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이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하고, 원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합니다.
수심이 1미터 내외인 경우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무게는 무시해도 좋을 만한 무게이므로 바닥에 봉돌이 닿지 않은 상황이면 영점조정을 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수심이 3미터 이상인 경우는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 무게까지 감안해야 하므로 수심을 먼저 마춘후 찌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서 영점조정하는 것이 옳바른 방법입니다.
또한, 원줄의 종류에 따라 조금 달라집니다.
모노줄의 경우 비중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찌부터 봉돌까지의 길이가 조금 긴편이여도 그 무게를 무시해도 무방하지만
카본줄의 경우 비중이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기존 사용하던 영점조정보다는 조금 무겁게 마추셔야 하며, 수심측정후 찌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서 영점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바닥을 먼저 찍고 찌맞춤을 하나 찌맞춤을 하고 바닥을 찍으나..카본줄을 쓰나 모노줄을 쓰나..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다.. 그런거 다 신경 써가며 낚시 하면 머리만 아프고 피곤만 하드라구요..물론 그런과정을 겪으며 낚시하는걸 하나의 재미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편하신대로 하시면 됩니다.. 이상 왕초보였습니다^^
보통 30센티 정도에 맞춰놓고
봉돌깍습니다 ^^
1.찌를...
2.봉돌에서...
3.(10cm)정도 맞춰놓고...
3.봉돌을 깍습니다.
4.(10cm)정도 봉돌과의 거리를 두는것은...
5.봉돌을 깍을때...
6.편리해서 하는 겁니다.
7.찌와 봉돌의 거리는...
8.찌맞춤의 특별한 차이는 없습니다.
9.거리의 상관없이 편리한대로 하십시요.
전 찌맞춤을 먼저하는데..
수심이 1미터 내외인 경우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무게는 무시해도 좋을 만한 무게이므로 바닥에 봉돌이 닿지 않은 상황이면 영점조정을 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수심이 3미터 이상인 경우는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 무게까지 감안해야 하므로 수심을 먼저 마춘후 찌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서 영점조정하는 것이 옳바른 방법입니다.
또한, 원줄의 종류에 따라 조금 달라집니다.
모노줄의 경우 비중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찌부터 봉돌까지의 길이가 조금 긴편이여도 그 무게를 무시해도 무방하지만
카본줄의 경우 비중이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기존 사용하던 영점조정보다는 조금 무겁게 마추셔야 하며, 수심측정후 찌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서 영점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일단무바늘과봉돌을깍지않은상태에서
수심을체크합니다
수심체크후 수심에따라
30쎈티에서1미터정도내린다음찌맞춤을
시작합니다
좀더정확한노지찌맞춤이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