔햐합니다.
대부분 찌다리 무게가 찌톱보다 무거우므로
찌다리를 먼저 짜르고 왼손 검지위에
찌몸통 중간을 얹으면 찌톱쪽으로 기울게 되는데
찌톱을 조금씩 잘라가며 기울지 않고 수평이 되게 맞추고
짜른부분 마무리 하면 됩니다
찌톱은 0.6미리 카본이므로
상하 무게차가 납니다
찌다리 1에 찌톱2 비례로 절단하시면 됩니다
절단방법은 커터칼료 한바퀴 돌려서 꺽으면 쉽게 절단됩니다
1.찌
2.길이를 줄일때는...
3.찌톱과
4.찌 다리의...
5.전체적인 균형을 잘 보면서 자르십시요.
6.조금씩 자르면서...
7.무게 중심도 체크 하시면서 자르십시요.
8.이상적인
9.찌를 만들수 있습니다.
찌맞춤 다시 하시는 것 필수구요.
카본이나 솔리드 자르실 때는, 톱날을 세울 때 쓰는 줄(공구)를 써서 자르시면 갈라지지 않고 깔끔하게 자르실 수 있습니다.
찌톱 -- 찌몸통 -- 찌다리
여기서 부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찌몸통뿐이며 찌톱과 찌다리는 자중으로 작용합니다.
(찌톱재질이 속이빈 튜브찌일 경우는 제외)
찌톱과 찌다리를 절단하여 단찌로 사용할 경우 자르기 전보다 부력이 더 커집니다.
자른 부분만큼의 찌의 자중이 내려가고 부력은 그대로 이므로 그렇습니다.
다루마형태의 장찌라면 언제고 길이를 조정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단, 한가지 주의 하셔야 할점은 [찌톱 = 찌몸통 + 찌다리] 의 비율로 절단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무게중심이 상향되어 수직입수가 되지 않고 사선입수가 될수 있으며
찌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할수 없는 찌가 될수도 있습니다.
저도 60짜리 뚝뚝 짤라서 무릎 수심용으로 몇개 만들었는데 쓸 만 합니다.
처음에는 적당한 싸이즈로 자르고
방법을 알고난후로는
습관이 돼서 자꾸 자르게 되더군요
대물용도라 입수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고봅니다
가급적 잘라서 사용하는 방법을
권해 드리고 싶지는 않읍니다
요즘 다량판매를 마니 하니
싸고 이쁜걸 추천 하고 프네요
있는거 몇개 잘라써봤는데..
결국 찌만 못쓰게되고 아깝더라구요..
모양도 정말 보기 싫어집니다..
요즘 저렴한 찌도 많은듯 하니..
불용품은 파시든 소장하시든 하고..
단찌 몇개 구입하심이 좋을듯 싶습니다.
재고 손에 올려보고 무게 찾고 할 필요없이
찌다리 10cm 잘랐다 치면, 캐미고무빼고 찌톱 10cm 자르면 아무 이상없습니다, 많이 해봤습니다
찌다리에 유동촉이 달려있는 것이면 그것을 라이터로 살살 열을 가하면 제작시 사용한 접착제 가스로 인해 폭~하고 빠집니다
자르고나서 찌다리 끝부분 칼로 다듬어서 다시 순접하고 끼우시면 됩니다
나름 만족하며 잘쓰고있습니다
찌가쭉쭉 올라오던데요ㅋ
조금만 지나면 수심이 나오는 지역을 주포인트로 하겠지요?^^
한번 자른 찌톱은 다시 붙일수가 업습니다. 신중한 선택을...
그리고 찌는 형태에 따라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게 됩니다.
그찌들을 섞어서 쓴다면 입질파악에 다소 불편을 줄수도 있습니다.
깔맞춤에 의미로 찌를 한가지로 쓰는것이 아니라 같은 특성의 찌를 쓰는 것이지요..
그리고 요즘 찌톱은 거의 테이퍼 톱을 쓰지요 밑단은 약1.2mm 상부는 0.6~0.7mm
이것은 찌의 예민함을 위한 것인데 찌톱 상부를 자르면 상단의 끝지름이 커지겠지요..
이것은 찌의 부력만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고, 그전에 가지고 있던 찌올림등 성격에도 변화를 주는 것이지요..
찌톱의 색깔도 틀려질 것이고 등등 단점이 많아질 것 같아요.
그럼에도,
찌톱과 찌다리를 자른다고 찌가 아니 것은 아니지요^^
아무 문제 없읍니다..
저는 4000원짜리찌라서
현장가서 수심이 얕으면 그냥 뚝 짤라씁니다..
아무 문제 없던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