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

찌맞춤할때 보통 수조찌맞춤을 하시나요 아님 현장찌맞춤 위주로 하시나요

이번에 수조찌맞춤해놓고 현장가서 현장찌맞춤 다시 했는데

줄 무게 때문에 무거우면 무거워야지 더 가볍게 나와서 머리가 복잡하네요...


찌맞춤...
1.간편하게...
2.수조에서 찌맞춤을 하고...
3.마무리 찌맞춤은 현장에서 한 번 더 합니다.
수심때문에 수조 맞춤하곤 달라질수도 있고
수조통 바늘없이 가벼운 맞춤은
현장에서 모노, 카본 목줄이 버티는 바람에
봉돌이 바닥을 못찍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지 낚시할때는
수조통에서 대충 맞추고
현장에서 오링 추가해서 살짝 무거운 맞춤 합니다
가벼운거보다 살짝 무거운게 찌표현이 더 잘나와요

낚시중 원줄 터져서 급할때는
그냥 풍덩채비도 올릴놈은 올리죠

양어장 갈때는 현장에서 원줄 부터 찌맞춤까지
새로 합니다
원줄에 유분이 있는 경우 표면장력이 생겨서 찌의 침력을 줄어들게 하기도 합니다.
또는 원줄이 수침수초에 올려진 경우도 그럴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을 겪으면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캐스팅이후에 찌탑이 많이 노출되는 경우는 무거워서 사선입수가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찌를 봉돌까지 내려셔 찌맞춤이 대략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현장찌맞춤으로 하사고, 찌맞춤통은 채비의 원리를 확인하는 정도로 사용하세여. 원줄빼고 찌, 봉돌, 케미, 바늘을 넣거나 빼고, 테스트할때 사용하면 편합니다.
특이한 경우네요, 보통은 현장가면 더 무겁게 나타나는데요.
그럴 경우 중층에서 사용하는 스텐오링 몇개 준비해서 도래에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장소가 바뀔 때뿐만 아니라 같은 장소라도 갈 때마다 다시 확인해 봅니다.
엄청예민하게 하셧나보네요
통장적으로 적당히 마추면 필드에서 조금 무거울수는 있습니다만..

반대로 순수 물은 수수물이에요 노지물은 이것저것 분순물이 많지요.. 이분순물들이 찌가 내려가는데 저항이됩니다
순수 물이 비중 1이라면 혼합물은 1이상 이겠지요 그러니 찌마춤이 가벼워질수도 있겠지요..

다만 물비중을 떠나서 카본줄등의 원줄 무게도 있고 하니 전체줄을 다 침수시키면 통상적으로 노지가 조금 무겁게 나올수도 있습니다
계절마다도 그채비 그대로라도 계정마다 틀리고 저수지마다도 조금틀립니다... 사전에 낚시할곳에서 찌마춤을 확인하시고 가면됩니다..

적당히 안적정인 찌마춤의경우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손안되고 낚시할수 있는 범주에 있어서 아주심하지 않으면 저는 그냥합니다..
고기잡느데 아무 의미 없습니다..
수조통 위. 모서리에 원줄이 걸쳐지는 것 만으로도 (+)(-)0.1g은 쉽게 가감된답니다.

속칭 예민하다?는 채비는 린간?이 무슨 수를 써도 수조통으로는 찌맞춤을 완성 할 수 없구요.

수조통으로 어설프게? 예민한?채비를 연구했다가는
평생 엉뚱한 낚시에 빠져보낼 수도 있습니다.

괜히 조력있는 분들이 현장찌맞춤을 강조하는게 아닙니다.
수초통에서 쉽게 관찰 가능한, 분납채비의 중간목출 휘어짐도 수조통 원줄 걸침때문에 생기늕실제낚시로는 생기지는 괴?현상이고.

바늘슬로프?로 인해 목줄이 따라서 기우는게 아닌, 순수한 목줄슬로프?의 경우에도 구현조건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만. 원줄의 수조통 걸침으로 참 쉽게? 구현가능한 그림입니다.

수조통으로 엉뚱하게 구현한 채비메카니즘을
대단한? 채비라도 계발한 듯 설파하는 영상들도 많은 데요. 10중8,9는 엉터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대로 따라했다가는 엉뚱한 낚시로 아까운 시간과 돈만 허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조통으로 완성시켜. 보여주거나, 수조통에서 대~충 찌맞춤해서 현장나가서 바로 낚시만 하면 된다는 식의 예민한? 채비강의들이 대부분 이런류라는....
수조통찌맞춤할때는 원줄빼고 봉돌-소형도래까지만 달고 했습니다...
수온에 따라 찌의 부력과 봉돌의 중력이 달라지기 때문 입니다
수조에서는 대략적으로 맞춰놓고 현장가서 재확인후 마무리합니다...보통 이상태로 시즌내내 쓰는편이고 중간중간 현장상황에 따라서 오링같은걸로
가감해서 쓰고요...양어장 같은 경우는 갈때마다 무조건 새로 맞춰서 합니다.
저도 전에는 현장가서 다시 찌맞춤을 하곤 했는데
언젠가부터 귀찮아서 그냥 씁니다
찌가 입질표현을 잘 못해준다는 느낌은 없었어요

약간 무겁게 맞춘 영향도 있지않나 싶네요
원봉돌...
찌맞춤 약간 무겁게 하시는게 좋아요!!
미끼만 잘 달려 있으면 올립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찌맞춤에 스트레스받으면 답이없습니다. 수조 찌 맞춤으로 딸깍 맞춤보다 조금 가볍게 맞추시고 그냥 현장 찌맞춤 없이 낚시 하셔도 무관합니다.... 제 개인적으로 낚시는 포인트보는눈 95%고 그외 5%가 미끼,채비 기타 등등 이라 생각합니다...절대 스트레스 받지마세요. 본인채비 믿음 있으면 그게 최고의 채비입니다. 무겁고 가볍고에 의미 부여하기 시작하면 머리터집니다.
낚시는 수학이 아닙니다..진짜ㅋㅋㅋㅋ 제발 부탁드릴게요. 낚시에 대세가 있다는 표현도 웃기지만서도. 요즘 대세가 얼레 채비같은 가벼운 내림채비가 유행이라서 뭐 무조건 가볍고 현장찌맞춤 한다고 하는데, 낚시 구력 30년되신 제 낚시 스승님보면 그냥 수조 찌맞춤도 안하시고 마릿수/4짜 잘만하십니다. 그냥 포인트보는 눈이 가장가장 중요해요. 고기 없는곳에 아무리 좋은채비 던져놓으면 뭐합니까? 그냥 편하게 하세요..저도 채비 부력 등등 신경쓰다가 스트레스 받아서 수조찌맞춤으로 적당히 하고 낚시하는데 고기잡고 입질표현 보는데 전~~~~~~~~~~~~~~~~~~~~~~~~혀 지장 없습니다.
수온에 따라서 달라질수도 있구요.
수심에따라서 달라질수도 있구요.
줄무게 때문에..,.케미가 살짝만보이게 마춰놓으면 거의 어느현장이든 그냥써도됩니다
수면과 수중에

부유물이 있지요.

혼탁해지니

그럴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