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

저는 봉돌,스웨벨,캐미,바늘 낚시대에 필요한 모든 채비를 다 달고 찌맞춤을 합니다... 원줄 노모 1.5 봉돌(스웨벨-찌탑 무게) 3-4정도,붕어바늘 7호... 서서히 입수하여 캐미(캐미 완전 노출) 딸깍 맞춤합니다. 제가 월척에서 배운 찌맞춤은 무바늘에 캐미꽂이 하단이나 캐미 완전 노출,찌탑 1목 맞춤에 금속오링 캐미 딸깍이 예민한채비로 알고 봉돌을 가감했습니다... 그런데 제가하는 채비에 캐미 딸깍 맞춤을 하면 봉돌(스웨벨)이 뜨고 바늘만 닿는것이 월척에서의 이론인데 '정말 맞나?' 하고 실험을 해봤습니다... 바늘까지 다 단 상태에서 찌맞춤을 하고 수심측정을 하고 스웨벨에 편납을 감아 무겁게 해도 목줄길이만큼 수심의 변동이 없이 수심이 동일하였습니다... 사선입수는 제외하더라도 현장에서 찌맞춤은 바늘까지 포함한 전체 채비를 한 상태에서 캐미 딸깍맞춤이 봉돌이 뜨는게 아니라 봉돌(스웨벨)만 바닥에 살짝 닿는 예민한 채비가 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혹,수조맞춤에서 바늘까지 포함한 채비가 캐미딸깍이 바늘만 닿아서 현장도 그와같을것으로 유추한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수님들의 경험과 조언 부탁 드립니다.

그렇게 예민하게 마추시면 찌탑이 무조건 한목나와야 합니다.

수심을 찾기 매우 힘들기 때문입니다.

수조는 아래 바닥이 보이시기 때문에 수심을 찾았다고 생각하시지만...

찌맞춤 하신 상태에서 찌를 내려보세요 그렇게 하셔도 찌는 수조에 닿았을때랑 똑같은 모습으로 노출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집에 지우개를 밤톨 마하게 바늘에 껴보세요 그럼 찌가 가라않겠죠?

그럼 수심을 잘못 찾은게 되는거죠...?
캐미딸깍 맞추시고 수심찾으셨다고 하셨죠?

찌탑을 얼마나 내놓으셨나요? 보통 수심을 찍으실때 찌탑을 거의 반정도 노출시키는것으로 수심을 맞추시지요?

찌탑이 반정도 노출이 되었다면 당연히 찌탑무게가 바늘을 눌러주기 때문에 스위벨에 편납을 둘둘 말았을때와 뺏을때와

다를게 없는 겁니다. 혹시 캐미만 나오게 하시고 수심찍으시는것은 아니시겠지요???

캐미딸깍이라고 하시는 것들이 문제가 좀 있습니다. 캐미딸깍으로 맞추시고 봉돌을 칼로 살살 긁어보시면서 해보세요..

한동안 조금씩 깎아내면 계속해서 딸깍이 됩니다. 중요한건 찌맞춤시 찌 하강속도를 제어해주는것도 중요하다는 겁니다.

부력이 많이나가 봉돌이 무거운 찌들은 캐미딸깍이 계속해서 나타날겁니다.. 찌 하강속도 때문인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현장에서 정밀 찌맞춤은 안합니다. 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정밀맞춤하고 현장가서 그대로 합니다.

바늘은 제거하고요...봉돌만. 달아서 합니다.

찌맞춤이라는것이 낚시계에 엄청 많은 이론들과 주장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자신에게 제일 잘맞고 아 이거다하는 이론이나

주장들중에 선택하시고 끝까지 내 채비에대한 믿음을 갖으시고 낚시하시면, 좋으실거 같습니다.

저도 찌맞춤때문에 한 2년정도 엄청나게 고민하고 생각했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냥 내가 맘에드는 이론과 주장을

선택해서 낚시합니다. 그래서 낚시가 즐겁습니다. ㅎㅎㅎ

이제 우리 같이 머리아픈 찌맞춤에서 벗어나서 즐거운 낚시해보아요~ㅎㅎㅎㅎ
35cm님 감사합니다.
제일 처음 수심을 찾을때 봉돌 가감없이 무거운 상태에서 캐꽂이 노출로 수심을 맞춰놓습니다...
그리고 2,30센치 내려서 바늘 단 상태에서 위와같이 찌맞춤을 하고요...낚시할때 한목까지는 아니더라도 캐미꽂이 내놓은 상태에서 하구요...
제가 말씀드리는 요지는 월척에서 많은 분들이 바늘 단 상태에서 딸깍맞춤은 바늘만 닿고 봉돌이 뜬다라고 말씀하셔서 현장에서
편납을 감고 던져도 목줄길이만큼의 변화없이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는것 아닌가하는 말입니다..그리고 낚시를해도 빠는 입질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위와같이 찌를 맞추면 봉돌이 뜬게 아니라 살짝 안착 돼있는 상태가 아닌가해서 이런 경험이 있으신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서 올린거구요...제가 실험했던곳은 양어장이어서 수심찾기는 별로 어렵지 않았습니다..
붕어 멍청합니다.
뭐 대충하여 낚시를 해도 조황이 좋으날은 엄청 잡힙니다.
조황이 안좋은 날은 어떻게 해도 꽝입니다.
다윤아빠님 감사합니다.
수심을 찍는다는게 찌탑 반이 아니라 봉돌 가감없이 무거운 상태에서 찌탑이 반이 되든 캐미노출이든 문제가 안될것 같구요..
찌를맞춘후 수심은 캐미노출로 맞추고 거기에 편납을 다시 감아도 별 변화(목줄길이만큼)가 없더라구요..
그러면 봉돌이 뜬게 아닌것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물론 딸깍 맞춤은 10초,20초...등등의 변수가 있지만 서서히 내려가다가 찌고무에서 멈칫한후 딸깍 잡히는 정도입니다..
너무 오랫동안 머물다가 딸깍하면 봉돌이 뜨겠지요.. 제가 반론을 할라구 하는게 아니라
혹 이런식으로 찌맞춤을 하고계신분들이 안계시나 싶어서요...
이렇게하고 있는데 실은 100%확신이 없어서요^^ 다윤아빠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붕삼이님 말씀은 바늘을 달고 찌맞춤과 봉돌만 달고 찌맞춤의 차이점 또는 동일한 맞춤이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먼저 저의 생각 입니다
봉돌만 달고 한목맞춤을 합니다
여기서 바늘을 달면 찌는 바늘 무게만큼 내려 갑니다
반대로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합니다.
여기서 바늘을 제거하면 바늘무게 만큼 찌는 올라 옵니다.
여기서 저는 찌가 고부력찌 저부력찌 차이가 있다고 생각 합니다
고부력찌를 바늘달고 한목맞춤을 했을때는 찌톱을 1미리만 더 내여주어도 봉돌은 바닥쪽으로 쉽게 내려 갑니다
부드러운 목줄이면 찌톱무게로 목줄을 눌러주는 현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저부력찌에 바늘을 달고 한목맞춤이면 동일한 방법으로 찌톱을 노출하면 봉돌은 고부력찌와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 합니다.
스위벨채비를 하신다면 분할비율을 잘 아실꺼라 생각 됩니다
스위벨낚시는 이미 예민한 낚시채비 입니다.
스위벨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바늘없이 찌맞춤이 더욱더 안전감이 있지 않을까요..
목줄은(바늘)어떤것 쓰시나요? 스위벨에 편납을 좀더무겁게 추가해서 실험해보세요,
1.5호 모노줄이라면 완전 저부력 찌가 아닌 이상에는 줄 쳐짐 현상도 거의 없다고 봐야하고요...
말씀하신대로 스위벨에 붕어 7호 바늘 달고 케미 완전 노출로 찌맞춤을 하신다면
이론상... 제 수심에 맞춰서.. 똑같이 케미만 내놓고 낚시를 한다면 바늘만 닿고 스위벨은 떠있는게 맞습니다. 붕어 7호 바늘이면 무게도 꽤 있기때문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이 상황에서 이론적으로는 (찌 부력에 따라약간 차이는있지만) 적어도 2~3마디 이상 찌를 올려야 스위벨이 바닥에 닿습니다.
그런데 이게 찌 부력이라든가.. 수질등.. 여러 요인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어.. 군계일학에서는 현장에서 찌 맞춤을 다시 정밀하게 하는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밤에 주간 케미를 빼고 방울형 케이를 꽂는다면 케미 무게 때문에 약간 더 내려 앉을수 있습니다.

저도 말씀하신것과 비슷하게 찌맞춤을 하지만.. 전 카본 5호 또는 모노 6~7호 원줄을 사용하기때문에... 사용하는 대 길이나 원줄에 따라.. 줄 쳐짐을 보고 다시 정밀하게 찌맞춤을 합니다.
일반적인 모노 1.5호줄에 3.2칸대 이하 낚시대에 바늘 7호달고.. 케미 완전 노출 찌맞춤으로 맞추고
실제 수심잡고 낚시할때.. 케미만 노출하고 낚시한다면.. 제경우는 스위벨이 떠있다고 몹니다. 스위벨에 편납을 넉넉하게 감아 스위벨을 바닥에 좀 빨리 안착시킨다면... 편납 감기전 찌높이보다 목줄(바늘과 스위벨) 길이만큼 찌가 더 잠기는것이 맞다고봅니다.

바늘달고 찌맞춤할때.. 바늘을 다 띄운 상태에서 케미 완전 노출 찌맞춤이 맞는거죠?
이럴경우 실제 수심잡고 케미 똑같이 노출시킨다면 바늘이 앵커 역할을 해서... 스위벨이 떠있는게 맞습니다. (줄쳐짐이 없을경우)
대부분 주간케미 야간케미가 다 부력이 있기 때문에... 그 부력을 상쇠시킬만큼 편납늘 감지 않는한 목줄길이 만큼 완전 잠수 되지는 않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내용은 수조통 찌맞춤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케스팅으로 맞춘 찌맞춤 기준으로 말씀드렸습니다. 찌맞춤통은 원줄이 벽에 닿아 정확한 찌맞춤은 할수가 없습니다.

관리터를 주로 다니는지라... 관리터 예민한 넘들 잡아내려고 최대한 찌맞춤 정밀하게 합니다만... 스위벨이건 본봉돌이건 바닥에 닿았다는 확신이 안설경우 낚시가 참 피곤해집니다.
노지의 경우 수류라던가 바닥이 지저분하다던가. 다른 여러 요인때문에 ... 완전 가벼운 찌맞춤 보다는 약간 더 무겁게 맞춰 쓰는것이 낚시가 편하더라고요...
신삿갓님 감사합니다.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의 차이로 설명을 해주셨는데 동감합니다...
신삿갓님께서는 일단 찌맞춤시 캐미,캐미고무가 아니고 찌탑에 찌맞춤을 했을때 바늘의 무게로인한
찌의 하강을 말씀하신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도 무수히 생각을 해보았는데 나름의 같쟎은(좀 미련한^^)결론은 캐미 딸깍맞춤은 캐미나 캐미고무의 표면장력이
바늘의 무게를 상쇄시키고도 남지않나하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그렇다면 저부력찌도 또한 마찬가지아닐까하는 생각입니다...
캐미꽂이가 없는 찌는 무바늘맞춤이 맞겠지요..
이것저것 주저리 주저리 생각만 맣고 정리가 안되서 고수님들의 의견을 들어
찌맞춤을 정립하고싶습니다^^

낚시하다보면 정신병자가 되는것 같습니다^^
신삿갓님 감사합니다^^
당첨,맥스웰,미니코니님 감사합니다...
아직은 정리가 안되서 머리만 복잡한데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