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올림이 좋은 찌"
어렴뿌시 알듯 말듯한 말인데
정확히 어떻다는 말로 이해 해야겠는지요?
그리고 그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
좋다는 찌도 사용해봐도 아직 뚜렷히 구별되는 찌를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양어장에서 주운 갈대찌가 그래도 가장 좋고 애착이 갑니다.
몇마디 말로 표현할수가 없는 질문인듯 합니다..
가장 멋진 찌올림을 꼽으라면 무거운 메주콩 바닥채비를 대물붕어가 활성도 좋은 날 빨아올렸을때가 아닌가 합니다..
이때는 이미 입질을 받는순간 대상어의 사이즈가 대충 가늠이 되기 때문에 그 느낌이 배가 되는지도 모르지만
마이너스나 제로찌 마춤의 찌올림과는 그 무게감이 완전히 다른 느낌을 주는듯 합니다.
떡밥낚시를 해 보아도 붕어의 씨알이 커짐에 따라 입질의 중후함은 완전히 다르구요..
수심.. 대의 길이.. 미끼의 종류.. 유속이나 바닥사정 등등.. 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나 무게의 찌를 선택해야하는 낚시꾼에게
막연히 찌올림이 좋은 찌를 찾는 일은 너무도 힘든 일인것 같습니다..ㅎㅎ
'찌올림이 좋은 찌' 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 듯 하고 '찌올림이 좋은 대상어' 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찌올림 차이의 가장 큰 요소는 찌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어라고 생각되더군요.
그 외의 요소는 찌맞춤,미끼,찌의 부력 등등 찌자체는 순위에서 밀릴듯 싶네요.(물론 불량품이나 중심도 안맞는 저질찌는 제외하고)
많이 보게되는 '찌올림이 좋은 찌'.... 이 표현은 상술에 의해 만들어진 표현인듯 싶습니다.
예를 들자면...
와 그 때 그 붕어가 진짜 찌올림이 중후하고 멋있었어~ 이지..
와 그 때 그 찌가 진짜 찌올림이 중후하고 멋있었어~ 가 아니라는 이야기죠.
제 주변을 보면 그 해석이 저마다 제각각 이더군요... 다소 주관성이 개입된다는 뜻이겠지요...
대략 한 세가지 부류로 정리 되는것 같은데
1) 중후하게 잘 올리는 찌 - 찌오름의 폭이 크고 올라오는 속도가 느리다
2) 변별력이 뛰어난 찌 - 붕어가 건드리면 조사에게 바로 신호를 보내는 예민함
3) 정직성이 뛰어난 찌 - 붕어가 하고있는 동작을 그대로 보여주어 꾼에게 붕어가 뭘 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정직성
이중에 하나를 그렇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세가지를 다 갖춘찌는 평생 한번도 본적이 없네요...
저 개인적으로는 1)번을 선호 하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3)번 쪽으로 쏠리는걸 느낍니다.
물론 찌올림의 거의 대부분은 붕어의 입질에 달린 것이라는 점에 동의 합니다.
하지만 10%~20% 일지라도 찌에 의한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찌올림이 좋은찌"는 얼마나 현장상황에 잘맞추어 사용 하느냐 란 생각을 해봅니다.
다소 질의하신 내용과 차이가 있다 생각 하실지
모르겠지만.. 요즘 시중에나오는 찌들은 낚시에 영향을 줄만큼 정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고로 내가 찌를 세우는 포인트의 장애요소와 채비투척시 사선입수 등이 좋은 찌올림을 연출하는데 있어에 최대영향을 주는요소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지나가다 찌에대한 글이 있어 남기고 갑니다. 짧지만 미천한 제 상식으론 " 찌의 무게 중심이 부력중심 보다 같거나 아래에 있는 찌가 찌올림이 좋습니다 " 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전 보유 하고 있는 찌들 중 무게 중심이 부력중심보다 위쪽에 있다면 아래쪽으로 옮겨 계조하여 씁니다 중우한 찌올림에 정확한 챔질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찌는 그 상황에 알맞는 찌가 가장 좋은 찌가 되겠지요.유속 심한대 저부력 막대형찌를 쓴다면 망하는거고 다루마형고부력찌를 쓴다면 맞는거고 수초지역인대 장찌를 쓰면 안되지요,상황에 맞는 찌와 찌맞춤이 최고임니다.기본으로 찌탑과 찌다리가 일자로 잘 되어있고 (사선으로 안맞는 찌가 있습니다.)
기스없이 매끈한 찌 전 천원짜리찌부터 2만5000원짜리 리볼버6공 수제찌까지 15개 있습니다.
최근 주력 찌 2개 수몰되서 가슴아픔니다.(인터넷으로 처넌짜리 10개산거중 2개네요)물론 비싼걸 아껴서 바닥 확실한대 아니면 안쓰지만요.찌맞춤이 동일해서 그런지 찌올림이 눈에 띄게 다른건 없습니다.다만 수제찌가 밸런싱은 더 좋긴 하네요.
수제찌는 이제 안살래요 ㅎㅎ
애후공방찌 사용해 보셨는지요.... 물론 찌맞춤,떡밥운용,채비운용등등 찌올림에 영향을 주는 많은 변수가 있지만 찌 자체로만 본다면 애후공방에서 나온 찌를 한번 사용해 보시길 권장해드립니다...가격도 저렴합니다...애후공방찌를 쓴지 얼마 안된 조사입니다...순수한 조사이니 오해는 마시기를...ㅎㅎ;;
입수되는 찌들도 있습니다. 찌의 밸런스의 문제이겠죠.
안정된 찌맞춤,(봉돌이 닿을랑 말랑) 그날 환경에 맞는 목줄길이와
바늘크기, 그리고 찌올림에 방해로 작용하는 쓸데없이 무게가 많이나가지 않는 원줄 및 캐미 이런것들이 최상의 조건을
맞추게 되면, 찌올림은 부드럽게 쭈우우우욱 하고 올려주지요.
아~! 미끼의 변화도 있겠네요. 떡밥이라면, 물성의 차이, 생미끼라면, 꿰는 방법의 차이 등등등
찌올림에 중요것이 찌도 그렇겠지만, 여러가지 찌올림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많습니다.
뭐 토론하면 끝이 없을거 같아서 여기까지만.ㅎㅎㅎ
중요한건 그날 붕어들이 미끼를 물고 꼭 부상을해야 찌를 올린다는사실..ㅎ
가장 멋진 찌올림을 꼽으라면 무거운 메주콩 바닥채비를 대물붕어가 활성도 좋은 날 빨아올렸을때가 아닌가 합니다..
이때는 이미 입질을 받는순간 대상어의 사이즈가 대충 가늠이 되기 때문에 그 느낌이 배가 되는지도 모르지만
마이너스나 제로찌 마춤의 찌올림과는 그 무게감이 완전히 다른 느낌을 주는듯 합니다.
떡밥낚시를 해 보아도 붕어의 씨알이 커짐에 따라 입질의 중후함은 완전히 다르구요..
수심.. 대의 길이.. 미끼의 종류.. 유속이나 바닥사정 등등.. 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나 무게의 찌를 선택해야하는 낚시꾼에게
막연히 찌올림이 좋은 찌를 찾는 일은 너무도 힘든 일인것 같습니다..ㅎㅎ
간당 올림~~~♥
있는것도 같네여 재질에 따라 차이도 조금 있는거
같고요 젤 중요한 부분은 찌마춤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올릴놈은 올리겠지만 경험상 같은찌를
써도 찌마춤에 따라 찌를 올리는게 다르게 표현될때가 많이 있었습니다
찌올림 차이의 가장 큰 요소는 찌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어라고 생각되더군요.
그 외의 요소는 찌맞춤,미끼,찌의 부력 등등 찌자체는 순위에서 밀릴듯 싶네요.(물론 불량품이나 중심도 안맞는 저질찌는 제외하고)
많이 보게되는 '찌올림이 좋은 찌'.... 이 표현은 상술에 의해 만들어진 표현인듯 싶습니다.
예를 들자면...
와 그 때 그 붕어가 진짜 찌올림이 중후하고 멋있었어~ 이지..
와 그 때 그 찌가 진짜 찌올림이 중후하고 멋있었어~ 가 아니라는 이야기죠.
대략 한 세가지 부류로 정리 되는것 같은데
1) 중후하게 잘 올리는 찌 - 찌오름의 폭이 크고 올라오는 속도가 느리다
2) 변별력이 뛰어난 찌 - 붕어가 건드리면 조사에게 바로 신호를 보내는 예민함
3) 정직성이 뛰어난 찌 - 붕어가 하고있는 동작을 그대로 보여주어 꾼에게 붕어가 뭘 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정직성
이중에 하나를 그렇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세가지를 다 갖춘찌는 평생 한번도 본적이 없네요...
저 개인적으로는 1)번을 선호 하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3)번 쪽으로 쏠리는걸 느낍니다.
물론 찌올림의 거의 대부분은 붕어의 입질에 달린 것이라는 점에 동의 합니다.
하지만 10%~20% 일지라도 찌에 의한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2. 같은 날 같은 붕어로 똑같은 입질 패턴 이었다.
3. 수심 등 기타 상황이 같다...
4. 찌는 불량이 아니다.
단, 찌 재료나 모양 길이 형태와 재료 적인 것만 생각한다면.
몸통이 굵지 않은(부들이나 갈대 몸통보다는 살짝 두꺼운 스타일)
부드러운 유선형의 고추몸통 모양으로
길이는 50~60 Cm
발사 재질
찌를 선호 합니다.
하지만, 잘 만들어진 막대찌가 좀 더 찌오름 표현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입수 맛은 약간 위의 찌가 더 좋고요.
저는 그렇게 느꼇습니다.
물론, 부들찌, 발사 막대형, 오동 오뚜기 몸통 찌도 잇습니다.
처음 가지고 나가서 던져보고 입질 몇번 받아 보면 유난히 애착이 가는 찌가 생깁니다.
저에겐 그 찌가 가장 좋고 찌올림이 좋은 찌 입니다.
아무리 비싼찌라도 붕어가 어떻게 올리느냐에 따라 찌올림이 그려지네요...
2-3천원짜리 저가형찌지만... 찌올림은 끝내줍니다...
다소 질의하신 내용과 차이가 있다 생각 하실지
모르겠지만.. 요즘 시중에나오는 찌들은 낚시에 영향을 줄만큼 정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고로 내가 찌를 세우는 포인트의 장애요소와 채비투척시 사선입수 등이 좋은 찌올림을 연출하는데 있어에 최대영향을 주는요소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에민하게 맛추믄 벌떡 서서 들어 가들라구요 ~^^
2번 찌맞춤
하지만...
아무리 비싸고 좋은찌라도 붕어가 물어서 아랫돌을 올려줘야 멋진 찌올림임.
기스없이 매끈한 찌 전 천원짜리찌부터 2만5000원짜리 리볼버6공 수제찌까지 15개 있습니다.
최근 주력 찌 2개 수몰되서 가슴아픔니다.(인터넷으로 처넌짜리 10개산거중 2개네요)물론 비싼걸 아껴서 바닥 확실한대 아니면 안쓰지만요.찌맞춤이 동일해서 그런지 찌올림이 눈에 띄게 다른건 없습니다.다만 수제찌가 밸런싱은 더 좋긴 하네요.
수제찌는 이제 안살래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