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의 잔존부력에 관한 질문 입니다..

/ / Hit : 9531 본문+댓글추천 : 7

안녕 하세요..찌의 잔존부력에 관한 질문 인데요..찌가 처음 생산되어 나올때 찌고무(케미는 안달고(?)) 를 달고 찌의 부력을 측정 해서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이 찌를 소비자가 구매해서 케미를 달고 낚시를 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 케미 무게가 만만치 않다는 거죠..

제가 사용 하고 있는 케미의 무게만도 0.2g 짜리 입니다..찌 탑쪽이 무거워 지니 찌가 위쪽으로 뜰려고 하는 힘이 더 작용 하고요..

그래서 케미 무게 만큼 찌 다리에 편납을 감아 무게 상쇄를 시켜줘야 하는데 이게 잔존부력을 없애주는 방법이다 라고 알고 있는데

찌마다 잔존부력이 존재 할까요??..고부력으로 갈수록 잔존부력이 커지고 접력으로 갈수록 잔존부력이 적어 지는걸로 알고 있습니

다..낚시할때 이 잔존부력을 상쇄시켜주지 않으면 헛챔질 총알 입질 이 많아 진다고 합니다..과연 찌 다리에 케미 무게 만큼 편납을

감아 주는것으로 잔존부력을 없애 줄수 있을까요??..제가 사용하고 있는 찌는 부력 2.7g 짜리 저부력 찌 입니다..제가 알고 있는게

맞는 걸까요??..아님 잔존부력은 아예 무시해도 되는 걸까요??..답변 좀 부탁 드립니다..감사 합니다..


잔존부력 뜻이 애매하네요

찌탑이 무거워지는데 뜨려는 힘이 강해진다?
무거워지는데 왜 뜨죠?
무거우면 가라앉는것 아닌가요?

잔존부력을 찌가 물속에 안들어간 구간의 부력으로
이해하면 맞나요?
제가 글을 잘못 작성 했네요..케미가 추가 되었으니 케미 무게만큼 찌 는 무거워지니 부력은 줄어 들겠네요..관건은 케미 무게인데 찌를 만들때
케미는 빼고 케미 고무까지만 장착 상태에서 찌 부력을 측정 하잖아요..그리고 저는 찌 맞춤 할때 수조 찌맞춤으로 찌탑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할때는
수심만 측정후 그냥 낚시 합니다..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심 측정후 찌를 쭈욱 내리고 찌 맞춤 하면 찌고무 1/3정도 잠기더군요..너무 무겁지도 너무 가볍지도 않은것 같아 그냥 낚시 합니다..찌탑 2마디 내어놓고 낚시 하고요..이렇게 되면 물밖으로 나와있는 케미와 찌탑 2마디 까지가 잔존 부력으로 작용 하니
부력 상쇄용으로 찌 다리에 케미 무게 정도의 편납을 감아 봉돌의 무게를 줄이면 잔존 부력이 상쇄 되지 않을까 하는 저의 생각 입니다..제가 사용하는
찌는 2.7g 저부력 찌 이고 케미는 0.2g 사용 합니다..찌 다리에 케미 무게 만큼의 편납을 감으면 봉돌의 무게는 0.2g 적어지니 찌의 잔존부력을 없앨수
있지 않을까요??..
찌탑 한마디로 부력 맞추고
두마디 내놓는 수심 맞춤 낚시하면
찌탑제로상태 맞춤 낚시로 이해해도 되겠지요?
현제 두마디로 낚시하는 상태는
잔존부력 한마디를 없애놓고 하는 낚시와 같다고 생각되어 지는데 아닌가요?

잔존부력을 문제로 생각하는 것은 입질시 찌가 물속으로 박힐때 추가 부력 발생으로 이물감 발생을 걱정하는
경우인가요?

댓글에 2마디 내놓고 낚시하니 잔존부력이 두마디라 하시는데
찌맞춤이 같을경우ㅡ 한목에 맞춘찌맞춤ㅡ
몸통 상부,찌탑 제일 하단에 맞추고 낚시하면
탑이 10목찌일경우 10목전체가 잔존부력인가요?
찌탑 두마디 나온 상태에서 잔존부력이라는 것을 없애려고 편납을 감는다...
뭔가 잘못 이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찌탑이 나온 만큼의 무게는 잔존부력이라는 것이 아니고 가라앉으려고 하는 무게로 작용하는 침력입니다.
즉, 찌다리에 편납을 감으면 물 위에서 누르는 무게에 물속 편납 무게까지 더해서 찌맞춤은 더 무겁게 되는 것이죠.
부력을 상쇄하려면 오히려 봉돌 무게를 줄여야 되고 찌탑 높이를 없애야 되는 것입니다.
부력이면 부력이지 잔존 부력이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쓰시는 것 자체가 낚시 기본 이론 방향 자체를 엉뚱한 곳으로 가시고 있는 것입니다.
수조통에서 한마디에 0점 맞추시고
현장가서 캐스팅 해보면 1/3마디에 0점이 잡히는 것은 수조통에서 맞출 때 감안되지 않았던 원줄무게나 원줄이 수조통 상단에 걸쳐져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걸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잔존부력?인가 하는 용어로 퉁쳐버리면
실체도 없고, 있다해도 일정하지도 않은 잔존 부력?과 평생 잘못된 낚시를 하실 수도 있습니다.

찌맞춤 하실 때 캐미고무 밑둥 또는 찌톱의 어느 일정 부위에 0점을 맞추고 대충 본봉돌을 바닥에 내리고 낚시하는 일반적인 바닥낚시 채비법이라면 몰라도, 찌맞춤을 통한 정교한 섬세함이 무조건 선행되어야만 계획했던 채비를 구사가 겨우(?) 가능한 극히 민감한 채비를 구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을 통해서 실전 낚시를 해야 오차 없는 낚시를 겨우(?) 할 수 가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채비는 바람이 불어 수면만 일렁여도 당초의 이론 자체가 깨지는 법이죠. (수면이 지속적으로 상하로 일렁이고 있는 데. 그림으로 채비 설명하면서 그렸던 0점의 기준은 어디로 가고, 기법을 완성하기 위한 0점을 기준으로 1마디 더 내놓는 기준은 어디인가요.)

수조통에서의 찌맞춤은 오차가 필히 동반되는 찌맞춤이기 때문에
섬세한 낚시를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현장맞춤'으로 찌맞춤을 완성해야 합니다.
(실내의 수조에서 맞추면 마치 실험실에서 맞추는 것 같은 정서 때문인지는 몰라도 가장 정교한 찌맞춤을 했을 거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만.)

원줄(낚시줄)도 분명 (의외로 많은)무게를 가진 채비 부속이니
낚시터가 항상 맹탕으로만 되어 있어서 캐스팅된 원줄을 간섭할 만한 자연 요건이 전혀 없다면 모를까.
원줄의 자연스러운 가라 앉음 자체를 저해하는 요소가 1이라도 있다면,
정교한 찌맞춤을 선행 조건으로 구상된 채비의 경우에는 정확한 낚시를 거의 못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 반드시 1목에 맞추고 2목을 내놓고 해야만 채비 구현이 가능하다고 하는 정도의 채비들은 실제 낚시에서 신경써야 할 것들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맹탕에서 낚시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바람에 떠밀려온 조그만 낙엽 한장 만으로도 채비가 깨지기 일쑤이고, 물속에서 생겨난 미세한 기포 몇방울이 채비에 엉겨붙는 것 만으로도 계획된 채비가 깨지기 쉽습니다.)


물속에서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 생기면
낚시인들이
가장 많이 지목하는 '대류'라는 것도
정확한 이해없이 무조건 '대류'가 죄인이라고 마녀사냥(?) 해버리고 대류는 자연의 섭리이니 더 이상 낚시꾼의 힘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사건을 종결시켜 버리고. 대류가 아닌 생각치도 않던 다른 진범이 있을 거라는 생각 자체를 완전히 닫아 버리고, 평생의 낚시가 거기서 더 이상 진보하지 못하고 멈춰 버리는 경우도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대류는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매번, 항상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 아니고
특정 조건이 조합되어 만족되었을 때만 대류가 일어나죠.

하지만, 언제 어느 때이든 간에 누가 이상한 현상만 생겼다고 하면
"그거 대류 때문에 그러는 겁니다." 하고 단언해 버리는 유저가 생각보다 많다는....
IQ 100 이하는 너무 어려워서 뭔말인지 모르겠습니다..ㅋ.
글치만 잔존부력 이라는거, 바다낚시나 내림낚시처럼 찌가 내려가는 입질을 받을때 필요한거 아닌가요?
대상어의 입질을 받아내기 위해 채비를 연구하고 하는 것도 재미있게 즐겨야지 , 지나치게 고민하다 보면 스트레스 받습니다.
꼬기는 꼬기일 뿐입니다, 대다수 낚시인들이 꼬기를 넘 과대평가 하는것 같아요.
미끼 주변에 배고픈 꼬기가 있으면 먹습니다.
입질이 없는건 채비 탓만 할게 아니라 주변에 꼬기가 없는거지요, 그래서 기다리는 겁니다..
답변 주신 여러분들 감사 드립니다.
저도 잔존부력 이라고 질문은 드렸으나 다시 생각
해보니 너무 난해하게 생각 하고 있나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그냥 편하게 낚시 할려고 합니다.
찌 맞춤 할때 케미무게 까지 따져 찌 맞춤 하니까
잔존부력은 없겠구나 하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케미 무게 만큼 찌 다리에 편납을 감아 찌
맞춤 하는거는 찌 발란스를 잡아주는 방편으로 괜찮은 방법 일까요?.찌가 내려 갈때 똑 바로 서서
내려 가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서 내려갑니다.
방법을 생각 하다보니 이런 방법이 괜찮은 방법일것 같아 적용 해 볼려고합니다.
조금가벼운 찌를 사용
하시면 찌몸통 밸런스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찌가
그러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위찌탑이 조금 길어 보이지
않나 생각되네요
찌다리에 편납을 감으면
좀 둔해지겠네요
그러지 마시고 찌탑윗부분
1.5cm 정도 짤라 케미고무
꽃고 케미끼우고 사용해
보시길 권해봅니다
찌 맟춤에서 황금 목줄님이 질문 한 것과 같이 동일 한 방법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당연이 부력을 맞출때는 주간 케미 및 야간 케미의 무게 고려 하시는 것은 필수 이고
무께 또한 동일 하게 사용 합니다. 주간 케미는 시중에서 나오는 것은 거의 0.24g 정도 이구요
야간 케미도 0.24~0.25g을 사용 합니다.

동일 한 찌라도 부력이 각각 제 각각 입니다.
부력이 가벼운 것, 부력이 센것이 존재를 하게 되지요?
그래서 저는 동일 한 찌 사양으로 20개 이상을 한 꺼번에 구매를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부력이 가장 센 것 기준으로 0점을 셋팅을 하고
동일한 무게의 추를 이용 하여 부력이 약한 것에는 찌 다리에 편동(예전에는 편납)을
감아서 사용을 합니다. (편동 감은 부위에는 순간 접착제 순접)
그러면 부력이 가장 작은 것(약한 것)에는 편동이 제법 많이 감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방법으로 찌 맞춤 후에 현장에서 사용을 해 보면 사선 입수라던가, 찌 올림이 둔 한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특히 원봉돌 채비를 사용 하시는 경우에는 위 방법을 사용 하면 동일 찌에 동일 추 무게를 모든 낚시대에 구현을 하게 됩니다.

현장에서 채비 손실시에는 가장 빠르게 부력을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간도 절약 하고 여러모로 편리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현재는 상기 방법에 추가 하여 원봉돌이 아닌 스위벨 채비를 사용을 해서 현장에서 찌 입수 조건을 보고 무게를 0.05g 단위로
가감을 해서 사용 합니다.
낚시에 유독 말도 안되는 이론이 많은 것 같더군요.
용어의 이해도가 많이 떨어지거나, 존재하지도 않는 이론 또는 용어를 만들어내기도 하고요.
이해도가 떨어지는 가장 큰 예가 부력 이론이고요.
존재하지 않는 용어 창조의 예는 순부력, 침력, 잔존부력 등이 있겠네요.
창조도 해당 분야에 정통한 사람이 타당하게 만들어내야 하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떠오르는대로 만들어내니까 문제입니다.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그 말도 안되는 얘기를 당연스럽게 받아들이거든요.

잔존부력이라는 용어 자체를 머릿속에서 지우고 생각하세요.
생각보다 아주 쉬운 얘기일 겁니다.
대충 찾아 봤는데
민물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고
대부분 바다 구멍찌
에서 많이 사용 하네요
바다의 속조류 겉조류에
따른 낚시줄과 찌의 경사각에서
따른 찌의 부력
바다낚시를좀 해봐서
이해되기도 합니다
잔존 부력이란 생소하고 처음 들어봅니다.
보통 보면 일반범용찌들 대부분이 표기 부력보다 좀 덜나가는게 일반적입니다 원하는 무게가 있다면 그것보다 0.5호 봉돌. 더먹는 찌사면 원하는 부력에 준할겁니다
말씀처럼 찌고무 케미 무게가 빠져 있어 그렇지 않나 싶습니딘
낚시는 고기 잡는데 목적을 두면 피곤하고 스트레스 받습니다 그렇게 세밀하고 섬세하게 맞춘다 해도 고기가 없으면 말짱 도루묵 입니다 어찌 찌에 잔존 부력 까지 잡을수 있다고 생각 하시는지ᆢ 고기가 많으면 그런것다 필요 없고 기존 하시는대로 하시면 됩니다 낚시을 즐기시면 됩니다
저는 지감독 채비 사슬 채비 옥내림 스웨벨 채비 해볼것 다 해 봤는데 채비 비용도 만만치 않더군요 지금은 결국 완 봉돌 채비로 돌아와서 4자 몆마리 잡았습니다 찌 채비 그런것 너무 따지시면 피곤한 낚시가 될것 입니다
잔좀 부력은 바다낚시 구멍찌에 쓰는 말 입니다.
남아 있는 부력을 작은 봉돌로 상쇄 시킨다는 의미 구요.

민물 붕어 찌낚시에서는 잔존 부력이라는 단어 보다는,
케미 만큼의 마이너스 부력을 어떻게 봉돌로 잡아 줄것 인가인데
그냥 간단하게 케미 장착 한 상태에서 수평 맞춤을 하면 되지 않을까요?
더이상 뭐가 있을까요?
아따....S모그님께서 본질을 너무 정확하게 꿰뚫고 명확하게 답변해 주셔서 머라 첨언드릴 말씀이 없네요. ㅎㅎ;;

확실한 것은 잔존부력이라는 용어 자체는 사전적 정의도 없을 뿐더러 부력이라는 용어로 개념정리를 한번 확실히 하시면 더이상 혼선이 없습니다.

잔존부력이라는 개념은 잊어버리시는 것이 낚시하시는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유~
바다낚시

구멍찌는

찌를 물위에 내 놓고

낚시를 합니다.

그럴경우

존재합니다.


민물낚시의 찌는

사용시

찌 몸통이 물속에있습니다.
역시 S모그님 명쾌한 답변 이십니다.

"잔존부력" 이란요상한 단어는 아마 예전에 양어장 찌맞춤에 대한 갑론을박 이 한참 일때 탄생한 단어로 기억 합니다.

양어장에서 예민한 찌맞춤시 케미고무와 수면의 표면장력, 원줄의 비중, 찌의부력, 등등 수학적 개념까지 더해져서 결론없이 논쟁만 길게 이여졌던 기억이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잔존부력이란건 민물낚시에서 고려 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입니다.
'잔존부력을 없애지 않으면 총알 입질 헛챔질이 많아 진다고 하셨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 입니다.

찌는 봉돌이 움직인 만큼 움직이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관성이란것이 작용하면 봉돌의 움직임보다 찌의 움직임이 커지긴 하지만, 바닥에 바늘이든 봉돌이든 닿아 있는 형태에선 관성의 힘이 크게 작용하지 못합니다.

수조에서 찌맞춤시 부력에 비해 무거운 봉돌을 사용할경우 찌가 쭉내려갔다가 다시 떠오르고 그폭이 점점 줄어들다가 멈추는 형태가 바로 관성의 힘이작용 하고 있는 모습이고, 실제 낚시에선 이미 안정화 된 상태에서 입질이 들어 오기 때문에 관성의 힘이 작용하기 어렵습니다.

다시말해 잔존부력이란 애매한 의미로 인해 찌가 봉돌의 움직임 보다 더 커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것 입니다.
채비와 찌맞춤 ( 가벼운 채비이냐, 무거운채비 이냐, 가벼운 맞춤이냐, 무거운 맞춤이냐, 고부력찌냐, 저부력 찌냐 등 ) 에 의해 입질에 따른 찌올림 폭과 속도가 정해지는 것이지 잔존부력이란 있지도 않은 개념에 의해 찌의 움직임이 정해 지진 않습니다.

다른찌는 한마디 올릴때 이찌는 두세마디 올라온다고 하는 말들은 혹세무민 입니다.

다만 찌의 밸런스를 위해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기위해 편납을 감는것은 이유가 있는 행동이라 하겠습니다만 이또한 찌의 부력만 상쇄할 뿐 찌올림 내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말씀 드릴수 있겠습니다.

다소 복잡한 글이 였는데요 결론은 잔존부력 은 고민의 대상이 아니며, 찌의 직립입수를 위해서 편납을 감는것은 이유가 되겠으나 잔존부력을 상쇄하는
행위는 아니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즐거운 출조 되시길 바랍니다.
많은 답글에 감사 인사 올립니다..더 이상 잔존부력은 신경 쓰지 않고 낚시 하기로 했습니다..저도 낚시 한지가 10년이 넘었는데 아직까지
누가 뭐라고 하면 귀를 귀울이는 팔랑귀 입니다..낚시를 처음 배울때 인터넷을 통해 배우고 중간에 아주 운좋게 낚시 스승을 만나 잠깐사이에
낚시 실력이 일취월장 하기도 했습니다..더 이상은 이상한 말에 신경 쓰지 않을려고 하는데 마음대로 안되네요..답변 달아주신 여러 조우님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항상 건강하시고 어복 충만 하시길 바랍니다..꾸벅..( _ _ )..
s모그님 설명 너무 잘 주셨네요.저도 한수 배웠습니다.
진천나무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 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